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95

        261.
        2001.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olecular cloud associated with the H II region S301 has been mapped in the J = 1-0 transitions of 12CO and 13CO using the 13.7 m radio telescope of Taeduk Radio Astronomy Observatory. The cloud is elongated along the north-south direction with two strong emission components facing the H II region. Its total mass is 8.7 × 10 3 M⊙. We find a velocity gradient of the molecular gas near the interface with the optical H II region, which may be a signature of interaction between the molecular cloud and the H II region. Spectra of CO, CS, and HCO+ exhibit line splitting even in the densest part of the cloud and suggests the clumpy structure. The radio continuum maps show that the ionzed gas is distributed with some asymmetry and the eastern part of the H II region is obscured by the molecular cloud. We propose that the S301 H II region is at the late stage of the champagne phase, but the second generation of stars has not yet been formed in the postshock layer.
        4,000원
        264.
        2000.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8,600원
        265.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utographa californica 핵다각체병 바이러스(AcNPV)의 다각체 단백질과 초록색 형광 단백질의 융합단백질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초록색 형광 단백질 유전자는 AcNPV의 완전한 다각체 단백질 유전자의 앞쪽과 뒤쪽에 융합하여 다각체 단백질 유전자의 프로모터 조절하에 도입하였다. 이렇게 작성된 재조합 바이러스를 각각 Ac-GFPPOL 또는 Ac-POLGFP이라고 명명하였다. 이들 재조합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된 곤충세포주에서는 56kDa의 융합단백질이 발현되었다. 한편, 흥미롭게도 재조합 바이러스 Ac-POLGFP에 의해 감염된 세포주에서는 초록색 형광이 핵내에서만 다각체 유사 granular particle 형태로 관찰되었다. 반면에 Ac-GFPPOP에 의해 감염된 세포도주에서는 대부분 핵내에 존재하였지만, 세포질과 핵 모두에서 초록색 형광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발현된 융합단백질은 분명히 다각체단백질을 포함하고 있음에도 다각체는 형성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융합단백질에서 다각체단백질의 위치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4,000원
        266.
        1998.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600원
        267.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남부지방에서 분리한 곤충병원성곰팡이 Beauveria bassiana GY1-17균주를 이용하여 산림해충인 오리나무잎벌레(Agelastica coerulea), 밤나무혹나방(Meganola melancholica), 회양목명나방(Glyphodes perspectalis), 잔디해충인 등얼룩풍뎅이(Blitopertha orientalis), 채소해충인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및 거세미나방(Agrotis segetum)의 생물적 방제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한 결과, 오리나무잎벌레와 배추좀나방유충은 7.0~2.0 conidia/ml 농도에서 처리 7일과 5일후 100%의 치사율을 나타내었다. 밤나무혹나방유충은 0.03875~3.1 conidia/ml 처리에서 66.7~100%의 높은 치사율을 보였으나 회양목명나방유충은 2.0~2.0conidia/ml 처리에서도 전혀 치사되지 않았다. 등얼룩풍뎅이유충은 3.7 conidia/ml 농도에서 46.7%의 치사율을 보였고, 거세미나방유충은 2.5 conidia/ml 농도에서 63.3% 치사율을 나타내었다.
        4,000원
        269.
        199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배나방 유충에서 분리한 세포질다각체병 바이러스의 형태, 다각체 단백질 및 핵산의 전기영동상과 바이러스의 병원성을 조사하여 본 바이러스를 이용한 담배나방의 생물적 방제 이용성을 검토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다각체의 형태는 외관상 6각형으로 0.5~3.7 크기이고 바이러스 입자는 정 20면체로 55nm였다. SDS-PAGE에 의한 다각체 단백질은 단일 롤리?타이드인 24.3 Kd와 5개의 작은 구성분으로 이루어졌다. 바이러스입자는 7개의 폴리?타이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분자량은 28.0~133.6 Kd였다. 바이러스 게놈은 10개의 조각으로 된 총 분자량 18.08 Md인 이본쇄 RNA로 각 조각의 분자량 범위는 0.65~2.79 Md이였다. 3령 유충에 대한 담배나방 세포질 다각체병바이러스의 은 이었으며 의 농도에서 에서 16.4일이었다.
        4,000원
        270.
        2020.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describes the initial operations and preliminary results of the Instrument for the study of Stable/Storm-time Space (ISSS) onboard the microsatellite Next Generation Small Satellite-1 (NEXTSat-1), which was launched on December 4, 2018 into a sun-synchronous orbit at an altitude of 575 km with an orbital inclination angle of 97.7°. The spacecraft and the instruments have been working normally, and the results from the observations are in agreement with those from other satellites. Nevertheless, improvement in both the spacecraft/instrument operation and the analysis is suggested to produce more fruitful scientific results from the satellite operations. It is expected that the ISSS observations will become the main mission of the NEXTSat-1 at the end of 2020, when the technological experiments and astronomical observations terminate after two years of operation.
        271.
        201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섬광결정과 광센서의 정렬 오차가 TOF-PET 검출기 성능에 미치는 영향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한 쌍 TOF-PET 검출기는 3 mm × 3 mm × 20 mm 체적을 갖는 LYSO 섬광체와 3.07 mm × 3.0 7 mm 크기의 GAPD 광센서로 구성된다. 아날로그 출력신호는 증폭 및 균일도 보정이 수행되었고, 오실로스코프 기반 데이터 획득 장치에서 신호처리되었다. 각 검출기 정렬 오차는 0.0 mm, 0.5 mm, 1.0 mm, 1.5 mm 를 각각 적용하여 총 16단계의 정렬 오차를 발생시켰다. 검출기 정렬 오차가 증가함에 따라 광절정위 치는 약 400 mV에서 약 250 mV로 감소하였다. 또한, 에너지분해능은 11.6%에서 16.2%로, 시간분해능은 477 ps에서 632 ps로 저하되었다. 이 결과는 검출기 정렬 오차가 TOF-PET 검출기 성능저하에 큰 영향성을 내포함을 시사한다.
        272.
        2019.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aper examines the effect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on the economic growth of 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 (Lao PDR) between 1993 and 2015. The investigation is based on the influence of growth and economic absorptive capability determinants such as human capital, trade openness, and institutional quality. The methodological analysis uses a multivariate framework accounting capital stock, labor stock, FDI, human capital, trade openness, and institutional quality in regression of the Vector Autoregressive model. Augmented Dickey-Fuller unit root test, Johansen Cointegration test, and Granger Causality test were applied as parts of the econometric time-series analysis approach. The empirical results demonstrate the positive effects of FDI and trade openness, and the negative effects of human capital and institutional quality on the economic growth of the Lao PDR over the 1993 to 2015 period. The findings confirm that trade openness complemented by a sufficient level of infrastructure, education, quality institutions, and transparency significantly influence economic growth and attract more FDI. Research results lend credence to the need for the Lao PDR’s government to focus on improving its economic absorptive capability and economic competitiveness regionally and globally by improving wealth and resource management strategies, as failure to take this course of action could lead to the Dutch Disease effects.
        273.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suitability of surfactant to extract higher phenolic compound, flavonoid and antioxidant activity from Tartary buckwheat and evaluate the potentiality of surfactant as a screening agent for breeding purpose. Primarily, we employed two types of surfactant (Hydrophilic: Tween 20 and Lipophilic: Span 80) to select the suitable surfactant agent for the extraction of optimum bioactive compounds. Between two surfactants, Tween 20 showed highest efficiency at 4 mM concentration to extract total phenolic content (TP), total flavonoid (TF) and antioxidant activity (AA). Tween 20 at 4 mM concentration was fixed for further analysis along with hot water (90℃) treatment as a control. In our findings, highest TP (118 ㎎/g), TF (38 ㎎/g) and AA (76%) was achieved in KW21 and KW22 among the fifteen accessions of Tartary buckwheat. In other way, TP, TF and AA was 200%, 120% and 110% higher in surfactant formulation compared with control treatment, respectively.
        274.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피사체 두께 증가에 따른 산란선 발생이 의료 영상화질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 석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존 병원에서 검사빈도가 높은 흉부를 조직등가물질로 제작한 미국표준 협회(ANSI;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팬텀을 이용하여 피사체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발생하는 산란선 비율을 MCNPX 전산모사 하였으며, 실제 측정값과의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피사체 두께 증가에 따라 획득된 X선 영상을 이용하여 RMS 입상성 평가, RSD 및 NPS 분석을 통해 산란선 발생 증가 에 따른 화질 영향을 평가하였다. 흉부 팬텀위에 두께 1 인치의 아크릴 팬텀을 추가적으로 증가시키면서 분석한 결과, 표준 두께인 6.1 inc h에서 산란선 비율은 48.9 %를 기준으로 1 인치 증가시마다 57.2 %, 62.4 %, 66.8 %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이는 MCNPX 모의실험과 실제 측정한 산란선량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획득한 영상의 RMS 측정 결과, 피사체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표준편차가 낮아지는 값으로 도출되었다. 하지만 이를 평균 입사 선량을 고려한 RDS 분석에서는 6.1 inch에서 0.028, 7.1 inch의 경우 0.039, 8.1 inch 경우 0.051 및 9.1 inch에 서 0.062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났다. 이는 피사체 두께 증가에 따른 산란선 발생 증가가 신호대 잡음비 를 감소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검출기에 입사한 산란선 분포만 이용하여 측정한 NPS 결과에서 도 피사체 두께가 증가할수록 노이즈가 증가하는 결과로 도출되었다.
        275.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진단목적의 방사선 의료 영상의 활용의 증가에 따라 환자의 피폭 선량 증가와 의료영상의 진단적 가치 저하에 기여하는 산란선의 관리 및 저감을 위한 연구는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전 압 증가에 따른 산란선의 증감이 영상 화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ANSI 흉부 팬텀을 이 용하여, 관전압 변화에 따른 산란선 발생 비율을 측정하고, 산란선의 발생에 따른 화질 영향을 RMS(Root Mean Square) 입상성 평가, RSD(Relative Standard Deviation) 및 NPS(Noise Power Spectrum) 분석을 통해 고 찰하였다. 관전압 증가에 따른 산란선 발생비율은 73 kV 관전압에서 48.8%, 93 kV 관전압 인가시 80.1%로 점차 증 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관전압 증가에 따른 산란선 증가의 화질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RMS 분석 결 과, 관전압 증가에 따른 RMS 값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영상의 입상성이 떨어지는 결과로 도출되었다. 공간주파수 2.5 lp/mm에서의 NPS 값 또한 관전압 73 kV 인가에 비해 93kV 관전압 증가시 20% 정도 영상 의 잡음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관전압 변화에 따른 산란선 발생이 화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의료영상 품질 개선을 위한 연구의 기초 자료로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276.
        2017.11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2015년과 2016년에 ‘상주둥시’ 감의 수확시기 를 달리하여 수확 후 PE필름, 1-MCP 및 AVG를 처리가 저온저장동안 과실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2016년 과실 수확시기는 2015년에 비하여 10일 빠른 조기 수확을 실시하였다. 과실의 에틸렌 발생 정도는 조기수확 한 과실들에서 현저히 낮았고, 과실의 경도는 저온저장동안 1-MCP 처리구들이 다른 처리구의 과실에 비하여 높게 유지되었다. 과실의 감모율은 수확기를 달리한 모든 과실 들에서 PE 필름 처리 과실들에서 현저히 억제되었다. 성숙기에 수확한 과실은 저온저장 중 과실의 꽃받침 부위과 경와부의 과피색(L* 및 b*) 변화를 보면 무처리와 PE필름 처리구에 비하여 1-MCP 처리구들이 그 변화정도가 낮았다. 과실의 부패와 연화정도는 PE필름 처리 과실들에서 높게 나타났지만 AVG 처리구들에서는 부패과 발생이 없었다. 그리고 조기수확한 과일은 성숙기에 수확한 과실에 비하여 경도가 높게 유지되었고, 과피색의 변화가 낮은 경향을 보였고, 성숙기에 수확한 과실들은 당도, 과피의 적색 (Hunter a 값) 발현 및 호흡율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감 과실의 저장성 향상을 위해서는 조기수확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또한 수확 후 1-MCP 처리가 과일의 경도를 높게 유지하고 과피색의 변화를 억제하였으며, 과실의 감 모율은 PE 필름 처리에 의해 현저하게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277.
        201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몬테카를로 전산해석법으로 K대학교 진료영상 촬영 실습실의 방사선 조사실과 발생장치 제어실 내부 공간 유효선량률 분포 계산을 수행하였다. 방사선 발생장치는 최대 관전압 150 kVp에 최대 관 전류 700 mA이다. 전산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차폐문이 닫힌 경우와 열린 경우의 진료영상 촬영 실습실의 공간선량 분포를 비교 평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차폐문이 열린 경우에도 방사선 발생장치 제어실의 유효선 량률은 학생(수시출입자)의 연간 유효선량률 한도(6 mSv/y)를 초과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 만, 차폐문이 열려있을 때의 유효선량률이 차폐문이 닫힌 경우에 비해 납유리 앞에서는 약 16배, 차폐문 앞 에서는 약 3,000배 더 높기 때문에 실습 중에 차폐문을 닫는 것이 불필요한 방사선 피폭을 크게 줄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78.
        201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aerobic mesophilic batch tests of energy crops (forage barley, rye, Italian ryegrass, and oats)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their ultimate biodegradability and two distinctive decay rates (k1 and k2) with their corresponding degradable substrate fractions (S1 and S2). Graphical statistical analysis and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BMP) tests showed that the ultimate biodegradability was 82 ~ 88% for forage barley, 70 ~ 77% for rye, 66 ~ 79% for Italian ryegrass, and 59 ~ 67% for oats. The readily biodegradable fraction (S1) of 73% of forage barley biodegradable volatile solid (BVS, S0) degraded within the initial 40 days at k1 of 0.055 day−1, whereas the slowly biodegradable fraction (S2) of BVS degraded over more than 80 days with long term batch reaction rates of 0.002 day−1. For oats, this readily biodegradable portion (S1) was 57%, which degraded with a k1 of 0.023 day−1 for the initial 60 days. The minimum hydraulic retention time (HRT) for the anaerobic digestion of forage barley, rye, and Italian ryegrass were estimated in the range 45 ~ 55 days and 65 days for oats.
        279.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resent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bitter melon’, a popularly used fruit in Bangladesh and several other Asian countries, on high-fat-diet-induced type 2 diabetes. To investigate the effect, ethanol extract from bitter melon (BME) as a dietary supplement with mouse chow was used. BME was found to significantly attenuate the high-fat diet (HFD) -induced body weight and total fat mass. BME also effectively reduced the insulin resistance induced by the HFD. Furthermore, dietary supplementation of BME was highly effective in increasing insulin sensitivity and reducing hepatic fat and obesit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ME could be effective in attenuating type 2 diabetes and could therefore be a preventive measure against type 2 diabetes.
        280.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Cu ion is an essential mineral of animal feed. But rapid degradation of Cu ion in animal intestine causes poor immune activity and potential environment hazard. Therefore, to enhance immune system and control metal ion deliverly in intestine, we developed Cu ion nano suspension. In animal feed, > 127 ㎎/g of Cu ion are found but only 5 - 7 ㎎ are used out of them. Therefore, huge loss of Cu ion causes environment, economy and animal health problem. Methods and Results : Seven formulation were prepared to prepare nano suspension (particle size < 200 ㎚) of CuSO4. The particle diameter, polydispersity index, and zeta potential values of the samples were measured using dynamic light scattering (DLS) and laser Doppler methods (ELS-Z1000; Otsuka Electronics, Tokyo, Japan). Absorbance and Cu ion concentration was measured using UV-VIS Spectrophotometer. Cu ion nano particle (< 200 ㎚) was found in a formulation comprised of Cu ion : surfactant (lipophilic : hydrophilic) and PEG. In consistence with this result, total absorbance and concentration was found higher in the same formulation compared to control. Conclusion : From our experiment we may conclude that mixture of Cu ion : surfactant (lipophilic : hydrophilic) and PEG successfully prepared nano suspension which slow down the degradation of Cu ion in intestine with improving feed quality, animal health and prevent potential environment poll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