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5

        29.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number of Korean Chicken breeds were registered in Domestic Animal Diversity Information System (DAD-IS, http://dad.fao.org/) of th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Evaluation of genetic diversity and relationship of local breeds is an important factor towards the identification of unique and valuable genetic resource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analysis the genetic diversity and relationship of 22 Korean Chicken breeds using 12 microsatellite (MS) markers. The mean number of alleles for each variety was 5.52, ranging from a 3.75 (Leghorn F; NF) to a 7.0 (Ross). The most diverse breed was the Hanhyup3 (HCC), which had the highest expected heterozygosity (HExp) (0.754) and polymorphic information content (PIC) (0.711). The NF was the least diverse population, having the lowest HExp (0.467) and PIC (0.413). As a result of the principal coordinates analysis (PCoA) and factorial correspondence analysis (FCA) confirmed that Hy-line Brown (HL) and Lohmann Brown (LO) are very close to each other and that Leghorn and Rhode Island Red (RIR) are clearly distinguished from other groups. Thus, the reliability and power of identification using 12 types of MS markers were improved, and the genetic diversity and probability of individual discrimination were confirm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identification of Korean chicken breeds, and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se multiplex PCR marker sets will have considerable applications in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analysis.
        4,000원
        34.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Although there are interventions available for the improvement of arm functions of patients with stroke, measuring changes in global synkinesis (G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muscle activity of paretic and nonparetic side muscles is an important factor and studies to investigate such potential factors are evaluated necessary. Objective: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ffected arm muscle activity and GS changes in patients with stroke. Desig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In order to measure muscle activities of 30 stroke patients, anterior deltoid, posterior deltoid, biceps brachii and triceps brachii of the affected arms were measured using surface electromyography (EMG) and for analyzing GS, biceps brachii and triceps brachi of the affected arms were measured using the same instrument. Results: When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muscle activity and GS of the affected arm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posterior deltoid and the triceps brachii(p < .01) and between the triceps brachii and GS(p < .05).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efficient movements of the affected arms of stroke patients, it is possible to increase extensor activity by improving smooth antagonism of the arm.
        4,000원
        35.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is study, we sequenced two complete mitogenomes, belonging to the families Scythrididae (Scythris sinensis Felder & Rogenhofer, 1775) and Coleophoridae (Coleophora therinella Tengström, 1848) firstly in each family. Gelechioidea is one of the controversial lineages of Lepidoptera in its phylogenetic position and number of families. Phylogenetic analyses with concatenated sequences of the 13 PCGs and two RNA genes using the maximum likelihood method, placed Coleophoridae, represented only by C. therinella, as a sister group to the families Depressariidae and Autostichidae, with very low nodal support (7%). Scythrididae represented only by S. sinensis was placed as the sister to the family Stathmopodidae, with relatively high nodal support (86%). As more mitogenome sequences from the extended taxonomic groups are obtained further robust phylogenetic inference will be possible.
        36.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DNA 바코드를 기반으로 하여 외국발 국내 입항 선박에서 검출되는 편승자 해충(hitchhiker insect pests)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국내 입항 선박 조사는 2018년 6월 1일부터 2018년 9월 17일까지 약 109일간 111개 선박에 대해 실시하였다. 모니터링 대상 해충은 ‘보고잡기법(simply collecting method by hands)’으로 확보하였으며, 총 336개체에 대해 종동정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확보된 정보들은 선박정보(선박명, 선박번호, 출항지, 입항지), 조사정보(조 사일, 채집시 표본 상태, 조사자), 유전자 분석 정보(프라이머 정보, 서열판독 결과), 분자생물학적 종동정 정보(NCBI GenBank Accession No., NCBI Blast Searching Results, BOLD Identification Request), 분류학적 통합종 확증 정보(목명, 과명, 종명, 동정자, 비고) 등으로 구분하였으며, MS-Excel을 이용하여 각 필드값에 맞게 기초정보를 입력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편승자 해충에 대한 선박 경로에 따른 편승 양상뿐만 아니라, 월별, 분류군별, 미서식종별로 편승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편승사례는 선박 경로에 따라서는 중국에서 출항하거나 중국을 거쳐 편승하는 사례가 207건, 월별로는 9월이 134건, 분류군별로는 나비목이 208건으로 가장 많았다. 특히, 미서식종별 편승 양상에서 는 총 3목 9과 13종 21개체가 국내 입항 선박에서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2목 6과 9종 15개체는 살아있는 상태로 채집된 것을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앞으로 더욱 많은 정보가 확보된다면, 현재의 통계 분석 방법은 편승자 해충의 모니터링뿐만 아니라 대상 해충의 위험성 평가 및 검역검사에 매우 효율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37.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다국적기업들의 해외진출이 활발해지면서 글로벌 브랜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브랜드 글로벌성(PBG, Perceived Brand Globalness)을 재개념화하고 개념의 다차원성에 대한 타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글로벌 브랜드성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4개 글로벌 브랜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브랜드 글로벌성은 단일 차원이 아닌 다차원으로 구성된 개념으로 나타났으며, 소비자의 브랜드 평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에 본 연구는 브랜드 글로벌성의 다차원성을 검증함으로써 학문적 및 실무적 관점에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7,8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