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80

        23.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Smart devices including smart phones have many benefits. However, prolonged used may aggravate cervical pain and postural deformity. Smart devices with appropriate applications (apps) may be useful cost-effective and easy-to-use instruments to relieve cervical pain and improve range of motion (ROM). Objectives: To review recent experimental studies on smart device-based apps on cervical pain and postural ROM improvement. Design: Systemic review study. Methods: Ten articles were selected through bibliographic searches and successive and exclusion procedure of the PubMed, ScienceDirect, and Google Scholar. Out of initial 1,046 articles, 98 articles were selected from abstract review. 33 articles were selected for full article review. Final 10 research articles were selected. Results: Three static ROM feasibility, two active ROM feasibility, four self-management promotion, and one pre/post research study articles were included. Smart device with artificial intelligent (AI) based app were utilized promote adherence to physical activity. Conclusion: Smart device apps steadily showed high feasibility even for research purpose. Studies on AL and machine learning apps showed mixed results for need for wider and precision application.
        4,000원
        24.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꿩의비름은 유라시아와 북미를 기반으로 약 20여개 종이 분포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부 꿩의비름은 약용식물 로써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토양 내 카드뮴 제거에도 사용 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다양한 품종이 출원되어 시장에 유 통되고 있다. 꿩의비름은 내음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 기는 하나 이를 뒷받침해줄 문헌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꿩의비름속 ‘러요시’(Hylotelephium telephium cv. Lajos)와 ‘메디오바리에가툼’(H. sieboldii cv. Mediovariegatum) 품종이 폴리에틸렌 차광막을 활용한 다양한 차광환경에서 어 떤 생장과 엽색 반응을 나타냈는지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결 과적으로 다른 차광수준과 비교했을 때 75% 차광수준에서 초 장과 근장 그리고 잎의 매개변수를 포함하는 식물의 크기에 대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생체중과 건물중 분석에서는 ‘러요시’는 45%의 차광수준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메디오바리에가툼’은 75% 차광수준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엽록소 수치에서 ‘러요시’는 75% 차광수준에서 가장 높 은 엽록소 수치를 나타내었고, ‘메디오바리에가툼’은 35% 차 광수준에서 가장 높은 엽록소 수치를 나타내었다. CIELAB 엽 색상 분석에서는 ‘러요시’의 명도 L*과 황색도 b* 값이 99% 차광수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다른 차광수준에 비해 엽색이 황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편, ‘메디오바리에가툼’은 60% 차광수준에서 L*과 b* 값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RHS 값에 대 한 평가에서는 ‘러요시’가 0%에서 75%까지의 차광수준에서 146A, 147B로 평가되어 해당 범위의 차광수준에서는 균일한 엽색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른 한편, ‘메디오바 리에가툼’은 0% 차광수준에서는 194A, 195A, 99% 차광수준 에서는 148A, 152A로 평가되어 광도가 너무 높거나 낮은 경 우 무늬의 분포율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위 여러 결과들을 종합했을 때, ‘러요시’는 45~75% 사이의 차광수준에서 재배할 것을 권고하며 ‘메디오바리에가툼’은 75% 차광수준에서 재배할 것을 권고한다.
        4,300원
        36.
        202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