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2

        21.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mprove the labor-intensive task to construct of the traditional ginseng shading system in Korea. In this experiment the selected shading materials was new 6 kinds that HDPE - knitted- monofilament and taped PE Net, with taking into account of the amount of light and the amount of leakage to screen the UV stabilized 0.3% - 0.6%.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shading material, the black-shading material (wt. 200g/㎡) and the yellow shading material (wt. 300g/㎡) was suitable for the ginseng growing environments in Korea. Methods and Results : The installation of shading system was the 45 degree slope -2 meter height from the ground with the selected shading materials for the wide structure ginseng cultivation. Temperature and light intensity was measured with a week interval from the surface to a height of 30cm. The two kinds of the 1st selected materials and the traditional black + blue two layer shading materials, aluminum screen, Canada Gintec shading material, total 5 kinds of materials were installed in wide structure. The growing environmental analysis was measured using data logs (watchdog 1600series). Conclusion : In the first selection of shading materials for Ginseng wide structure, the levels of light intensity were higher in order of blue-shading> Aluminum- shading> black-shading order. The temperatures of the under wide structures were lower in order of the black-shading< aluminum-shading screen< blue-shading order, especially the temperature of the black shading material was lower than the outside temperature. For the second selection of shading material of the ginseng wide structure, the black and yellow shading material were superior to the other materials, in the amount of light shading material and growing conditions and the degree of leakage etc. The temperatures of mid-May in wide structures of ginseng cultivation were higher in order of aluminum-screen> Canada shading materials (Gintec Co.) 2 layer material> Yellow shading> black shading order, and also the amounts of light intensity also was shown to be with the same manner
        22.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e production of healthy ginseng seedling is a critical part of growing 5-6-year-old fresh ginseng. Recently, for the problem of replant failure, it becomes more and more difficult to find first planted field for ginseng seedling cultivation. In this situ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seedling production practices of ginseng by utilizing the multi-beds cultivation system as a way to produce ginseng seedling stably. Methods and Results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by installing a 3-layed cultivation beds using 50㎜ sandwich panels. As the 1st and 2nd beds get insufficient amount of light, fluorescent lights were installed in 2 rows to further lighten up. And the 3rd bed used natural light. The bed soil used was formulated by mixing saprolite, yakto and peat moss. The control was cultivated under natural light on 1-layed bed with commercial bed soil for ginseng seedling. The commercial bed soil had pH 7.24, higher than the standard of permission, 6.5; and its calcium and sodium contents were 10.7, and 0.85 cmol+/㎏, respectively, higher than the standard. The available phosphate concentration was 34.0㎎/㎏, lower than the appropriate level of 100 ㎎/㎏. The mixing bed soil also had pH 7.69, higher than the standard but its nitrate and phosphate were within the appropriate range. The intra-facility light quantities of the 1st and 2nd beds were constant at around 100 μmol during days. But the light quantity of the 3rd bed was 51.4 μmol in average daily value. The roots of the 1st-3rd beds were found to weigh 0.58 – 0.73 g while those of the control group, about 0.47g to show heavier root weight of the multi-beds cultivation ginseng than that of the control. As for the yield, the control showed 145 ㎏/10a whereas the 1st-3rd beds showed higher levels between 183 – 228 ㎏/10a. Conclusion : In the multi-beds cultivation of ginseng seedling, fluorescent lamps seem to have provided sufficient light as an artificial light source. The soil for ginseng seedling production is different from ginseng cultivation field soil, additional study will be also necessary to set up the physiochemical range of bed soil for ginseng seedling.
        23.
        2016.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Ginseng farmers prefer first planted field because of replant failure. But the accumulation of nutrients is higher in the first planted field due to using large amounts of chemical fertilizers and manure. The higher phosphate concentration in preparation field decreased emergence ratio and occurred leaf chlorosis in ginse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echnology for reducing phosphate concentration in preparation field of ginseng. Methods and Results : This study was performed in farm's fild located Yeongju in 2015. Treatment of plots consisted of sudangrass, maize, deep plowing + sudangrass and microbes(Rhodobacter sphaeroides, Bacillus subtilis, streptomyces griseus) + sudangrass. sudangrass and maize were sown in early May to 5kg / 10a. Microbes diluted 500 times were treated to drench the soil before sowing crops(400L/10a). The main survey was yield of crop, soil chemical properties, reduction ratio of phosphate and changes in available phosphate. Reduction ratio of phosphate in the plot of maize and Rhodobacter sphaeroides were 27.9% and 24.3%, respectively, which were higher 2∼5% than the control plot. Fresh weight yield was the highest with 11.1ton / 10a in the plot of maize and ratio of dry matter was the highest with 27% in the plot of maize. Conclusion : The phosphate removal ability of maize was better than sudangrass in phosphate accumulation soil. Subsoil reversed using excavators used by some farmers could not mitigate of phosphate and salts concentration in preparation field. The soil that phosphate concentration is more than 1,000mg/kg is required a long-term management.
        24.
        2016.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e Ginseng has been one of the crops that represents Korea, and the main export items in the 1960s, Now it occupies the first exports of agricultural products. The Eco-friendly cultivation of Ginseng was difficult for various reasons. But the cultivation in Green House can be suppressed disease occurrence, when utilizing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s has the advantage that can dramatically increase the income by possible organic production. For other crops, it made up a lot of studies on water management, But the studies on water management of ginseng is somewhat lacking.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ppropriate soil- moisture-management-systems within the house of ginseng cultivation. Methods and Results : The type of house is a double steel structure. The first layer was PE film, the second layer was the blue shading net and 75% black shading net. The Soil texture was silt loam and the Soil Series was YEONGOK Series. Install the house on the adjacent paddy soil and upland soil, and planting on April 30, 2011 which was cultivated by the straw mulching. The irrigation start point was the 40, 30, 20kpa, and the end point was treated with 15, 10kpa. Soil moisture measurements were determined by tension meter(Jet Fill) depth 20cm in soil. Growth and Yield Survey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standard research. Statistical analysis of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he Microsoft's Excel 2003. Conclusion : In a survey due to differences in soil traits and Irrigation point, from 2 years to 4years of root weight and yield of Ginseng were heavier in the upland, especially 30kpa irrigation point treatment was heaviest than the other treatments. From 5year to 6 Years of ginseng has showed heavier in paddy soil, the most treatment was 30kpa- 15kpa irrigation point. This trend was the same in upland soil. Soil moisture management in the case of silt loam, the humid-state-control was more advantageous than dry-state control in upland and paddy soil.
        25.
        201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사람 피부 조직에서의 방사선 장해를 연구하는 방법은 실험동물에게 직접적으로 방사선을 노출하여 연구를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연구방법은 방사선을 실험동물에게 노출시킨 후에 방사선에 의해 손상된 장해조직의 세포를 획득하여 분 석을 하게한다. 이것은 시간적으로나 경제적으로도 많은 손실을 수반하게 된다. 이번 연구는 돼지의 피부를 사람의 피 부로 가정하여 실험하였다. 돼지피부의 두께를 정하여 돼지피부를 통과한 후 피하조직 밑에서 세포가 직접적으로 받을 수 있는 방사선량을 얻어내어 수식화 하였다. 이번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피부조직의 방사선 노출 후 피하조직 밑에서 발생되는 방사선량을 유추해낼 수 있다. 더 나아가 동물실험이 아닌 세포만을 가지고도 방사선에 의한 생체장해분석을 할 수 있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26.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13 년도 1 월부터 12 월까지 1 년간 복부/골반 추적 검사를 시행한 환자 중 1년간 2회 이상 검사한 환자 10 명에 대해 팔의 위치에 따른 방사선 선량과 image quality 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팔을 올리고 표준 자세로 검사한 그룹 을 A, 팔을 내리고 검사한 그룹을 B 로 분류하였다. 첫 번째 선량비교에서 A 그룹은 B 그룹에 비해 평균 mAs 량이 11.4 % 적게 조사되었으며 CTDI 값도 11.3 % 작게 나타났다. 두 번째 영상의 화질 비교를 위한 histogram 은 A 그룹 과 B 그룹 모두 max 값은 비슷하게 측정되었지만 mean 값과 SD 값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 B 그룹이 A 그룹에 비해 선량을 더 주었지만 팔의 위치에 따라 선량 부족 현상이 나타났다. 최적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복잡한 알고리즘의 개발과 고사양의 장비도입 이전에 CT 검사 시 검사자가 적극적으로 팔을 올려서 검사하는 노력만으로 적은 피폭선량 과 양질의 의료영상을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27.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금속쐐기필터를 대신하여 동적쐐기필터를 사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적정성 평가에 관한 것이다. 선형가속기에서 발생되는 엑스선 에너지는 6 MV, 10 MV로 상용화되어있다. 금속쐐기필터의 15°, 30°, 45°, 60°에 각각 100, 200, 300, 400, 500, 600 선량율(MU/min)로 48번 조사하였고, 동적쐐기필터와의 비교를 위해 같은 조건으로 총 96번 조사하였다. 측정조건은 선원필름간 거리 100cm, 조사면 10×10cm 로 측정하였다. 현상된 필름을 스캔하여 선량분석프로그램으로 교정 후 분석하였고, 표준편차를 구해 선량율을 비교하였다. 동적쐐기필터는 선량, 산란선 및 치료시간을 감소시키며, 환자에 조사되는 선량이 적어 매우 유용하다. 동일한 조건에서 선량율에 따른 오차는 연관성이 없으므로 환자의 상황에 따라 고선량율의 치료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28.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주5일 근무제와 여가 생활의 증가로 인하여 캠핑을 하는 사람들이 지속적으로 증가 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캠핑장시설이 증가하고 있다. 사설 캠핑장의 경우 파쇄석이라 불리는 자갈 사이트와 일반 흙으로 된 사이트 등 다양한 사이트가 존재한다. 캠핑장은 야외 활동이 많은 곳이기 때문에 캠핑장내에서 측정되는 방사선량을 각각 다른 싸이트 별로 자연방사선량을 측정한 후에 분석하였다. 파쇄석으로 만들어진 장소보다는 흙으로 만들어진 싸이트에서 자연방사선량이 적게 측정되었으며, 인위적으로 만든 타프 그늘보다는 자연적으로 형성된 나무그늘이 자연 방사선량이 적게 측정되었다. 결론적으로 캠핑장소 선택시에서 자연방사선량을 피하려면 인위적으로 만든 캠핑장 보다는 나무가 많은 자연휴양림 장소가 캠핑하기 좋은 곳 이라고 알리고 싶다.
        29.
        2015.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방촬영장비는 여성의 조기 유방의 병변을 진단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장비이다. 계속적인 디지털 유방촬영장치가 보급되어짐에 따라 현재에는 대부분의 의료기관에서 디지털 유방촬영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디지털장비인 CR 또는 DR 유방촬영술의 무분별한 사용으로 여성 환자의 평균유효선량이 증가되고 있다. 이번 연구는 여성환자에게 사용되는 디지털 유방촬영장비의 공간선량율을 평가하여 방사선유효선량 과다 피폭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방사선 2차 피해을 인식시키고자 하였으며, 더 나아가 디지털 유방촬영장치에서 발생되는 공간선량율 측정함으로써 환자에게 직접 촬영을 하는 방사선사 안전의식을 인식시키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디지털 유방촬영장비의 공간선량은 촬영장비를 기준으로 수평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고려한다면 디지털 유방촬영장비의 설치시에 수평 방향을 피하여 방사선사의 조작위치를 변경하거나 디지털 유방촬영 장비로부터 수평으로 되는 부위에 납유리차폐의 보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30.
        201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심장의 모양 및 혈관에 관한 의료학적 지식습득은 의료인 및 의료기사들과 같은 의료전문인들에게는 필수적 요구사항이다. 심장의 모형을 통한 의료지식의 습득은 환자의 생명과도 직결되는 중요한 사항이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의료지식이 필요하다. 따라서 심장모양 및 심장혈관질환에 대한 다양한 의료교구재의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하다. 이번 연구에서 만들어진 심장 및 심장혈관의 투시 모형장비를 사용하여 심장 혈류의 투시조영시의 볼 수 있는 방사선학적 사진 영상을 미리 습득할 수 있으며, 또한 투시 조영 중 환자의 자세의 따른 심장의 위치와 모형을 미리 예측해 볼 수도 있다. 결론적으로 우리가 고안한 심장혈관 투시 장비를 사용하여 심장혈관의 해부학적 지식을 미리 습득함으로서 면허 취득 후에 임상생활에 있어서의 심장혈류에 관한 정확한 이해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31.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ET(positron emission tomography)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방사선 의약품 동위원소를 사용하여 인체 내에 정맥주사를 한다. 이 경우 대표적으로 사용하는 방사선 의약품은 18FDG (Fluorodeoxyglucose)이다. 의료용 싸이크로트론으 생산하는 18F에 deoxyglucose를 합성하기 위해서 합성용 카세트장치가 필요하다. 방사성 의약품 제조시에는 많은양의 2차 방사선이 발생이 된다. 따라서 2차 방사선을 차폐하기 위하여 핫셀(Hot cell)을 사용한다. 우리는 18FDG 합성 또는 분배시에 핫 셀 외부로 유출되는 선량을 측정하였다. 이번 실험은 18FDG 제조 작업시에 의도하지 않게 발생할 수 있는 방사선 작업종사자의 피폭에 관한 선량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결론적으로 핫셀 내부에서 외부로18FDG 합성시에 선량이 유출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특히 핫셀에서 핫셀 내부를 볼 수 있는 납유리에서 외부로 방사선이 유출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18FDG 합성시 방사선 작업종사자의 피폭선량을 감소하기 위해서는 핫셀 존재하는 납유리의 개선점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32.
        201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산화단층촬영장치(Computed Tomography:CT)등장은 인체의 검사 시에 비 침습적인 검사로서 환자의 병변을 발견하는데 사용된다. 전산화단층촬영장치가 주는 정보는 3차원 영상구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과학이 발전함에따라 최근에는 전산화단층촬영장치를 사용하여 물리학적인 또한 생물학적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장비가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좀 더 세밀하고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해주는 마이크로 시티(Micro-CT)가 등장하였다. 마이크로 시티가주는 영상정보는 더욱 더 세밀하고 구체적인 영상 정보이며 따라서 생명공학과 고분자 재료공학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마이크로 시티의 사용자에 관한 피폭선량의 한도에 관한 공간선량 측정 정보가 정확하게 보고된바 없다. 또한 마이크로 시티를 사용함으로써 원치 않게 발생 할 수 있는 산란선에 관하여 공간 피폭 선량이 보고되지 않았다. 마이크로 시티는 장비의 외관은 피폭 산란선 제거용 납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산란선에 의한 피폭을충분히 예방할 수 있지만 시간이 흐르고 장비가 노후되어짐에 따라 꾸준한 장비의 관리가 필요 할 것이다. 우리는 우연치 않게 발생 될 수 있는 마이크로 시티를 직접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운영자의 산란선 피폭에 관해 공간선량을 측정하였다. 결론적으로 마이크로 시티의 사용자로 하여금 원치 않게 발생되는 산란선에 관하여 피폭 관리가 필요하다고알리고 싶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