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1

        21.
        200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옥천습곡대의 서남부지역에서 분포하는 쥬라기 화강암류의 석영내에 존재하는 아문 미세균열과 유체표유물을 분석하여 이 지역에 작용한 고응력장을 해석하였다. 연구지역에서 나타나는 아문 미세균열의 방향성은 전체적으로 N30˚W의 방향이 가장 우세하며 N70˚W의 방향도 나타난다. 연구지역의 아문 미세균열 생성온도는 380-550˚C 범위를 보이며, 이들 아문 미세균열은 약 166-200Ma의 기간 동안 형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아문 미세균열의 방향성을 통한 고응력장의 작용 방향과 유체포유물에 의한 아문 미세균열의 형성시기를 비교하여 볼 때, 연구지역 내에서 발달하는 화강암질암체는 NNW-SSE와 WNW-ESE 방향의 최대수평주응력인 고응력장이 쥬라기 초기에서 쥬라기 중기 기간 동안 작용하였을 것으로 사료된다.
        4,600원
        23.
        2003.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mpanies adopted a program called Six Sigma, in order to make fundamental changes in the way the company operated to fulfill customers' expectations. Six Sigma reduces the occurrence of defects. However, in the course of Six Sigma process steps, companies are in the face of problems. This study is to solve the problems using TOC(Theory of Constrains). As a specific case, we review Six sigma's Define phrase. We apply TP(Thinking Process) of Toc for Define Phrase.
        3,000원
        24.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면진설계를 적용하여 개발중인 KALIMER(Korea Advanced Llquid Metal Reactor) 액체금속로에 대한 내진설계 및 지진해석을 위하여 핵심구조물인 원자로구조물에 대한 단순 지진해석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면진설계의 경우와 비면진 설계의 경우에 대한 동특성분석과 시간이력 지진해석을 수행하여 비교평가하였다. 또한 ASME 설계코드에 따른 응력한계요건을 검토하기 위하여 등가 지진응력해석을 수행하고 이로부터 내진여유도를 계산하였다 지진안전성에 대한 하나의 지표로서 원자로 구조물이 견딜수 있는 최대지진하중을 결정하기 위한 한계지진하중(Limit seismic load)을 저의하였다 지진해석결과 면진된 KALIMER 원자로구조믈은 비면진된 경우에 비하여 가속도응답과 구조물간의 상대변위응답이 현저히 감소하였고 충분한 내진여유도로 인하여 한계지진하중이 0.8g로 나타났다.
        5,200원
        25.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의 목적은 현재 국내에서 개발중인 KALIMER(Korea Advanced Liquid Metal Reactor) 액체금속로의 면진설계지침서에 포함될 고감쇠 적층고무베어링에 대한 전단 강성 평가법 히스테레틱 거동해석법 그리고 대변형에서의 종국거동 해석법을확립하고자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1/8축소규모의 고감쇠 적층고무베어링을 설계제작하고 특성실험을 수행하여 제안된 전단강성식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비선형 수정 Rate 모델을 사용한 적층고무베어링의 히스테레틱 거동해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히스테레틱실험결과로부터 성능특성식을 구하고 이를 1자유도계를 이용한 지진해석에 적용하여 실험결과와 비교함으로서 제안된 모델의 정확성을 입증하였다 본 논문에서 사용한 고감쇠 적층고무베어링에 대한 대변형에서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정 Macro 모델을 이용한 종국거동해석을 수행하였다 종국거동 해석결과로부터 안정성평가를 위하여 안정전단변형한계(Critcal shear strain)를 정의하였으며 해석결과 수직하중이 증가함에 따라서 안정전단변형한계가 급격히 감소함을 알수 있었다 본논문에 사용된 고감쇠 적층고무베어링은 설계수직하중에 대해서는 종국거동에서이 존재하지 않았으나 설계수직하중의 약 5배가 작용할 경우가 350% 전단변형률부터 불안정 천이현상이 발생하였으며 약 7배가 작용할 경우에 안정전단변형한계는 340%로 나타났다.
        4,600원
        26.
        199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Haringx 이론에 근거하여 면진용 적층고무베어링의 기계적 역학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제안된 수평강성 평가식을 검토하고 점성감쇠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점탄성문제로의 확장을 통해 감쇠증폭을 역학특성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적층고무베어링에 대한 좌굴안정성평가를 수행하여 형상계수의 양향을 분석하였다. P-delta 효과를 고려한 적층고무베어링의 수평가성식을 면지구조물의 지진해석에 적용하여 동적잔단변형응답 해석결과를 실제 진동대를 이용한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제안된 단순 수평강성 평가식은 설계수직하중내에서 적용가능하며 점탄성문제로 쉽게 확장이 가능하다. 좌굴안정식 평가로부터 적층고무베어링은 단일 고무판의 두께 증가비에 비하여 총 고무판두께 증가비가 좌굴하중감소에 크게 영향을 준다. 그리고 입력지진에 대한 면진구조물의 해석결과 적층고무베어링의 전단변형응답이 실제 실험결과와 매우 일치한 결과를 얻었다.
        4,200원
        29.
        199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awater temperature, salinity, dissolved oxygen, nutrients and chlorophyll-a have been studied around Hamduck in the northern part of Cheju Island during July, 1989-July, 1990. In the surface water ranges of water temperature, salinity, dissolved oxygen, nitrate, phospate, silicate and chlorophyll-a have been 13.7-26.5℃, 28.51-34.37‰, 4.47-7.14㎖/ℓ, ND-15.42㎍-at/ℓ, ND-1.47㎍-at/ℓ, 2.33-24.1㎍-at/ℓ, and 0.02-2.24㎎/㎥, respectively. Yearly mean values of the near surface waters(0m-10m)at station 6 show high temperature, nitrate, chlorophyll-a, while the values of dissolved oxygen, phosphate, and silicate were low compared with the other stations. The vertical profiles are likely to show the possibility of upwelling in October and tidal front in July, suggesting high productivity of phytoplankton around St.6. N1P ratio varies from 35 inshore to 15 offshore and from 45 in July to 15 in Ferbruary. These variation patterns are similar to those of water temperature.
        4,000원
        30.
        199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lanktonic crustaceans were collected monthly around Hamduck, northern part of Cheju Island from April 1989 to March 1990. Occurrence of mean individuals (244 rods. m^(-3)) from inner~ay stations was 2.4 times higher than that (102 rods. m^(-3)) in outer-bay stations. Mean biomass (wet weight, 18.6 mgm^(-3)) from inner-bay stations was 3.6 times higher than that(5.2 mgm^(-3)) in outer-bay ones. The estimated mean values (251.5 ㎍Cm^(-3)d^(-1)) of daily production from inner-bay, having 141.1 ㎍Cm^(-3)d^(-1) of annual mean, was 2.8 times higher than that (90 ㎍Cm^(-3)d^(-1)) in outer-bay. The ratio of daily production of biomass with average value 0.17 suggested a high turnover rate to maintain a temperate costal ecosystems, in spite of a low biomass around Cheju Island.
        4,000원
        32.
        198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87년 6월-1988년 4월까지 격월로 제주도 해안선주변 10개 정점에서 부유성 갑각류의 현존량과 생산량을 야간채집, 조사하였다. 계절별 평균개체수는 12월에 가장 낮고, 6월에 가장 높았는데, 이들 개체의 대부분(90% 이상)은 90μm 망목의 네트로 채집된 것으로 이뤄졌다. 계절별 평균 현존량의 범위는 6.6-55.0mgm^(-1)(평균 16mgm^(-3))이고, 여름에 높았다. 일일평균 생산량 역시 여름(369μgCm^(-3)d(-1))에 높고 겨울(112μgCm^(-1)d^(-1))에 낮았다. P/B의 비(평균 0.25)는, 수온이 높고 소형 동물플랑크톤의 개체수가 많은 계절에 높은 값을 나타냈다.
        4,000원
        33.
        198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imary production at 10 stations around the coast line of Cheju Island has been investigated from the viewpoint of standing crops(cells/e), chlorophyll-a concentration and CO₂ fixation of phytoplankton during the period from June, 1987 to March, 1989. Phytoplankton standing crops ranged from 2,025 to133,734 cells/ethrough the year, increasing from June and showing a peak in August. The distribution of standing crops was the highest in the eastern area and the lowest in the northern area. Chlorophyll-a concentration ranged from 0.45 to 2.59 ㎎/㎥ during the study period, which was much lower than that in the other Korean coastal waters. To estimate the CO₂ fixation of phytoplankton, daily primary production (㎎C/㎥/day) has been determined using C-14 method. It ranged 1.31-7.15, 34.54117.04, 22.283.64, 8.53-11.95㎎㎎/㎥/㎥/day in winter, summer, fall, and spring, respectively, and showed the highest in the western area. The carbon assimilation number(㎎C/㎎ chl-a/hr)was also higher in summer than in other season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rimary production of phytoplankton around the coast line of Cheju Island was high in the eastern and western regions during the summer season.
        4,000원
        34.
        198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know sea water characteristics around coast line of Cheju Island, physical and chemical environmental factor analyses have been performed with data observed from June 1987 to April 188. Water temperature was over 10℃ even in winter with highest value of 14.7℃ in the southern part over the whole study area. Concentrations of DO, COD and SS were as low as those in the standard sea-water-quality classes [I] and [II]. Nutrient concentration was higher in the present study region than on the coastal areas by previous works, suggesting influx of materials from land. The ratio of N/P ranged from 21.6 to 67.4 (mean : 38.8). Concentration of Chlorophgll-a was high in eastern and southern part throughout the year, except a special high value of 3.89㎎/㎥ at Gosan, western part of the study area, in August.
        4,000원
        37.
        197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40.
        202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구봉 금-은 광상은 선캠브리아기의 변성퇴적암류내에 발달된 열극대를 충진한 8개조의 석영맥으로 구성 된 조산형과 intrusion-related형이 혼합된 광상으로 과거 한국에서 가장 큰 금-은 광상들 중의 하나였다. 대한광업 진흥공사는 이 광상의 남부에서 시추(90-12)를 통한 심도 -728 ML에서 27.9 g/t Au 품위를 갖는 0.9 m 폭을 갖는 석영맥(6호맥)을 착맥하였으며 2004년 재차 6호맥의 재개발 가능성 검토를 위해 시추(04-1)를 수행하였다. 2004년 시추 현장에서 모암, 모암변질 및 석영맥 시료들(04-1)을 채취하여 함 티타늄 광물들(티탄철석, 금홍석)의 산상과 화학조성을 연구하였다. 심도 -275 ML의 광화대에서 관찰되는 금홍석은 모암변질대에서 칼리장석, 흑운모, 석영, 방해석, 녹니석 및 황철석과 함께 산출된다. 심도 -779 ML의 광맥(6호맥)에서 관찰되는 티탄철석과 금홍석은 모 암변질대와 석영맥에서 백색운모, 녹니석, 인회석, 저어콘, 석영, 방해석, 자류철석 및 황철석과 함께 산출된다. 이 들 광물조합을 토대로, 금홍석은 열수 용액에 의한 모암내 Ti을 풍부하게 함유한 흑운모의 열수변질작용(녹니석화 작용) 시 형성된 것으로 생각된다. 티탄철석은 최대 0.09 wt.% (HfO2), 0.39 wt.% (V2O3), 0.54 wt.% (BaO) 함 량이 함유되어 있다. 심도 -275 ML과 –779 ML에서 산출되는 금홍석의 화학조성을 비교하면, 심도 -779 ML의 광 맥(6호맥)의 금홍석에서 WO3, FeO 및 BaO 원소들의 함량이 높다. 이들 미량원소들은 심도 -275 ML의 금홍석 Ba2+ + Al3+ + Hf 4+ + (Nb5+, Ta5+) ↔ 3Ti4+ + Fe2+, 2V4+ + (W5+, Ta5+, Nb5+) ↔ 2Ti4+ + Al3+ + (Fe2+, Ba2+), Al3+ + V4+ + (Nb5+, Ta5+) ↔ 2Ti4+ + 2Fe2+, 심도 -779 ML의 금홍석 2(Fe2+, Ba2+) + Al3+ + (W5+, Nb5+, Ta5+) ↔ 2Ti4+ + (V4+, Hf4+), Fe2+ + Al3+ + Hf4+ + (W5+, Nb5+, Ta5+) ↔ 2Ti4+ + V4+ + Ba2+로써 치환관계가 있었다. 이들 자료와 기 연구된 조산형 금 광상에서 산출되는 함 티타늄 광물들의 화학조성과 비교 검토 본 결과, 구봉 광상의 금홍석 들은 다른 조산형 금 광상(운산 광상, Kori Kollo 광상, Big Bell 광상, Meguma 함 금 석영맥)들에서 산출되는 금 홍석들보다 상대적으로 산화 환경에서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