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972

        381.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Erebinae, a subfamily within the family Erebidae, represents one of the largest classification groups in Lepidoptera. This taxonomic group exhibits remarkable ecological diversity and astonishing predator defense adaptations. Erebinae possesses what is presumed to be the most sensitive tympana (hearing organs) among Lepidoptera, allowing them to evade predators such as bats. Furthermore, they have distinctive hindwings, in contrast to their inconspicuous forewings, which they can suddenly expose as a strategy to escape danger from predators. The classification of the subfamily Erebinae is based on molecular studies conducted by Zahiri et al. (2012). However, despite these efforts, there is no single external feature that can reliably identify all Erebinae, and the boundaries of this group remain somewhat unclear. Many specimens have yet to be thoroughly studied, and numerous genera are still awaiting placement within the phylogenetic framework.
        382.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triped fruit fly, Zeugodacus scutellata., is ubiquitous in agricultural areas, making it a critical pest to monitor and manag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chnique for rearing Z. scutellata in the laboratory to achieve mass production for biological control. The pumpkin is an important host plant for Z. scutellata; females lay their eggs on the tops of pumpkin flower buds, and larvae consume the stamens from top to bottom before dropping to the ground. Several types of diets are considered in the present study, including liquid, solid, and semisolid diets. Methyl benzoate, propionic acid, sodium benzoate, and citric acid were tested for their ability to suppress microbial contamination and improve the shelf life of diets. Fresh pumpkin, pumpkin flower, and pumpkin powder were used as primary ingredient. Reared adults were tested for their egg laying and survival abilities based on different diets. Approximately 86% of adults emerged from liquid and semisolid diets. Solid diets reduce pupae production and adult emergence. The diets with a total viability of less than 75% were discarded, which is considered as a reasonable threshold to determine whether a diet is nutritionally sufficient to rear the fl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 have developed a diet for mass rearing in laboratories, which may assist in providing a scientific basis for the effective control of Z. scutellata.
        383.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아메리카동애등에 유충은 유기성폐기물을 먹이원으로 하며 그 분해산물인 동애등에분은 비료원료로 활용 가능하다. 그러나 농가에서 나오는 분변토는 염분함량이 높아 단독으로 사용하면 토양에 염류집적의 우려가 있다. 이에 산업곤충인 동애등에 분변토의 염분을 낮춰 퇴비로 활용하고자 옥수수(미백2호)에 5처리(무처리, 동애등에분, 동애등에분:흰점박이꽃무지분(2:8), 동애등에분:퇴비(2:8), 퇴비)로 비료를시용하였다. 옥수수 생 육은 초장, 간장, 웅수장, 착수고를 조사하였고 종실은 이삭중, 이삭장, 착립이삭장, 이삭폭 등을 조사하였다. 처리구별 옥수수 수량(kg/10a)은 무처리구 702.8kg, 동애등에분처리구 835.6kg. 동애등에분:흰점박이꽃무지분 (2:8) 처리구 723.7kg, 동애등에분:퇴비(2:8) 처리구 862.3kg, 퇴비 처리구 803.7kg으로 조사되었다. 동애등에 분변 토를 시판퇴비와 혼합하여 퇴비로 활용하면 옥수수 생산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나 장기적인 실험을 통해 토양과 작물에 미치는 영향을 모니터링해야 될 것으로 판단된다.
        384.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아메리카동애등에 성충은 음식물 폐자원 등 유기물이 있는 곳에 알을 낳는 습성이 있다. 대부분의 농가는 음식 물폐자원을 가공한 단미사료(습식사료)를 유인배지로 활용하여 그 위에 플로랄폼(오아시스)를 놓고 알을 받는 다. 그러나 플로랄폼은 재사용이 불가하고 생분해되지 않는 환경폐기물로서 처리가 곤란하며 포름알데하이드, 카본 블랙 등의 발암물질을 함유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먹이원 자체를 활용하여 폐기물이 발생하지 않는 친환경 산란받이를 개발하였으며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플로랄폼을 대체하였다. 먹이원으로 활 용할 수 있는 습식사료와 건식사료를 주재료로 하여 제작하며, 습식사료(수분60~80%)와 건식사료(1~10%)를 1:0.5~1 비율로 혼합한 사료 혼합물과 보조첨가제와 물을 포함하여 제작한다. 친환경 산란받이는 기존 플로랄폼 대비 산란율이 34% 증가하였으며 구매비용 또한 75% 절감하였다.
        385.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Hongjam is a natural health food that has been shown to have various health-promoting effects, but studies on immunity enhancement have not been done so fa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HongJam extracts could be enhancing innate immunity by protomoting proliferatin of macrophages and their phagocytic or pinocytic abilities to pathogens. (Grant No. PJ017024022023)
        386.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mmunity is largely divided into innate immunity and adaptive immunity. We conducted a study using HongJam extract to confirm its innate immunity-enhancing effect. Our data using Natural Killer (NK) cell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innate immunity, confirmed that HongJam extract promotes the proliferation of NK cells and also enhances the function of NK cells to attack and destroy cancer cells. (Grant No. PJ017024022023)
        387.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enzyme digestion of foods is known to have certain advantages, such as enhancing health improvement functions of functional food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the memory enhancement effects of HongJam could be enhanced by enzymatic digestions. We found that enzyme digested HJ had more enhanced functionality than undigested HJ. We also found the molecular basis of memory enhancement by performing various biochemical and molecular biological experiments. (Grant No. PJ016908032023)
        388.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hen shooting an object with a microscope, the size of the object is large, so it may not be captured on one screen, or the results may not be good due to dust. It is intended to provide a high-resolution image photographing method and correction method using Photoshop 5.0 program. In particular, when the object is large, a method of synthesizing after split photographing when it is not visible on one screen during micrographing will be provided. In addition, when the background is dark, a background color correction method and a color correction method after imaging are also provided. The photographing method and correction method are presented based on Lepidoptera, Diptera, and Coleoptera. The high-resolution images were taken using Nikon D500 16-80mm VR Kit or Leica M205C, Dhyana400DC.
        389.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analyzed trend of plants (40 items) on imported seedlings using the Pest Information System (PIS) for the past 20 years. 530 species (9 order 336 genus) were found among 40 items on imported seedlings including Rosaceae, Arecaceae, Crassulaceae, and Fabaceae. Hemiptera were the most expected to be detected pest as 52%, followed by Coleoptera as 16%, Lepidoptera as 11%, and Diptera as 8% in potential detection rate. For prohibited pests, Tephritidae are the most common pests as 86% in approximately 60 prohibited species, including Bactrocera dorsalis, and Bactrocera tryoni in Diptera and Cydia pomonella in Lepidoptera.
        390.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22년부터 2023년까지 제주도내 키위 시설재배지를 대상으로 계절 초기 볼록총채벌레 발생 경향을 확인하 기 위해서 토양 표면의 잡초, 토양 표면 상단으로부터 60cm, 키위나무를 유인한 덕 상단 15cm에서 10일 간격으로 발생 조사하였다. 하우스 내부에서 발생하는 잡초 10종을 채집하여 조사한 결과, 갈퀴덩굴, 광대나물, 개불알풀, 별꽃, 뽀리뱅이, 황새냉이 6종에서 볼록총채벌레가 지속적으로 관찰되었다. 계절 초기 월동 성충의 비산시기를 확인하기 위해 토양 표면 60cm 위쪽에 설치한 황색 끈끈이트랩에서 2월 하순~3월 중순부터 볼록총채벌레의 발생을 확인하였다. 시설하우스 내부(덕 상단 15cm)와 외부(측장 높이)에 설치한 황색 끈끈이트랩을 비교해보면 시설 내·외부의 볼록총채벌레의 밀도가 증가하고 감소하는 시기가 유사하였다. 종합적인 고찰을 통하여, 발생 양상을 고려한 적절한 방제전략 수립이 요구된다.
        391.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기후변화 대응과 새로운 소득작물로 아열대작물이 도입되어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있다. 그린빈은 아메리카 중남부가 원산지인 콩과 작물로 미성숙 꼬투리를 다양한 요리에 이용하는데 최근 수요가 증가하면서 재배면적 이 확대되고 있다. 새로운 작물이 도입됨에 따라 안정재배를 위한 방제 대상 해충을 설정하기 위하여 재배시기별 해충 종류와 피해정도를 조사하였다. 4월 중순에 파종한 그린빈에서는 생육초기부터 총채벌레 발생이 많았으 며, 5월 하순 이후 발생밀도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7월 상순에 파종한 그린빈에서는 8월 하순부터 아메리카잎굴파리 피해가 증가하여 9월 상순에 피해엽률이 50% 이상으로 발생이 심하였으며, 응애류와 총채벌 레류 발생이 많은 경향이었다.
        392.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TSWV)는 총채벌레가 매개하는 대표적인 바이러스로 고추 등 여러작물에서 심각 한 피해를 준다. 노지고추에서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 발생 경감을 위한 총채벌레 방제시기를 설정하고자 시기별 총채벌레 발생량과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병 발생량을 조사하였다. 2023년 전북 익산 노지 고추포장 에서 청색끈끈이트랩을 이용하여 총채벌레 발생량을 조사한 결과 4월 상순부터 채집되기 시작하여 5월 하순과 6월 하순에 발생최성기를 보였다. 반면 고추 꽃에서는 정식 2주후부터 꽃당 10마리 이상 관찰되었다. 토마토반점 위조바이러스병은 정식 30일 이후 증상이 발생하기 시작하여 빠르게 확산되는 경향이었다. 따라서 노지고추에 서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병 경감을 위하여 총채벌레 방제를 활착 이후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 되었다.
        393.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주변 환경의 차이에 따른 화분매개곤충의 유입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립수목원 내 진화속을걷 는정원과 부추속전문전시원에 식재된 울릉산마늘의 화분매개곤충을 조사하였다. 2023년 5월 22일부터 6월 2일 까지 꽃이 70% 이상 개화하였을 때 포충망을 활용하여 8일간 곤충을 채집하였고, 각 전시원 별 식생(피도), 기후 (온도·습도·조도)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진화속을걷는정원에서 피도 60% 온도 26.4℃, 습도 31.5%, 조도 40953.6lx, 화분매개곤충 20과 450개체, 부추속전문전시원은 피도 90%, 온도 25.6℃, 습도 31.6%, 조도 6387lx, 화분매개곤충 15과 196개체로 나타났다. 온도와 조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진화속을걷는정원이 채집된 곤충의 다양성과 방문 빈도가 높았다. 시간대별 곤충의 방문 빈도를 비교해본 결과 온도와 조도는 개체수가 증가할 때 같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습도는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394.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왕담배나방은 기주범위가 넓은 다식성으로 토마토, 옥수수, 담배, 해바라기, 땅콩, 면화, 콩 등 다양한 작물에 피해를 주는 해충이며, 장거리 이동성 해충으로도 유명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자료를 바탕으로 월동번데기의 성충으로 우화모델(2종)를 작성하고 포장 실측자료와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월동 번데기는 휴면을 종료한 후 안점소실 과정을 거쳐 정상의 번데기로 이행되고 비로소 성충으로 우화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첫 번째 모형(모 형 1)은 2단계 휴면후발육 우화모형으로 안점소실에 필요한 적산온도 59.9DD (발육영점온도 15.9℃)와 번데기 발육완료에 필요한 192.3DD (발육영점온도 10.2℃)로 구성하였다. 두 번째 모형(모형 2)은 온도자극 우화모형으 로 17.63℃의 온도자극 이후에 번데기 발육을 개시하는 모형이었다. 적산온도는 단순 평균온도법과 사인곡선법 으로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포장자료와 비교 결과 모형 1에 사인곡선법을 적용했을 때 실측치와 편차가 3일보다 작거나 차이가 없었다. 반면 사인곡선법을 적용한 모형 2는 3~6.5일의 편차가 있었다. 평균온도법을 적용한 경우 두 모형 모두 실측치와 편차가 증가하였다. 모형을 활용하여 예측 우화시기와 트랩유살자료를 비교하여 왕담배 나방의 비래 가능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395.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occurrence level of Metcalfa pruinosa, Halyomorpha halys, and Spodoptera litura was investigated in persimmon tree and bean cultivation fields in 14 cities and counties of the Jeonbuk region in June and July. Metcalfa pruinose was visually inspected, while Halyomorpha halys and Spodoptera litura were investigated by installing pheromone traps and counting the number of captured individuals once, seven days after trap placement. Metcalfa pruinose nymphs occurred in eight cities and counties, which showed an increase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and Halyomorpha halys nymphs had higher occurrences in the plains, with an average count of 5.5. The average count of Spodoptera litura was 26.7, which was lower than the previous year.
        396.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유기농 생태농업단지 논에서 출현하는 수서곤충의 생태자원 분포 특성을 비교하고자 유기농 단지 논에 둠벙 이 있는 조건과 둠벙이 없는 조건에서의 수서곤충상을 조사하여 관행 논의 분포 특성을 비교하였다. 수서곤충 출현은 둠벙이 있는 유기농 논 5목 15과 26종 413개체, 둠벙이 없는 유기농 논 5목 14과 22종 236개체, 관행 논 5목 11과 16종 155개체로 유기농 논에서 관행 논에 비해 수서곤충의 출현 과, 종 및 출현 개체수가 많았고, 유기농 논에서도 둠벙이 있는 조건에서 종수 및 개체수가 많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잠자리목의 경우 유기농 논 4과 8종 134개체, 둠벙이 없는 유기농 논 3과 5종 35개체, 관행 논 2과 4종 12개체로 전체 출현 종의 발생특성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는데, 유기농 재배의 특성상 농약의 피해로부터 수서곤충에 안전한 환경이 조성된 점과 둠벙의 담수 및 다양한 수서생물의 발생으로 수서곤충의 서식조건에 유리하게 작용되었다고 보인다. 반면 파리목에서는 둠벙이 있는 유기농 논 3과 3종 18개체, 둠벙이 없는 유기농 논 3과 3종 25개체로 관행 논 2과 2종 24개체보다 발생양상이 다른 수서곤충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고, 관행 논보다 깔다구류의 개체수 19개체보다 각각 6개체, 12개체로 적게 출현한 점에서 유기농 재배유형과 둠벙의 서식처 제공이 수서곤충의 출현 및 분포에 건전성을 조장하는 방안이라고 판단된다.
        397.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ruit Flies (Diptera: Tephritidae) are polyphagous, highly invasive pests in which female adults lay eggs under the skin of fruit and larvae damage the fruit. Among them, the Oriental Fruit Fly, Bactrocera dorsalis (Hendel) was first reported in Taiwan and is distributed throughout much of Southeast Asia, including Vietnam, as well as on the African continent and in the Pacific region. In order to prevent the introduction of pests into country, the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has designated them as prohibited pests and is conducting surveillance and investigation on their occurrence. The experimental countries were Taiwan and Vietnam,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number of B. dorsalis caught by setting up traps for about 8 months. Methly eugenol (ME; 4-allyl-1,2-dimethoxy-benzene) is a widely distributed natural plant and is used because it strongly attracts males of B. dorsalis. The experiments aimed to verify the effect of attractant formulations (liquid, solid, wax) and traps (Delta trap, Lynfield trap, Steiner trap) on B. dorsalis.
        398.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22년 캠벨얼리 재배면적은 4,397ha(32.7%)으로 샤인머스켓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이 재배하는 품종이다. 또한 충랑은 2018년에 품종등록된 3배체(캠벨얼리×고처) 포도로 신품종 연구가 필요한 품종이다. 연무늬들명나방 (Syllepte pallidinotalis)은 캠벨얼리와 신품종 충랑에서 잎의 가장자리를 말고 그 속에서 잎을 갉아먹는 해충으로 잎에 피해가 관찰되었다. 연중 포도원에서 연무늬들명나방의 밀도는 7월 중순과 9월 하순에 2번의 peak를 보였 다. 알에서 부화한 유충이 2령이 되면 잎을 말고 안에 숨기 때문에 잎을 말은 이후 약제 살포시 잎 안에 잘 뭏지 않아 방제가가 떨어졌다. 특히 생물농약인 비티제를 이용해 방제를 할 경우 잎을 말기 직전인 6월 중순에 살포 했을 때 93.5%의 방제가를 보였으나, 5월 하순이나 7월 초순 방제할 경우 73.9, 43.6%로 낮은 방제가를 보였다. 따라서 잎을 말기 직전인 6월 중순, 8월 하순에 방제를 하는 것이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399.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22년 캠벨얼리 재배면적은 4,397ha(32.7%)으로 샤인머스켓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이 재배하는 품종이다. 포도 과원에서 보고된 장님노린재에는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와 초록장님노린재가 있으며, 포도 신초를 가해해 잎 이 자라면서 구멍이 나고, 포도알을 흡즙해 포도알 표피를 코르크화해 상품성을 떨어뜨린다. 애무늬고리장님노 린재는 약충은 3~4mm, 성충은 4~5mm 정도이며, 몸 색깔은 엷은 녹색을 띄고, 다리(설상부) 끝이 검어 초록장님노 린재와 구분된다. 조사지점에서는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만 채집되었으며, 나무당 0~4.8마리가 발견되었다. 4월 하순 상대습도 40% 이상이고, 일평균기온이 13℃ 이상 10일 정도 경과하였을 때 알에서 부화해 신초를 가해 하기 시작했다. 5월 하순부터 성충이 되며, 포도원 살충제 살포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하였다가 7월 초경에 초목성 식물에서 포도원으로 들어와 새로 나오는 포도 부초를 가해하였다. 방제시기에 따라 상품과일 무게가 차이가 났는데 잎전개기, 꽃송이분리기, 착과기 3회 방제시 수량감소율이 1%인데 비해 잎전개기에만 방제시 3.5%, 꽃송 이분리기에만 방제시 7.9%, 무처리구에서는 15.6%로 방제 시기에 따라 상품과일 감소량이 차이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00.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icania sublimata are insects invaded in South Korea from China 2011. It has been happening continuously since invaded and It is established and continues to increase and occur in various crops such as persimmons, peaches, and apples. The nymphs and adults of R. sublimata causes damage by sucking the stems and leaves of trees. Yellow, blue, and white sticky traps (25x15cm) were installed in the 1000m2 Omija(Schizandra Chinesis Baillon) orchard september 2020 and the trap captures by color was investigated. In addition, yellow sticky traps were installed at heights of 1m, 1.7m, and 2m, and the trap captures according to the height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of attraction according to the color of the sticky trap, yellow trap was the most attractive, blue and white traps had little attraction. And result of capture according to the yellow sticky trap height the most were caught at 1.7m height, followed by 1m and 2m in that order. Therefore, it is considered reasonable to investigate the density and monitoring of R. sublimata using yellow sticky tr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