본 연구는 남한에서 복음을 경험한 청년, 북한에서 출생하여 중국 및 제3국을 거쳐 복음을 경험한 청년, 그리고 남한에서 태어나 해외에서 복음을 경험한 청년들을 인터뷰하여, 국내외적으로 복음적 통일을 준비하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복음적 통일의 준비를 위해, 한국 교회와 한인 디아스포라 교회는 다음 세대 청년들을 위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첫째, 남한, 북한, 디아스포라 청년들이 상호 문화를 이해하고 소통하며 서로를 격려할 수 있는 공간, 가칭 ‘KNDS(Korea, North Korea, Diaspora, Space)’ 를 조성해야 한다. 둘째, 남북한 청년들과 디아스포라 청년들이 함께 참여하여 복음적 통일의 비전을 공유하고 실천할 수 있는 복음통일 캠프를 계획하고 실행해야 한다. 셋째, 메타버스(metaverse) 플랫폼 을 구축하여 남북한과 디아스포라 청년들이 사이버 공간에서 지속적으 로 대화하고 생각을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해야 한다. 청년들이 복음과 사랑을 기반으로 소통하고 연대할 때, 복음적 통일은 더욱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relationships of water and dietary fiber intake with various health-related factors using data from the 2016~201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A total of 8,419 adults aged 19~49 years we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1) sufficient intake of both water and fiber (Type 1) (n=2,235), (2) water deficiency with sufficient fiber (Type 2) (n=1,470), (3) fiber deficiency with sufficient water (Type 3) (n=1,031), and (4) deficiency in both water and fiber (Type 4) (n=3,683). General characteristics, body composition, health behaviors, dietary habits, nutrient and food intake, and dietary quality were compared. Type 4 had more female (p=0.028), older adults (p<0.001), and higher socioeconomic status (p<0.001) than Type 1. Type 1 consumed breakfast more frequently (p<0.001). Nutrition label recognition, usage of nutrition label, and all nutrient intakes were the highest in Type 1 but the lowest in Type 4. Type 1 also had better dietary variety score and nutritional quality.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adequate water and fiber intake for balanced nutrition and suggest that targeted nutrition education is needed, especially for male and low-income groups with insufficient intake.
This study seeks to explore how key restaurant attributes differently influence customer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across pre-pandemic and post-pandemic periods, as well as across various economic segments. By employing impact asymmetry analysis (IAA), the research identifies the primary drivers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examining their uneven on customer satisfaction in Korean restaurants. The findings underscore the non-linear and asymmetric nature of customer responses to various service attributes, highlighting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economic factors and the pandemic on dining expectations and experiences. This research deepens our understanding of the factors shaping customer satisfaction dynamics,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the evolving post-pandemic restaurant industry.
In April 2023,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nounced a plan to address the nursing workforce shortage by introducing the Accelerated Bachelor of Science in Nursing (ABSN) program. This accelerated program, designed to shorten the traditional three-year nursing bachelor's degree program to two years, allows individuals with prior bachelor's or master's degrees in another field to earn the nursing license. While the number of nursing professionals is increasing, there is still a shortage compared to the OECD average, particularly in clinical settings. The ABSN program offers the advantages of supplying nursing workforce rapidly and cultivating interdisciplinary nursing professionals who can easily adapt to the demand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owever, there are also drawbacks, including an increased academic workload due to differences from the regular curriculum and confusion over academic identity. Moreover, given the limited availability of clinical practice sites and the ongoing shortage of clinical nurses, concerns remain about whether the ABSN program can effectively achieve its goal of training high-quality nursing professionals. To address these concerns, it is recommended to conduct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ABSN program and clarify its objectives, distinguishing it from the current bachelor's transfer system.
본 연구에서는 전지구 해양 예측 모델 결과를 동아시아 지역 해양 모델인 ROMS의 초기 및 경계 조건에 적용 한 역학적 규모 축소 모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우선 ROMS 모델의 성능을 AMOR3D, EN4, 정선 관측 자료, 인공위성 영상 및 기존에 발표된 MOHID 모델과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전반적으로 봄과 가을에는 관측 자료와 잘 일치하였으나, 해양 성층화가 강화되는 여름에는 모델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동해와 남해보다 황해에서 더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며, MOHID 모델보다 아표층 모의 성능이 개선되었다. RCP 4.5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2015년부터 2030 년까지 예측한 CM2.1 전지구 해양 모델의 결과를 사용한 역학적 규모 축소 모의를 수행한 결과, 한반도 남서 연안의 저수온 영역, 황해난류의 경로 및 쿠로시오 해류의 사행 등 실제 해양의 다양한 현상이 잘 재현되었다. 또한, 지역 모델은 저해상도 전구 모델보다 평균 수온의 경년 변동 폭이 커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ROMS를 이용한 역학적 규모 축소 결과의 신뢰성이 확인되었으나, 향후 동해 및 남해와 같은 특정 지역의 ROMS 모델의 모의 성능 개 선과 2030년 이후의 장기 시뮬레이션 연구가 추가로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일반홍삼(70 °Brix)과 발효홍삼(45 °Brix)에 대한 항산화 성분 분석 및 항산화 효능 측정을 위한 적정 분석시료 함량을 설정하고, 홍삼의 발효에 따른 항산화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홍삼의 flavonoid 및 phenolics 함량 측정은 일반홍삼과 발효홍삼 각각 농축액 시료 3 g을 증류수로 100배 희석하여 측정용 시료 1 mL 당 홍삼농축액 20-30 mg을 사용하는 것이 시료 채취와 낮은 흡광도에 의한 오차도 줄일 수 있었다. 홍삼의 항산화성 측정으로 홍삼 시료 mg 당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 및 ABTS radical 소거능은 일반홍삼과 발효홍삼 모두 농축액 분석시료 20-30 mg/mL에서 가장 안정적이었다. 세포에서의 항산화 효능으 로 ROS의 소거능은 일반홍삼과 발효홍삼 모두 농축액 분석시료 20 mg/mL 전후에서 ROS radical 소거능의 차이가 가장 컸으며 분석에 적합한 농도였다. Flavonoid 함량과 ROS radical 소거능은 발효홍삼 농축액이 일반홍삼 농축액보다 더 높았으나, radical 소거능은 유사하였다. 같은 농도의 일반홍삼과 발효홍삼을 비교할 경우 발효홍삼이 일반홍삼보다 항산화 효과가 더 높았다. 일반홍삼 및 발효홍삼의 항산화성 물질의 정량 및 그 항산화 효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농축액의 농도 차이에도 불구하고 일반홍삼과 발효홍삼 각각 농축액 2-3 g을 채취하여 100배 희석하여 분석 시료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였다.
본 연구는 혁신적 리더십과 센스메이킹이 조직의 운영 및 시장 민첩성에 미치는 영향을 AI 역량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두 요인은 신기술 도입에서 구성원의 적극적 참여를 이끌어내는 핵심 동력으로 간주된다. 또한 기업 규모, 경로의존성, AI 역량 수준 등 조직 특성에 따른 변수 간 관계 차이를 다중집단 분석을 통해 포괄적으로 탐색하였다. 분석 에 활용된 데이터는 251명의 국내 기업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수집하였 으며, 분석에는 부분최소제곱 구조모형 방정식(PLS-SEM)이 활용되었다. 연구 결과, 혁신적 리더십과 센스메이킹은 조직의 AI 역량과 민첩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고, AI 역량은 유의 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직이 혁신적 리더십을 강화하고 센스메이킹 과정을 지원함으로써 AI 역량을 높이고, 이를 통해 조직 민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 한다. 다중집단 분석 결과, 대기업에서는 혁신적 리더십이 AI 역량 및 운영 민첩성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두드러졌으며, 경로의존성이나 AI 역량 수준에 따라서도 각 변수 간 영향력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이는 조직이 산업 환경과 규모 등을 고려하여 맞춤형 AI 도입 전략과 리 더십 접근 방식을 채택해야 함을 강조한다. 본 연구는 AI 역량이 조직 민첩성을 강화하는 핵 심 요소임을 확인하고, 혁신적 리더십과 센스메이킹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나아가 조직 특성 별 차이를 종합적으로 확인한 다중집단 분석을 통해 변화하는 환경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하 기 위한 전략적 방향성을 제시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Measures (CMMs) related to fishing operations using Fish Aggregating Devices (FADs) among the measures implemented by Regional Fisheries Management Organizations (RFMOs) overseeing tuna purse seine fisheries. Additionally, we analyzed the FADs fishing status by sea area and examined the sustainable tuna purse seine fishing using FADs. Significant variations were observed in the number, materials, structure, and timing of FADs deployments, which were influenced by the fishing ground environment and methods in each ocean. These variations resulted in corresponding differences in the CMMs. However, all oceans required the use of non-entangling FADs and recommended biodegradable materials to mitigate marine pollution and bycatch of protected species. An analysis of FADs usage based on field interviews revealed that the total number of FADs deployed across all oceans in 2023 reached 142,020 sets, an increase of approximately 18% compared to 120,680 sets in 2013, despite the enforcement of CMMs by each RFMOs aimed at gradually reducing FADs fishing to promote sustainable fisheries. Each RFMOs aims to gradually reduce FADs fishing rates and ultimately achieve sustainable fisheries. Therefore, to achieve sustainable tuna purse seine fisheries using FADs, prioritizing research on the biodegradable materials used in FADs construction is essential. Furthermore, strict adherence to principles concerning the quantitative use and retrieval of FADs is deemed necessary.
기후 변화로 인해 해수면 상승과 폭풍해일 발생 빈도가 증가하면서, 해안 지역에서의 재난 위험이 심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NOAA의 GFS(Global Forecast System) 모델과 일본 기상청의 JMA-MSM(Japan Meteorological Agency Meso-Scale Model) 데이터를 기반으로 딥 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폭풍해일 예측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두 모델에서 제공하는 대기 데이터를 입력 변수로 사용하여 예측 성능을 비 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LSTM(Long Short-Term Memory), Attention 메커니즘을 결합한 모델을 설계하고, 조위관측소의 관측 자료를 학습 데이터로 사용하였다. 과거 한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던 네 개의 태풍 사례를 통해 모델 성능을 검 증한 결과, JMA-MSM 기반 모델이 GFS 기반 모델에 비해 서해, 남해, 동해에서 각각 평균 RMSE를 0.34cm, 0.73cm, 1.86cm, MAPE를 0.15%, 0.36%, 0.68% 개선하였다. 이는 JMA-MSM의 고해상도 자료가 지역적 기상 변화를 정밀하게 반영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본 연구는 해안 재난 대비를 위한 폭풍해일 예측의 효율성을 높이고, 추가 기상 데이터를 활용한 향후 연구의 기반 제공이 기대된다.
The study aimed to enhanc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rune juice added with Schisandra chinensis and optimize mixing ratios of its components. Prune juice was prepared using varying proportions of prune concentrate and medicinal herbal plant extracts. Results showed that the pH of the medicinal herbal plant complex extract containing Schisandra chinensis decreased significantly, while the content of soluble solids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prune concentrate. Results of analyzing antioxidant activity of individual component revealed that both prune concentrate and Schisandra chinensis extract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antioxidant activities than other extracts, with Cinnamomum cassia extract showing the lowest antioxidant activity. As a result of antioxidant component analysis, total polyphenol contents,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total tannin contents were all the highest in MSS but the lowest in the control. Regarding antioxidant activity, DPPH radial scavenging activity, ABTS DPPH radial scavenging activity, and SOD-like activity were the highest in MSS but the lowest in the control. In conclusion, findings suggest that incorporating higher proportions of both Schisandra chinensis and prune concentrate can synergistically improve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overall quality characteristics of prune juic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opening force required for shucking farmed oysters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automated oyster-shucking systems. Oysters sourced from Yeosu and Tongyeong were tested for shell length, width, height, total weight, meat weight, and opening force. Results showed an average opening force of 8.1 kgf for one-year-old Yeosu oysters, 7.4 kgf for one-year-old Tongyeong oysters, and 8.7 kgf for two-year-old Tongyeong oysters, with correlations to shell width, height, and meat weight depending on production sea area and growing age. These findings highlight production sea area and growing age-based differences in oyster characteristics, contributing foundational data to advancing automation in oyster shucking.
본 연구의 목적은 고정저항과 가변저항을 적용한 백 스쿼트 시 단축성 구간을 전반부와 후반부 로 나누어 신체중심의 속도와 근전도 분석을 통하여 스티킹 포인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로 19세 이상의 성인 1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연령: .25.8±2.6 yr, 신장: 181.4±2.2 cm, 체중: 79.7±3.9 kg). 2가지 부하 방법(고정부하, 고정부하+가변부하)를 통하여 백 스쿼트 시 3차원 동작분 석과 하지 근전도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신체중심의 속도는 VRT가 CRT보다 빠른 속도가 나타났고, 후반부가 전반부보다 빠른 속도가 나타났다. 근전도 분석에서 대퇴직근은 CRT가 VRT보다 근활성도가 크게 나타났고, 전경골근은 CRT의 전반부가 후반부보다 근활성도가 크게 나타났지만, VRT는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고정부하의 약점을 가변부하를 통하여 효율적인 운동을 기대할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cultural competence of hospital nurses and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cultural competence based on gener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Methods: This study used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design and 167 nurses who had been caring for foreign patients for past 1 year. Cultural competence, which is composed of four sub-dimensions (values related to cultural perception, cultural knowledge, cultural sensitivity, and cultural skills), person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Results: The participants were all women, with the mean age of 31.81±6.88 years, and clinical career was 8.76±6.81 years. Cultural competence score was 5.28±0.63 out of 7. Having a foreign friends, position, participation in foreign language classes, and working place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hospital nurses’ cultural competence. The explained variance for cultural competence was 21.8%.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nurses provide care by understanding patients with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and their health-related needs. To enhance the cultural competence of hospital nurses, systematic practical education and active organizational support based on standardized guidelines for caring for foreign patients are necessar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iveness of self-correction in improving lexical stress placement among Korean English learners, a critical yet challenging feature for speakers of Korean, which lacks lexical stress contrasts. Grounded in Schmidt’s (1990) Noticing Hypothesis, the research compares the benefits of self-correction— where learners reflect on and correct their own pronunciation errors —with the shadowing technique. Forty-seven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with an experimental group practicing self-correction and a control group engaged in shadowing. Pre- and post-test analyses revealed that the self-correction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 particularly with trisyllabic and tetrasyllabic words, while the shadowing group showed minimal change. These findings highlight self-correction’s role in promoting learner engagement, error awareness, and deeper cognitive processing, offering practical implications for pronunciation instruction that emphasizes learner autonomy and focused attention.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연안에 건설․운용 중인 총 23개 발전소를 대상으로 지형지수(Ω)와 해저경사도(⊿) 개념을 적용하 여 발전소가 입지한 지역과 배수구 전면 해역의 해안 지형 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동해 및 제주 해역의 발전소 해안의 지형지수는 비교적 낮아서 0에 가까운 경향을 보였고, 서해는 다양한 Ω 값을 나타내어 직선형(Ω = 0), 내만형(Ω > 0), 돌출형(Ω < 0) 지형이 모두 나타났으며, 남해는 대부분의 발전소들이 내만에 위치해 Ω > 0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지형지수와 해 저경사도를 선정하여 각각에 대한 해수유동 및 온배수 확산 수치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해저경사도(⊿)가 클수록 최강조류속 은 증가 경향을 보였으나, 지형지수에 따른 유속 차이는 미미하였다. 지형지수에 따른 초과수온 1℃의 온배수 확산을 분석한 결과, 해 안선과 평행한 방향의 확산거리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내만형과 돌출형 해안에서는 Ω가 양과 음의 방향으로 커질수록 확산거리는 줄 어드는 경향을 보였으며, 온배수 확산거리는 해저경사도보다 지형지수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differences in breakfast habits, mental health, and the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s among 9,549 adolescents from father-headed and mother-headed families, using raw data from the 2017~2019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Of the total participants, 44.6% came from father-headed families, while 55.4% were from mother-headed families. Single-parent adolescents showed the highest likelihood of eating breakfast every day of the week (24.5%), but they also had a significant tendency to skip breakfast entirely (24.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reakfast frequency between those from father-headed and mother-headed families. The perception of stres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adolescents from the two types of families, although subjective health status did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boys. Depressive experiences were notably higher in adolescents from mother-headed families (33.0%) compared to those from father-headed families (30.8%). Additionally, the prevalence of atopic dermatitis and allergic rhinitis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adolescents from mother-headed families (24.2% and 32.1%, respectively) than in those from father-headed families (21.1% and 26.5%,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e need for tailored nutrition and health guidance programs for adolescents from single-parent families to support the role of the absent parent.
본 연구에서는 대류권부터 중층대기까지 전체 대기의 기체상 화학과정을 전지구 규모에서 수치 모의하도록 고 안된 두 가지 대기화학과정(Strattrop와 CRI) 각각을 영국 지구시스템모형(UKESM)에 연동시켜 CMIP6 과거기후 모의 를 수행하였다. 두 대기과학과정에 따른 모의 결과를 재분석자료와 비교하여 기체상 대기화학과정에 따른 전지구시스템 모형의 모의 특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단순화된 화학과정인 Strattrop를 기본 장착한 UKESM-Strattrop과 오존 화학과 정을 강화한 CRI 대기화학과정을 연동시킨 UKESM-CRI의 수치 모의는 1981-2010년 약 30년 기간 CMIP6 과거기후 모의이며, 모형의 가동은 CentOS-8 기반 리눅스 클러스터에서 수행되었다. 이 두 모의 실험 결과의 분석은 마지막 10년(2001-2010) 결과만을 이용하였다. 두 모델이 모의한 대류권 지상 기온과 강수량은 전지구 공간 분포와 월별 시계열 의 변동에서 기존에 보고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고, 대기화학과정에 의한 특징적인 변화는 크게 두드러지지 않았다. 하지만 모델 모의 전지구 평균 기온의 선형 증가율의 경우, UKESM-Strattrop은 ERA5 재분석자료와 비슷한 선형 시간 변화 경향을 보였으나 UKESM-CRI는 더 크게 증가하도록 모의하였다. 에어로졸 광학 두께(AOD)의 공간 분포는 두 모델 모두 사막 지역을 제외하고 MERRA-2 재분석자료와 유사했다. 기체상 화학과정이 강화된 UKESM-CRI는 예상했 던 바와 같이 UKESM-Strattrop 보다 오존전량에서 MSR 재분석자료와 더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며, 성층권 오존분포에 서는 MERRA-2 재분석자료에 더 가까운 결과를 보였다. 특히, 적도 성층권에서 나타나는 준격년진동(QBO) 현상과 QBO와 연관된 적도 성층권 오존 농도의 증가와 감소 현상의 모의는 UKESM-CRI가 UKESM-Strattrop 보다 더욱 잘 일치하였다. 이를 통해 보다 정교한 전지구규모 대기화학과정의 도입은 대기 조성 물질의 수치 모의 성능을 향상시키며, 더 나아가 중층대기 Brewer-Dobson 순환(BDC)의 모의에 도움이 됨을 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evaluating the reproductive health of bivalves using intersexuality. We analyzed purplish bifurcate mussel Mytilisepta virgata (n = 67, shell height 37.1±8.3 mm),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n = 288, shell length 28.6±4.2 mm) collected from coastal water near Yeosu, Korea. The sex ratio (female:male) of M. virgata and R. philippinarum were 1:1.5 and 1:0.8, respectively, and showed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collection area. The total intersexuality of M. virgata was 20.9%. The intersexuality in female (33.3%) was higher than in male (12.5%), and the regional intersexuality was 72.7% in Sogyeongdo, 20.0% in Oesamdo and 5.6% in Jungsamdo with the highest in Sogyeongdo. The total intersexuality of R. philippinarum was 11.8%. The intersexuality in female (17.5%) was higher than in male (4.7%), and regional intersexuality was 20.0% in Neungchodo, 13.0% in Dokdo, 2.8% in Samdo, 5.9% in Orando, 19.6% in Oesamdo with the highest in Neungchodo. The incidence of intersexuality according to distance from cities and ports each sampling area showed no clear tendency. Intersex specimens were showed histological structure changes of digestive gland, such as digestive tubule disruption and necrosis of epithelial cells, accumulation of eosinophilic granules in lumen of tubule, necrosis of connective tissue. These results suggest that not only the histological structure of the digestive gland but also intersexuality should be used as important biomarker for toxicity assessment of pollutants.
본 연구는 감초(Glycyrrhiza glabra L.)의 미백 화합물인 Glabridin (GB)의 피부 관련 연구의 특성을 검토하여, 새로운 분야의 연구 탐색과 산업적 응용 가치를 판단하기 위해 GB의 생물학적 효능 효 과, 피부 미백과 메커니즘, 안정성 및 제품 활용 관련 문헌을 분석하였다. 구글 학술검색과 PubMed 및 KCI를 통해 피부 미용과 직접적인 특성을 다룬 128편의 문헌을 분석한 결과, GB는 항산화, 항염 등의 효 능으로 피부 미백과 건선, 아토피 등 다양한 피부 증상을 효과적으로 개선한다. 이는 여러 신호 전달 경로 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발휘되고 미백은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와 멜라닌 색소의 감소를 통한 색소 침착 개선의 메커니즘을 갖는다. GB의 안정화와 피부 투과도 개선을 위해 리포좀, 캡슐화, 나노입자, 복합체 등 의 기술이 전략적으로 연구됨으로써 고효율의 제품 개발 가능성이 향상되고 있다. GB의 이러한 피부 미용 적 측면에서의 연구 동향을 파악함으로써, 본 연구가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 생체이용률이 증가하는 고효율 화장품 개발에 참고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resilience and learning agility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nurses who experienced job rotation. Methods: This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as conducted with a convenience sample of 180 nurses who experienced job rotation within one year at a university hospital in C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to August 2022. A total of 176 valid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scales measur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resilience, and learning agility. Data analysi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27.0 program. Result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resilience emerged 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nurses who experienced job rotation, followed by satisfaction with their current department and the reason for departmental change.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resilience significantly influenc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job-rotated nurses.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programs to enhance resilience among nurses who experience job rotation, thereby improving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