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9

        21.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성과를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요인은 연구자의 역량, 연구비 등의 자원 투 입 등이 지적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공동연구가 활성화되면서 연구자 사이의 구조적 특성 을 통해 지속적 상호관계를 형성하여 과학적 지식을 생산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비 지원이 지원 자체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연구비 지원으로 인해 다수의 기관이 협력하 여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발판이 된다는 점에서 연구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 다. 즉 연구비 지원이 공동연구의 연결구조에 차이를 발생시켜 연구성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 문으로 추정할 수 있다. SCIE DB에서 2009년부터 2013년까지 5년간 문화기술(CT) 분야의 공동연구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비 지원 여부에 따른 네트워크 구조와 연구성과의 관계를 분 석한 결과 다수의 연구기관이 연결되어 있을수록 논문 편수가 증가하고 사이 중심성이 증가할수록 논문 편수는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연구비 지원 여부가 네트워크 구조, 연구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6,300원
        22.
        200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ancer cure and survival rate related directly to the stage of the cancer at the time of diagnosis. New techniques fOl ea rly screen system and diagnosis of normal and cancer a re required. Here, we investigate optical properties-based optical s igna tures of normal and cancer tissues that are different chemica lly and physically. At least 7 cases of each tissue type‘ including epidermis. dermis . subcutaneous fat. keratin pearl ‘ muscle, bone. skin. normal and cance r. were measured. As a result. difference in absorption, transmi ssion and reflectance of normal and cancer in oral tissue have the potential to pro vide for cancer screening. In particular. measuring transrnission in 400 nm to 800 nm (inclusive of 450 nmfor NADH. 540 nm 1'0 1' collagen) ‘ t his group noted a difference in auto-fluorescence spectra between normal and cancer specimens . We also noted that normal specimens are cha racterized by a slightly higher reflectance than cancer specimens in the 400 to 800nm And a bsorpt ion of normal is lower than cancer specimens. The diffe rences in transmission. refl ectance and absorpti on between normal and cancer s pecimen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tudent t-test. [n t his study. absor ption. t ransmi ssion and reflectance have been suggested as optimal for best discrirnination between normal and oral cancer specimen. We suggest that a optical integrating sphere is a useful tool for cancer sc reening. The results suggests the potentia l of an effec tive diagnosis system and accurate normal and cancerous tissue's optical coeffi cient
        23.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3D 프린팅 기술은 4차산업 혁명 중 제조업의 혁신적인 기술로서 전망되고 있으며, 현재 바이오 ∙ 의료 분야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제작 원료에 대한 방사선 차폐능을 평가하고자 몬테카를로 전산모사를 통해 프린팅 원료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였다. 현재 범용으로 사용되는 FDM 방식의 3D 프린터에서 이용 가능한 원료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ICRU phan tom과 차폐체를 모의 모사한 후 방사선의 종류 및 에너지에 따른 입자 플루언스 평가를 통해 차폐 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광자선의 경우 에너지 증가에 따라 차폐 효과는 점차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고, 원료별 차폐 효과는 TPU, PLA, PVA, Nylon, ABS 순서로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결과를 나타냈다. 중성자선의 경우, 5~10 mm의 낮은 두께에서 반대로 선속이 증가되는 현상을 보였으나, 일정 두께 이상에서는 유효한 차폐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프린팅 원료별 차폐 효과는 Nylon, PVA, ABS, PLA, TPU 순서로 점차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24.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identified heavy rain damage and rainfall characteristics for each region, and proposed Hazard-Triggering rainfall according to heavy rain damage scale focused on Gyeonggi-do. We classified the damage scale into three groups (total damage, over 100 million won, over 1 billion won)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heavy rain damage, and we determined criteria of the rainfall class for each rainfall variable (maximum rainfalls for the durations of 1, 3, 6, 12 hours) to identify the rainfall characteristics. We calculated the cumulative probability of heavy rain damage based on the rain criteria mentioned above to establish the Hazard-Triggering rainfall according to the heavy rainfall damage scale. Using the results, we establish the Hazard-Triggering rainfall for each rain variable according to heavy rain damage. Finally, this study calculated the assessment indicator (F1-Score) for classification performance to test the performance of the Hazard-Triggering rainfall. As the results, the classification performance of the Hazard-Triggering rainfall which proposed in this study was 11%, 30%, 10% higher than the criteria by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5.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suggests the method of the spherical signature description of 3D point clouds taken from the laser range scanner on the ground vehicle. Based on the spherical signature description of each point, the extractor of significant environmental features is learned by the Deep Belief Nets for the urban structure classification. Arbitrary point among the 3D point cloud can represents its signature in its sky surface by using several neighborhood points. The unit spherical surface centered on that point can be considered to accumulate the evidence of each angular tessellation. According to a kind of point area such as wall, ground, tree, car, and so on, the results of spherical signature description look so different each other. These data can be applied into the Deep Belief Nets, which is one of the Deep Neural Networks, for learning the environmental feature extractor. With this learned feature extractor, 3D points can be classified due to its urban structures well. Experimental results prove that the proposed method based on the spherical signature description and the Deep Belief Nets is suitable for the mobile robots in terms of the classification accuracy.
        26.
        201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신방사선조사는 소아백혈병의 치료 방법 중 하나인 조혈모세포이식의 전처치로 이용되고 있으며, 현재 조직보상 체를 사용하여 치료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조직보상체의 조건에 따라 인체 내부 장기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 평가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수학적 모의피폭체를 사용하여 방사선의 에너지와 선원과 환자와의 거리(source surface distance, SSD), 조직보상체와 환자와의 거리 변화에 따라 인체 장기의 선량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표면선량은 에너지 4 MV, SSD 280 ㎝, 조직보상체와 환자와의 거리 30 ㎝일 때 5.84 G/min 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나타내었다. 또한 조직보상체와 환자와의 거리가 30 ㎝ 이하였을 때 TBI에서 가장 이상적인 선량분포를 나타냄을 알수 있었다.
        27.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icroRNAs (miRNAs) are a class of non-coding RNAs of approximately 21-nt which play important roles in regulating gene expression in plants. Although many miRNA studies have focused on a few model plants, the miRNAs and their target genes remain largely unknown in pepper, one of the most important crops cultivated worldwide. Here we employed high-throughput small RNA sequencing to extensively identify miRNAs in pepper from 10 different libraries, including leaf, stem, root, flower, and six developmental stage fruits. Based on bioinformatics pipeline, we successfully identified 29 and 35 families of conserved and novel miRNAs, respectively. We noticed that some miRNAs, whose targets were validated experimentally in this study, exhibited prominent changes in expression levels during fruit development stages. From the qRT-PCR analysis of the target mRNAs, including the SBP-transcription factor and F-box protein, we found that expression of these two target mRNAs gradually decreased in general during fruit development an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expression of their corresponding miRNAs. The validation of miRNA-directed cleavage of these target mRNAs, combined with the results of qRT-PCR analysis, likely suggests that some miRNAs in pepper may play a role in fruit development. Conclusively, our study first utilizes high-throughput sequencing to identify and characterize conserved and novel miRNAs and their targets in pepper, providing a basis for understanding the functional roles of miRNAs in pepper.
        28.
        201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대시대는 환자에 대한 의료제도가 의료서비스 개념으로 변화되고 있다. 이렇게 인간의 권리가 높아지고 환자가 고객이 되는 시대로 변화됨으로써 환자의 권리나 요구도 날로 증가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여러 가지 병원 시스템도 환자의 편의나 요구에 맞춰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로 인해 일반촬영 검사 중 Portable 검사의 Case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Portable 검사의 Case가 증가하면서 병실, 중환자실, 수술실, 회복실에서 Portable검사로 인하여 주변 환자들의 원하지 않는 의료 피폭이 발생하기 때문에 법적으로도 이를 규제하고 있다. 실제로 진단용 방사선발생장치의 안전관리에 관한 규칙 중 방사선 방어시설의 검사기준에서 “수술실, 응급실 또는 중환자실 외의 장소에서촬영할 경우 반드시 이동형 진료용엑스선 방어칸막이를 갖추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지만 이는 거의 시행되어지지않고 있다. 따라서 X-ray Potable 검사를 통해 주변 환자가 받는 피폭선량을 알아보고 피폭선량 감소 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본 연구는 Mobile Portable 장비에서 Collimator 주변을 차폐하여 차폐 전과 후의 선량 변화, Portable tube와 Collimator의 각도 변화에 따른 차폐 전과 후의 선량 변화, 환자 침대의 거리변화에 따른 차폐 전과 후의 선량 변화를각각 측정한 뒤 차폐효과를 알아보았다.연구 결과 Collimator 주변을 차폐한 후 선량 변화는 차폐하지 않았을 때보다 약 20%의 차폐효과를 보였다.Portable 검사 중 비 차폐 시 각도가 0°, 90°, 45° 순서로 피폭선량이 증가하였으며, 각도를 주었을 때 Collimator 주변을 차폐하면 피폭 선량은 감소하였다. 또한 환자 침대 거리는 비 차폐 시 0.5m보다 1m에서 피폭선량이 현저히 감소하였고 침대 간 거리 변화 시 Collimator 주변 차폐 후 선량 변화는 감소하였다.주변 환자 피폭선량 감소 측면에서 볼 때 침대거리를 가능한 멀리 떨어뜨리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며 차폐효과가 약 100% 내외로 상당한 효과를 볼 수 있다. 그 다음은 Collimator를 차폐하는 방법으로 차폐효과가 약 20% 정도를 나타내며, 각도를 제한하는 방법으로 약 10% 내외의 효과를 나타낸다. Portable 검사 시 환자 피폭선량을 감소하기위해 가능한 환자 및 보호자를 적정거리 이상으로 이동시킨 후에 실시하는 것이 가장 좋겠지만 환자가 움직일 수 없고침대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Collimator 주변을 차폐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검사를 시행할 때 tube와 Collimator의 각도를 가능한 90도로 시행하도록 하고 90도가 안될 경우는 0도로 시행하되 45도는 가능한 지양하도록한다.방사선관계종사자들은 Portable 검사에서 위와 같은 결과들을 인식하고 실제 본인에게 적용시켜야 하며 효율적인방사선 방어와 피폭선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노력과 연구에 힘써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29.
        200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single recessive gene, rxp, controls bacterial leaf pustule (BLP) resistance in a soybean. The Rxp locus appears to be linked to the malate dehydrogenase (Mdh) locus and Satt372 on linkage group (LG) D2. Around the Rxp locus, four bacterial artificial chromosome (BAC) clones are anchored by Satt486, Satt498, BARC-022037-04263, and BARC-040963-07870. Using these BAC clone sequences, possible orthologous region of Rxp locus was identified: Medicago truncatula contig 962 at chromosome 3 and contig 283 and contig 1108 at chromosome 8. Sequence analysis of contig 962 had revealed microsynteny with three soybean BAC clones on LG A1, which are duplicated with other two soybean BAC clones anchored by Satt486 and Satt498. After BLAST search was performed with M. truncatula contig 962 against soybean ESTs, several soybean ESTs were identified. With developed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markers and the RIL population from the cross of Pureunkong and Jinpumkong 2, SNP genotyping was able to locate twos oybean ESTs: CO979743 at 1 cM away from Satt195 on LG C1 and BE021935 at 5 cM away from Satt363 on LG C2. Thus, our results indicate that structure of soybean genome around Rxp locus is very complicated.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