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8

        42.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는 2016년 백색 대형 스탠다드 장미 ‘Fascinar’을 육성하였다. 2011년 ‘Splash’ 품종을 모본으로, 향기가 강한 연보라색 장미 ‘Charming Easies’ 품종을 부본으로 교배하였고 5개월 후에 성숙한 꼬투리를 획득하여 암면배지에 파종하여 후대를 얻었다. 2012년 화색, 화형, 향기 유무 등의 특성검정을 통하여 G11-338 계통을 선발하였다. 선발된 계통을 2013년부터 2016년까지 1차, 2차, 3차 특성검정을 통하여 품종의 안정성과 균일성을 확인하여 ‘Fascinar’로 명명하였고 2017년에 국립종자원에 품종보호출원(제2017-198호) 한 후 2019년에 품종보호권이 등록(제7795호)되었다. 화색은 백색(RHS, N155D)으로 대조품종보다 짙은 백색이며, 화형은 스탠다드이며 고심형인 대형 장미이다. 향기는 대조품종 ‘화이트라임’ 보다 매우 강하며 주요향기 성분은 GERMACRENE-D, Nerol 등 테르펜류와 phenylethyl Alcohol이다. 잎의 형태는 타원형이고 가시가 적은 편이다. 연간 절화수량은 172.2본이고, 꽃잎수는 38.4매이며 절화품질 중 절화장은 75.0cm 절화경경은 6.2mm 절화중은 10.6g 이다. 절화수명은 11일, 화폭 9.2cm, 화고 5.2cm이다. 기존에 육성된 품종에 비해 향기 성분 함량이 높고 화형과 화색이 우수 하여 품종으로서 가치가 높은 품종이다.
        4,000원
        46.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 제고와 고품질 대추 생산에 대한 관심 급증으로 친환경적인 해충방제법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친환경적 해충방제를 위하여 비가림하우스 별 방충망을 설치하여 해충방제 효과와 과실 생육을 조사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방충방 규격은 각각 25, 18, 6mesh로 대추나무잎혹파리, 장님노린재, 복숭아심식나 방의 차단효과를 보았다. 대추나무잎혹파리의 경우 피해엽율이 1.2%, 10.8%, 14.3%, 무처리구는 15%였으며 장님노린 재의 경우 피해눈율이 6.9%, 5.8%, 20.41%, 28.2%였고, 심식나방은 피해과율이 0.0%, 1.0%, 0.0%, 32.0%로 나타났다. 방충망처리에 따른 대추생육은 처리구와 무처리구에서 차이가 거의 없었다. 대추재배농가의 방충망 도입이 해충 방제에 효과가 큰 것으로 판단되며 문제가 되고 있는 세가지 해충을 모두 방제하기 위해서는 25mesh로 처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47.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의 원예활동 프로그램 인식과 운영현황을 조사하여 향후 지역아동센터 원예활동 프로그램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충청남도 천안시에 위치한 지역아동센터 소장을 대상으로 2018년 2월 26일부터 2018년 3월 9일까지 방문, 이메일, 전화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다중응답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한 결과, 천안시의 지역아동센터 중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행해 본적이 있는 곳은 49%, 실행해보지 않은 곳은 51%로 나타났다. 실행해 본 적이 있는 곳 중 3개월 이상 프로그램을 진행한 센터는 40%에 불과했으며 주 1회, 1시간으로 복지원예사가 진행하였다. 지역아동센터에서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시행하지 않은 가장 큰 이유는 ‘예산’이었다. 인지도를 살펴보면, 응답자 중 96.1%가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으며 56.9%가 원예활동프로그램에 매우 관심이 있다고 답하였다. 원예활동 프로그램의 실행으로 지역아동센터가 아동에게 기대하는 효과로는, 정서안정과 사회성 발달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았을 때, 많은 소장이 원예활동 프로그램에 관심은 많지만, 일회성 프로그램으로 인식한다고 생각되어 원예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앞으로 지역아동센터에서 프로그램을 진행할 때 ‘정서적 안정’과 ‘사회성 향상’을 목적으로 ‘주 1회’로 지속적인 운영을 할 수 있도록 지역아동센터의 예산확보와 원예활동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4,000원
        49.
        2018.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celebrate the tenth anniversary since the launch of Fermi Gamma-ray Space Telescope, we take a retrospect to a series of breakthroughs Fermi has contributed to pulsar astronomy in the last decade. Apart from significantly enlarging the population of ɤ−ray pulsars, observations with the Large Area Telescope onboard Fermi also show the population is not homogeneous. Instead, many classes and sub-classes have been revealed. In this paper, we will review the properties of different types of ɤ−ray pulsars, including radio-quiet ɤ−ray pulsars, millisecond pulsars, ɤ−ray binaries. Also, we will discuss the prospects of pulsar astronomy in the high energy regime.
        4,500원
        50.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itrogen-doped carbons have attracted much attention due to their novel application in relation to gas storage. In this study, nitrogen-doped porous carbons were synthesized using SBA-15 as a template, polypyrrole as the carbon and nitrogen precursor, and KOH as an activating agent. The effect of the activation temperature (600–850°C) on the CO2 adsorption capacity of the obtained porous carbons was studied. Characterization of the resulting carbons showed that they were micro-/meso-porous carbon materials with a well-developed pore structure that varied with the activation temperature. The highest surface area of 1488 m2 g–1 was achieved at an activation temperature of 800°C (AC-800). The nitrogen content of the activated carbon decreased from 4.74 to 1.39 wt% with an increase in the activation temperature from 600 to 850°C. This shows that nitrogen is oxidized and more easily removed than carbon during the activation process, which indicates that C-N bonds are more easily ruptured at higher temperatures. Furthermore, CO2 adsorption isotherms showed that AC-800 exhibited the best CO2 adsorption capacity of 110 mg g–1 at 298 K and 1 bar.
        4,000원
        55.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potted wing drosophila(Drosophila suzukii)is one of the serious fruit pest that has a wide range of fruit crops like blueberries, cherries and grapes. It came up the larvae cause dagmage by feeding on the pulp inside fruits and berries and spotted wing drosophila also has a adversely affect export to Austrailia and New zealand as a quarantine pest. This study conduct to survey occurrence of drosophila spp. from 2016 to 2018 on harvest period of grapevine in vinyard of Okcheon ,Yeongdong and fruit packing place for export to New zealand and USA. Vinegar and wine mixture was used to attract fruits flies. We also investigated to what color is the best stimulus to catch a vinegar flies. Our result shows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otal flies trapped in red and black color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future research for monitoring and control drosophilid flies.
        56.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약용작물인 천궁류를 가해하는 총채벌레류의 발생종을 확인하고자 2018년 7월과 8월 2회에 걸쳐 영주와 봉화의 일천궁과 토천궁 재배지에서 채집하였다. 두 재배지에서 총 5종의 총채벌레류가 발생함을 확인하였고 꽃노랑총채벌레 > 대만꽃노랑총채벌레 > 미나리총채벌레 > 볼록총채벌레 > 대관령총채벌레 > 파총채벌레 순으로 동일하였지만 포획비율에서는 약간의 차이를 보여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약용작물로 재배하고 있는 2종의 천궁에서 우점종이 꽃노랑총채벌레와 대만총채벌레임을 확인시켜 주었다. 또한 미나리총채벌레와 대관령총채벌레가 천궁류에서 서식하고 있음을 처음 확인하였다.
        58.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management characteristics and growth performance of L. edodes from the cooling stage to incubation. Bags of different heights and weights are available for bagging. When the medium size of 17x13 cm was used and the size of the inoculation hole was changed from 1/3 to 2/3, the browning period was shortened to 30 days. Mycelial growth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cooling temperature after sterilization. It was observed to be the highest at 122 mm/15 days at 10 °C and 114 mm/15 days and 117 mm/15 days at 15 °C and 20 °C, respectively. The contamination rate of the sawdust media before inoculation was measured as 0, 4.5x10, 1.3x102, 4.0x103 cfu at 5 °C, 10 °C, 15 °C, and 24 °C respectively. The average of 1.6x108 colony forming units (cfu) of microorganisms was observed in the sawdust that had been piled for six months outdoors. In summer, the sawdust has to be used immediately after mixing. The sterilized medium had an average of 4x103 cfu of microorganisms at 24 °C and 1.3×102 cfu at 15 °C. After 15 days of inoculation in vitro, the growth conditions of the sawdust was the best at 132 mm, followed by grain and liquid. When inoculated with liquid spawn,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ubstrate should be adjusted between 50% and 55% in advance.
        3,000원
        60.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오미자를 가해하는 여러 해충 중 과피를 가해하는 볼록총채벌레를 대상으로 황색등에 대한 기피반응과 유인제에 대한 유인반응을 2017년 5월부터 8월까지 경북 문경시 동로면 소재 유기전환, 무농약, GAP 및 유기농 재배지에서 조사하였다. 황색등을 처리한 평지 및 경사지 모두에서 볼록총채벌레의 기피반응을 확인할 수 없었고 꽃노랑총채벌레 의 유인제로 사용하고 있는 p-anisic acid methyl ester에 대한 유인반응 또한 대조구와 비교했을 때 효과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Derksen et al. (2016)이 언급한 것처럼 볼록총채벌레가 주행성(diurnal) 해충임을 의미하며 p-anisic acid methyl ester가 아닌 오미자가 발산하는 다른 향기물질(plant violates)을 이용한 유인제나 수컷이 방출하는 집합페로몬을 활용한 트랩 개발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트랩 개발은 볼록총채벌레의 효과적인 예찰 및 대량포획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