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36

        286.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네모집날도래과의 Goerodes sinuatus (Martynov)와 바수염날도래과의 Psilotreta falcula Botosaneanu와 P. locumtenens Botosaneanu를 남한에서 처음으로 기록하였다. 사육에 의하여 Goerodes elongatus (Martynov)는 유충단계를 처음으로 밝혔고, 그간 혼동되었던 Psilotreta kisoensis Iwata 와 P. locumtenens Botosaneanu의 유충과 성충관계를 밝혔다.
        4,000원
        287.
        1999.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나비날도래과의 7종을 다음과 같이 한국에서 처음으로 기록하였다. Mystacide azurea(Linnaeus)를 한반도에서 처음으로 기록하였고, Ceraclea armata Kumanski, C. lobulata (Martynov), C. morsei Kumanski, C. sibirica(Ulmer), Mystacides dentata Martynov 및 Triaenodes unanimis McLachlan을 남한에서 처음으로 기록하였다. 각종의 성충에 대한 진단문을 검색형질의 삽화와 함께 수록하였다. 또한 분류학적 소견, 이명 및 국명을 제시하였다.
        4,000원
        289.
        2021.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we present observations of the Space Radiation Detectors (SRDs) onboard the Next Generation Small Satellite-1 (NEXTSat-1) satellite. The SRDs, which are a part of the Instruments for the study of Stable/Storm-time Space (ISSS), consist of the Medium-Energy Particle Detector (MEPD) and the High-Energy Particle Detector (HEPD). The MEPD can detect electrons, ions, and neutrals with energies ranging from 20 to 400 keV, and the HEPD can detect electrons over an energy range from 0.35 to 2 MeV. In this paper, we report an event where particle flux enhancements due to substorm injections are clearly identified in the MEPD A observations at energies of tens of keV. Additionally, we report a specific example observation of the electron distributions over a wide energy range in which we identify electron spatial distributions with energies of tens to hundreds of keV from the MEPD and with energy ranging up to a few MeV from the HEPD in the slot region and outer radiation belts. In addition, for an ~1.5-year period, we confirm that the HEPD successfully observed the well-known outer radiation belt electron flux distributions and their variations in time and L shell in a way consistent with the geomagnetic disturbance levels. Last, we find that the inner edge of the outer radiation belt is mostly coincident with the plasmapause locations in L, somewhat more consistent at subrelativistic energies than at relativistic energies. Based on these example events, we conclude that the SRD observations are of reliable quality, so they are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dynamics of the inner magnetosphere, including substorms and radiation belt variations.
        290.
        202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green synthesis of inorganic nanoparticles (NPs) using biomaterials has garnered considerable attention in recent years because of its eco-friendly, non-toxic, simple, and low-cost nature. In this study, we synthesized NPs of noble metals, such as Ag and Au using an aqueous extract of a marine seaweed, Ecklonia cava. The formation of AgNPs and AuNPs was confirmed by the presence of surface plasmon resonance peaks in UV-Vis absorption spectra at approximately 430 and 530 nm, respectively. Various properties of the NPs were evaluated using characterization techniques, such as dynamic light scatter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energy-dispersive X-ray spectroscopy,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and X-ray diffraction analysis. Phytochemicals in the seaweed extract, such as phlorotannins, acted as both reducing and stabilizing agents for the growth of the NPs. The green-synthesized AgNPs and AuNPs were found to exhibit high catalytic activity for the decomposition of organic dyes, including azo dyes, methylene blue, rhodamine B, and methyl orange.
        291.
        201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업 비파괴 분야에서 사용되는 방사선원은 장비의 노후화 및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선원이 노출되는 사고가 발생되어 왔다. 이에 선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는 안전관리 시스템의 필요성이 부곽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원의 위치 추적을 위한 line-array 선량계를 구성하는 unit-cell 선량계 단위의 각도의존성을 분석하기 위해 Monte Carlo Simulation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각 기울기에서 상위 1 0% 수치에 대한 오차율은 0°에서 5.90%, 30°에서 8.08%, 60°에서 20.90%의 오차율을 보였다. 총 흡수선량의 비율은 0°(100%)를 기준으로 30°에서 83.77%, 60°에서 53.36%로 나타났으며 기울기가 증가함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성을 보였다. 모든 기울기에서 최대 수치는 30°의 No. 9에서 나타났으며, No. 10에서는 7.24% 낮아지는 경향성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 각도의존성은 크게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낮추기 위해서는 선원과 line-array 선량계의 적정거리는 1 cm 이상의 거리에서 유지해야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292.
        201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도입된 FFF 빔을 활용하는 방사선치료는 flattening filter에서 비롯되는 빔의 감쇠를 막을 수 있어 치료효율을 높일 수 있지만, 불균일한 단면적 선량분포에 대하여 정확한 정도관리가 구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광도전체 물질 HgI2 기반의 곡면 선량계를 제작하였으며,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6 MV 광자에너지에서 재현성 및 선형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곡면 계측의 유용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아크릴 필터를 적용한 FFF beam에서 평면 기판과 곡면 기판 상에서 계측되는 신호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Unit cell 선량계의 재현성은 SE 0.613%, 선형성은 R-sq 0.9999로 나타났으며, line array 곡면 선량계의 유용성 평가는 평면 기판에서 23.337%, 곡면 기판에서 12.264%로 11.073%p 감소된 신호 차이를 보였 다.
        293.
        201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60 및 Ir-192 등의 방사성 동위원소가 비파괴 검사(Non-Destructive Test; NDT) 등의 분야에서 널리 쓰 임에 따라 방사선 안전관리가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요오드화수은(Mercury(Ⅱ) Iodide; HgI2) 의 선원추적 시스템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HgI2로 제작된 Unit cell 센서의 신뢰도 검증을 위한 전기적 특성평가를 수행한 후, 방사선에 대한 센서의 위치의존성을 분석하고, Planning system의 선량 분포와 비교 하였다. 평가결과, R-sq>0.99 이상의 선형성과 CV<0.015 이하의 재현성을 보이며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치의존성 평가에서는 센서의 isocenter에서 최댓값이 측정되었으며, 거리에 따라 점진적 감소를 나타냈다. 그러나 Planning system 상의 선량 분포 데이터와는 최대 30%의 차이를 보였는데, 센서는 단일지점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Planning system과 달리 면적으로부터 수집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294.
        201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많은 선행 연구에서는 무연 차폐재를 제작하기 위하여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방사선 차폐 능력과 경량화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바인더 및 미세 기공에 대한 구현이 어렵기에 제품화 공정에 필요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품화 공정에 요구되는 겔 페이스트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제공하기 위하여 스크린 프린팅 공법을 활용하여 충전율에 따른 방사선 차폐 능력에 대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 차폐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IEC 61331-1: 2014와 KS A 4025에 부합하도록 실험 환경을 설계하였으며, 방사선 조사 조건은 KS A 4021 규격을 준용하여 총 여과 2.0 mmAl로 여과된 100 kVp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TVL를 기준으로 Pb 1270 μm, BaSO4 3035 μm, Bi2O3 1849 μm, WO3 2631 μm에서 근사한 값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충전율은 BaSO4 38.6%, Bi2O3 27.1%, WO3 30.15%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차후 저온고압 성형을 적용한다면 충전율을 높이면서도 기공률을 낮춤으로서 방사선 차폐 능력의 개선이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295.
        201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increase the medicinal herbs efficiency of drug delivery, vesicles contained with medicinal herbs were prepared by phosphatidylcholines and surface active agent. Vesicles loaded with medicinal herbs were characterized by UV-spectroscopy, Zetasizer. The antioxidant activity of vesicles was measured by DPPH assay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ssays. Also, a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nti-inflammatory of vesicles contained medicinal herbs. In addition, the whitening effects of vesicles contained medicinal herbs extract were studied via tyrosinase inhibition assay. The results of vesicles were as follows. Vesicles appeared an average diameter of approximatively 164-599 nm. All studied vesicles contained with medicinal herbs showed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whitening effects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refore, this experiment achieves its purpose of synthesizing of vesicles. In conclusion, we recommended that the vesicles loaded with medicinal herbs have ability for anti-aging materials. Specifically, it will apply to cosmetic ingredients.
        296.
        201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웰빙이라는 자연친화적인 건강한 삶을 핵심 가치로 추구하면서 실내 공기질의 개선을 위한 다양한 친환경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친환경 도료의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천연방사성 물질인 라돈 저감이 가능한 활성탄 복합 시트를 개발하고 라돈, HCHO, VOCs에 대한 저감 효과를 평가 하였다. 활성탄 복합 시트는 규산나트륨 에멀젼과 활성탄을 혼합하여 활성탄 액상 도료를 제조하고 에어스프레이 공법을 통하여 복합 시트로 제작하였다. 제작된 활성탄 복합 시트에 대한 유해물질 저감 성능을 분석하기 위해 라돈은 환경부 고시, HCHO 및 VOCs는 KCL-FIR-1085 기준에 부합하도록 설계하였다. 실험결과, 제작된 활성탄 복합 시트는 20시간에서 약 90.8%의 라돈 저감 효율을 가지는 것으로 평가되었고, HCHO 및 VOCs는 3시간에서 각 96.7%, 96.6%의 저감 효율이 나타났다.이러한 결과는 실내 공기 질 개선을 위한 제품 개발 시 기초 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297.
        2018.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haracterization of detectors installed in space- and ground-based instruments is important to evaluate the system performance. We report the development of a detector performance test system for astronomical applications using the Andor iKon M CCD camera. The performance test system consists of a light source, monochromator, integrating sphere, and power meters. We adopted the Czerny–Tuner monochromator with three ruled gratings and one mirror, which covers a spectral range of 200–9,000 nm with a spectral resolution of ~1 nm in the visible region. Various detector characteristics, such as the quantum efficiency, sensitivity, and noise, can be measured in wide wavelength ranges from the visible to mid-infrared regions. We evaluated the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KASI) detector performance test system by using the performance verification of the Andor iKon-M CCD camera. The test procedure includes measurements of the conversion gain (2.86 e−/ADU), full well capacity (130 K e−), nonlinearity, and pixel defects. We also estimated the read noise, dark current, and quantum efficiency as a function of the temperature. The lowest measured read noise is 12 e−. The dark current at 223 K was determined to be 7 e−/s/pix and its doubling temperature is 5.3°C ± 0.2°C at an activation energy of 0.6 eV. The maximum quantum efficiency at 223 K was estimated to be 93 % ± 2 %. We proved that the quantum efficiency is sensitive to the operating temperature. It varies up to 5 % in the visible region, while the variation increases to 30 % in the near-infrared region. Based on the comparison of our results with the test report by the vendor, we conclude that our performance test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ose from the vendor considering the test environment. We also confirmed that the KASI detector performance test system is reliable and our measurement method and analysis are accurate.
        298.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의료분야에서는 방사선 차폐체로서 납(Pb)이 널리 쓰이고 있다. 하지만 납은 무게가 매우 무거워 납 치마 등의 방호복은 장시간 착용이 어려우며, 인체에 치명적인 납 중독의 위험이 상시 가지고 있다는 문제 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납을 대체 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 납의 대체물질로써 대표적인 바륨(Ba)과 요오드(I) 등은 우수한 차폐능을 가지고 있지만, 30keV 근처의 에너지 영역에서 특성 X선을 방출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환자나 방사선 종사자의 경우 차폐체를 인체에 접촉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차폐체에서 발생되는 특성 X선이 인체에 직접 조사되어 방사선 피 폭을 증가시킬 위험이 매우 높다. 본 연구에서는 바륨(Ba)과 요오드(I)등에서 발생되는 특성 X선을 제거하기에 적절한 이중구조 차폐체를 방사선 수송코드 중 하나인 FLUKA 수송코드를 개발하여 선행연구로서 진행된 MCNPX 시뮬레이션과 비 교 분석하여 이중구조 차폐체의 차폐율에 대한 신뢰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MCNPX와 FLUKA를 이용하 여 황산바륨(BaSO4)과 산화비스무스(Bi2O3)로 이루어진 다양한 두께조합의 이중구조 차폐체를 설계하였으 며, IEC61331-1에 제시된 모식도를 기하학적으로 동일하게 시뮬레이션 상에 구현하였다. 또한, 120 kVp 의 연속 X선 스펙트럼에 대한 차폐체의 투과스펙트럼과 흡수선량을 납과 비교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0.3 mm-BaSO4/0.3 mm-Bi2O3 와 0.1 mm-BaSO4/0.5 mm-Bi2O3 구조에서는 33 keV와 37 keV의 특 성 X선을 모두 흡수하였으며, 90 keV 이상의 고에너지 X선에 대해서도 납과 거의 유사한 차폐효율을 보였 다. 또한, FLUKA의 수송코드는 33 keV 이하에서는 cut-off 가 발생하여 저에너지 X선 광자에 대한 전산모 사에 제약이 있지만, 40 keV 이상의 고에너지 영역에서 MCNPX와의 상대오차가 6 % 이내로 신뢰성이 매 우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99.
        2017.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research, carbon dioxide is captured and chemically converted to high purity calcium carbonate salt which can be used for various industrial fields. Aqueous indirect inorganic carbonation methods were applied throughout the research and seawater-based industrial wastewater was utilized for metal ion supply. For CO2 capture, representative alkanolamine absorbent solutions in 30 wt% concentration were used, that is, monoethanolamine (MEA), diethanolamine (DEA), and methyldiethanolamine (MDEA). For high purity metal ion separation, calcium ion contained in the seawater-based industrial waster was separated in the form of gypsum followed by the carbonation reaction to form high purity calcium carbonate salt. Consiering the final products and their economic cost, the cycle using MEA will be proper. However, if MDEA can be used,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capture capacity per cycle would be great. Also, conceptual continuous cycle which produces calcium carbonate and magnesium carbonate was suggested. This research may help the nations such as European nations or east asian countries like Korea and Japan where no adequate CO2 storages exist and crust activities are in progress, if commercialized.
        300.
        201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verify effectiveness related to job stress, depression or fatigue of hospital workers, by let them wearing necklaces with essential oils injected which were extracted from herb plants, as an alternative therapy. For this study, totally 60 people were selected who work in K hospital located in D city, in accordance with their agreement with participation in, and who were divided into 30 and 30 for a control group and an experimental group as appropriate subjects. The study was followed for 2 weeks from June 29 of 2015 by July 10 of 2015, by letting the experimental group wearing essential oils necklaces with a distance of 20 cm from noses during working time for 8 hours per day. After inhaling essential oils by wearing the necklaces, the job stress status didn’t have obvious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statically, such as 104.1±11.3 points from 101.2±10.3 points for the control group and 104.7±9.8 points from 104.9±9.0 points for the experimental group. In case of the depression status, the control group had no difference such as 28.8±8.0 points from 29.4±9.0 points, and the experimental group had small decrease with 0.017 points such as 26.6±5.3 points from 28.5±5.6 points. In case of the fatigue status, the control group had no difference such as 75.7±19.7 points from 72.0±19.0 points, and the experimental group had small decrease with 0.049 points such as 64.3±20.0 points from 70.5±19.0 poi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