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2

        22.
        2004.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돼지 미성숙 난포란의 유리화 동결액에 노출시 독성과 삼투압 스트레스가 가장 적은 유리화 동결액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미성숙 난포란을 EFS(40% ethylene glycol +18% ficoll +0.3 M sucrose) 용액, ES(5.5 M ethylene glycol +1.0 M sucrose) 용액, GE(10% glycerol +20% ethylene glycol) 용액에 각각 노출하고 대조구로 아무 처리하지 않은 난포란을 체외성숙하여 관찰한 체외성숙율은 ES 용액과 대조구 에서 EFS 용액과 GE 용액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유리화 동결액의 독성에 의한 난포란의 퇴화율은 대조구, ES 용액, EFS 용액, GE 용액 순으로 유의적으로 낮은 퇴화율을 나타내었다(P<0.05). 미성숙 난포란을 EFS 용액, ES용액, GE용액에 각각 노출하고 대조구로 아무 처리하지 않은 난포란을 체외성숙, 체외수정하여 관찰한 정상 수정율은 대조구가 세 종류의 유리화 동결액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P<0.05), 유리화 동결액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다정자 침입율과 난자당 침입한 평균 정자수는 모든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미성숙 난포란을 EFS 용액, ES 용액, GE 용액에 각각 노출하고 대조구로 아무 처리하지 않은 난포란을 체외성숙, 체외수정, 체외 배양하여 관찰한 수정 3 일째의 분할율은 ES 용액과 대조구가 EFS 용액과 GE 용액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수정 7일째의 배반포 형성율은 모든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배양기간 동안 나타난 퇴화율은 대조구가 세 가지 유리화 동결액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고(P<0.05), ES 용액은 EFS 용액과 GE 용액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퇴화율을 나타내었다(P<0.05).
        4,000원
        23.
        200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난자의 체외성숙 및 체외배양에는 일반적으로 동물의 혈청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채취한 소의 상태에 따라서 혈청의 질에 차이가 있어 실험데이터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고, 그것으로부터 바이러스, 세균, 마이코플라즈마 등에 오염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완전 무 혈청 배양액에서 난자의 성숙, 배 발생율, 세포 수, 동결성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근래 혈청배지로 생산한 체외 배양 수정란은 과체중의 산자 생산, 초기 산자 사망률, caesa
        4,500원
        29.
        200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미성숙, 성숙 단계의 돼지 난포란이 유리화 동결에 의한 동결보존이 가능한지를 조사 하고자 실시하였다. 난포란은 세포질 내 지방구를 분극시키기 위해 원심분리를 실시하였고, 미세조작기를 이용하여 지방구를 제거하였다. 돼지 난포란을 CB 처리하여 원심분리 후 지방구를 제거한 지방제거구(Delipated), CB 처리 후 원심분리만 하여 지방구를 분극시킨 원심분리구(Centrifuged), 아무처리도 하지 않은 대조구(Control)를 EM grid
        4,600원
        30.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원시난포의 체외배양 체계를 확립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10일과 20일령 마우스의 난소에서 분리한 난포를 체외배양하여 난포의 형태변화, 난자의 성장를 및 난자의 핵성숙단계를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0일령과 20일령의 마우스에서 분리한 난포는 배양 6일째부터 난포강이 형성되었다. 2. 10일령과 20일령 마우스의 난소에서 분리한 난포의 수는 평균 21.5와 33.3개였고, 배양하기 전에 투명대를
        4,000원
        31.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원시난포의 체외배양 체계를 확립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0, 5, 10, 15 및 20일령 마우스에서 분리한 난소를 20, 15, 10, 5 및 0일동안 organ culture 하여 난소의 성장률, 난자의 회수율과 성장률 및 난자의 핵성숙 단계를 조사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Organ culture 전과 후의 각 일령에 따른 난소의 면적 차이는 0일령 35.9%, 5일령 8.7%, 10 일
        4,000원
        32.
        2002.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싸움소(투우)는 1999년 문화관광부지정‘한국의 10대 지역문화 관광축제’로 선정되어, 청도군 투우대회가 한국을 대표하는 축제가 되었고, 상설투우장의 건설로 새로운 레져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싸움소 생산에 소요되는 유전인자 보존 및 생산기반은 전무한 실증이며, 본 연구는 청도군내 우수 종모우을 선별하여 정액채취 및 동결정액을 생산하여 군내 한우번식 농가에서 인공수정을 실시하고 계절별 수태율과 송아지의 성비를 조사하였다. 종모우 번개(나이6세, 체중850kg, 97, 98년 우승)와 사자(나이6세, 체중870kg 98, 99년 준우승) 2두로부터 일반적인 방법으로 인공질을 이용하여 1999년 10월에 정액을 채취하였다. 채취된 정액은 35에서 3~5배정도로 희석하여 정자농도와 활력을 평가하였다. 희석정액은 90분간에 걸처 5 까지 냉각하면서 글리세롤을 첨가한 난황구염산나트륨액으로 여러번 나누어 희석하여 정자의 충격을 피하였다. 글리세롤평형 2시간 후 0.5스트로에 정자수가 3500만/스트로의 분주.봉인하여, 정액의 동결은 액체질소상에서 4~5cm 위에 스트로를 평행으로 놓아 액체질소 가스로 10~15분간 예비동결한 다음, -8의 초저온 냉장고에서 케니스터에 넣어 -196 액체질소에 보관하였다. 인공수정을 실시하고 40일 전후에 직장검사를 통해 임신율과 수태율을 조사하고 분만한 송아지의 성비를 기록하였다. 채취한 싸움소의 정액량은 번개와 사자가 각각 평균 4.6와 3.8이고, 동결전의 정자의 활력은 번개와 사자의 정액이 각각 70.3 vs 75.3%, 동결후의 활력은 37.3 vs 40.3%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번개와 사자의 동결정액으로 각각 44두와 127두를 인공 수정하였고, 40일 전후의 임신율은 26두 vs 80두(59.1 vs 63.0% )였으며, 수태율은 26두 vs 66두(59.1 vs 52.0% )로 이들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번개와 사자의 수송아지의 성비는 각각 65.3 vs 42.4%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싸움소 정액 동결보존과 인공수정으로 싸움소 혈통을 가진 송아지가 생산되었다. 그러나 생산된 송아지가 싸움소의 능력을 가진 것을 선별하여 혈통을 고정시키고, 훈련으로 싸움소의 제질을 발굴하는 것이 앞으로의 연구과제이다.
        35.
        200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 of culture methods on development of embryos with each developmental stage after heat shock in bovine oocyte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ellows. 1. The culture method after heat shock on development of embryos was better drop-culture than co-culture. 2. The medium without amino acids were not effect of heat sock on development of embryos but it was in need of amino acid during formation of blastocyst.
        4,000원
        37.
        200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iological factors on the in vitro production(IVP) of bovine oocytes for development of simple culture methods and medium. Oocytes from the slaughterhouse ovaries were matured and fertilized using general protocol and this study was examined if there were necessary to co-culture, media change, media type and embryo density. This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development rate according to co-culture with cumulus cells and non co-culture as drop cultu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cleavage (68.9 vs 71.7%), 8-cell stage (41.2 vs 44.1%) and blastocyst stage (12.2 vs 13.8%), respectively (p<0.05) 2. The blastocyst development rates in YS and CRIaa were higher than that in TCM199 (12.4, 10.4 vs 3.7%), but the cleavage (69.0, 77.8 and 61.0%) and 8-cell stage (31.7, 37.0 and 35.7%) development accoring to YS, TCM199 and CRIaa w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respectively (p<0.05). 3.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t in cleavage (62.6, 59.5 and 61.2%), 8-cell(34.7, 37.9 and 34.0%) and blastocyst (9.5, 11.6 and 12.8%) development among medium change time as control, Group I and Group II, respectively (p<0.05). 4. Blastocyst formation of 8-cell stage according to embryo densi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1, 10 and 25 embryos (27.3, 22.5 and 34.0%), respectively (p<0.05).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simple culture system could reduce bovine IVP embryos as drop culture as non co-culture system, high density embryo (25 embryos/50 1 drop). YS defined medium and no medium change for whole culture period, although other biological factors need to examine in order to produce efficient IVP bovine embryos.
        4,000원
        38.
        200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embryo transfer and embryos produced in vitro according to select good quality blastocyst among in vivo or in vitro produced embryos. After middle blastocys(MB) and late blastocyst(LB) stages embryos that developed in vitro for 7∼8 days were treated hypertonic solution(380 mOsm or 600 mOsm) and the rate of development to hatched blastocyst(HB) was examined.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proportion of embryos developed to HB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regardless of hypertonic solution treatment. However, it was related to culture time in hypertonic solution The propotrion of embryos developed to HB of morphologically recovered embryos in 380 nOsm solution ws higher than that of morphologically shrinked embryos. However, treatment tim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rates of HB development. Especially, the proportion of embryos developed to HB of morphologically recovered embryos of the 30-min-treated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p<0.05). The results suggest that hypertonic solution treatment should enhance the efficiency for criterion of transferable blastocyst quality.
        4,0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