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618

        41.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Vespa velutina, although no parasites or parasitoids have been found as natural enemies, strepsipteran parasites were first discovered in 11 workers in Andong in 2020. Identification using the DNA barcode method along with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identified them as Xenos moutoni and X. oxyodontes. These were all males (except for one parasite whose appearance was not identified), and consisted of four larvae and seven pupae. This is the first recorded strepsipteran parasites in Korea, Japan, and Europe, invaded by V. velutina. A Strepsipteran parasite is prevalent in Vespa species, but reports on the host is lacking in Korea. Although it was not possible to determine the exact infection rate of the strepsipteran parasites in this study, it seems that the parasite of V. velutina has already progressed in the southern region due to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Andong, located in the central region of Korea. In particular, stylopized workers do not work in the nest, which negatively affects nest development, and reproductive individuals (male and new queen) do not mate, which negatively affects the formation of new colonies in the following year. Nevertheless, the control effect is likely to be minor due to the high reproductive rate and compensatory effect of social wasps.
        42.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외래종 등검은말벌은 양봉농가에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입히는 대표적인 양봉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 에서는 경북 의성 및 안동 일대에서 양봉장 주변 2km 지점 내에 발생하는 등검은말벌의 벌집 밀도에 대해 조사하 였다. 조사기간은 2023년 12월 1-20일까지 조사되었으며 육안, 망원경 및 드론을 통해 가능한 한 모든 지점을 조사하였다. 이번 조사에서 발견된 총 등검은말벌 벌집 수는 133개로 조사되었다. 그 중 의성에 위치한 5곳의 양봉장에서는 총 67개로 평균 13.4개, 안동에 위치한 5곳의 양봉장에서는 총 66개로 평균 13.2개로 나타나 두 지역이 거의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10개의 양봉장 중 안동 안기동 일대 양봉장에서 최대 26개의 등검은말벌 벌집이 발견되었으며 의성 단촌 일대 양봉장에서는 4개만이 발견되어 큰 격차를 보였다. 양봉장에 피해는 주는 등검은말벌의 출현 비율은 주변 벌집 밀도에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고 있기 때문에 정확한 밀도 및 거리 등을 토대로 적절한 방제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43.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03년 국내에 침입한 외래종 등검은말벌(Vespa velutina nigrithorax)은 현재 남한 전체에 확산된 상태이며 이들로 인한 사회 경제적 피해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을 방제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 고 있으나 그 효과는 대부분 미미한 상황이다. 그러나 최근 생물학적 방제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는 상황에서 외래종 등검은말벌에 대한 새로운 포식자 2종이 발견되어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2023년 8월 11일 전북 무주군 적상면 일대에서 오소리 배설물 조사 중 배설물 속에 다량의 말벌 사체가 발견되었고 분석 결과 10여개체의 등검 은말벌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적으로 땅벌류를 주로 포식하는 오소리가 대형 말벌류를 포식하는 첫 기록이다. 또한 2023년 12월 10일 안동 일대에서 등검은말벌 벌집 조사를 하던 중 벌집에 10여 마리의 직박구리가 벌집 외피를 깨고 내부에 있는 애벌레와 성충들을 포식하는 장면이 관찰되면서 벌매에 이어 새로운 조류 포식자를 기록한다.
        44.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세계 100대 악성 침입외래종인 유리알락하늘소(Anoplophora glabripennis)와 근연종인 노랑알락하늘소(가 칭, Anoplophora horsfieldii (Hope, 1843))가 2019년 제주도에서 처음 발견된 후 2023년까지 지속적으로 확인되었 다. 본 연구는 MaxEnt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는 생물종 분포 모델을 이용하여 19개의 기후변화 변수에 노랑알락 하늘소(가칭) 먹이식물 5종(차나무, 팽나무, 멀구슬나무, 종가시나무, 비술나무)의 변수를 추가하여 외래해충인 노랑알락하늘소(가칭)의 현재·미래의 분포 가능지역에 대한 공간적 분포 특성을 규명하고 국가적 확산을 대응 하고자 한다. 모델 예측 정확도(AUC)는 0.983으로 출현지점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비율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모델 예측 정확도의 증감에 영향을 주는 환경변수 중 먹이식물의 기여도가 70%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75% 이상 분포 가능지역은 전라남도 진도군 일대와 경상북도 포항시 일대로 나타났으나 2050년에는 서해안을 따라 태안군까지 동해안을 따라 북한의 고성군까지 분포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75% 이상 분포 가능 면적은 현재 423㎢에서 2050년에는 9,270㎢로 약 대한민국 면적의 1/10 정도 확산될 것으로 예측된다.
        45.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aimed to collect foundational data essential for devising a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plan and implementing relevant policies. It underscores the significance of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e of the natural environment. Our research concentrated on surveying the bio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key natural habitats within Busan Metropolitan City, with the goal of gathering crucial data to guide the development of conservation and management strategies. The focus of our investigation was on the insect populations in Ilgwang, covering two primary habitats: mountains and wetlands. The survey, conducted from July to September 2023, utilized various collection methods, including pitfall traps, fly traps, sweeping nets, and aspirators. Our findings documented the presence of 109 species across 88 genera, 50 families, and 9 orders. Specifically, the study identified two species from the order Odonata, two from Blattodea, one from Mantodea, six from Orthoptera, eleven from Hemiptera, twenty-nine from Coleoptera, twelve from Diptera, ten from Lepidoptera, and thirty-five from Hymenoptera. Through community analysis, biodiversity indices were calculated, revealing a Shannon-Wiener index (H') of 4.07 for mountain habitats and 3.92 for wetlands. The Margalef richness index (R) displayed values of 13.92 for mountains and 14.78 for wetlands, while the Pielou evenness index indicated values of 0.96 and 0.91, respectively. Among the identified species, one was classified as endangered, and thirteen were designated as of Least Concern, according to legal protection statuses.
        46.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to collect and refine "Natural resource survey" and ecosystem research data of 23 National parks in South Korea, including Hallasan on Jeju Island and Palgongsan newly designated as national park in 2023. Among the collected data, a total of 1,538 species from 54 families of Hymenoptera insects were recorded. Within these families, the largest number of species was recorded in the family Ichneumonidae with 514 species, followed by Formicidae (118 species), Braconidae (112 species), and Tenthredinidae (135 species), exhibiting relatively high species diversity. Among the National parks, Jirisan, the first designated National park in South Korea with a relatively large area compared to other parks, recorded the highest species diversity with 618 species, while Taebaeksan recorded relatively low species diversity with 77 species.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number of Hymenoptera species and other factors reveal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relatively strong positive correlation (P > 0.005, R = 0.864) with the total number of insects,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relatively weak positive correlation (P > 0.005, R = 0.615) with the park's area.
        47.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왕피천 수계 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 분석을 위해 총 5개 지점에서 2023년 총 4회(4월, 6월, 8월 11월)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중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5문 7강 17목 77과 156종 17,179.1개체/㎡가 채집되었다. 수환경 변화에 민감한 E.P.T. 분류군은 전체 156종 중 91종이 출현하여, 전체 출현종의 58.3%를 차지 하였다. 섭식기능군(FFGs) 분석결과, 종 출현 양상은 육식성 포식자(Predator: P)가 51종(32.69%)으로, 개체 출현 양상은 주워먹는 무리(Gathering-collector: GC)가 6,867.2개체/㎡(39.97%)로 높은 비율로 출현하였다. 서식기능 군(FHGs) 분석결과, 붙는 무리(Clinger: CL)가 70종(44.87%), 12,720.6개체/㎡(74.04%)로 가장 높은 비율로 출현 하였다. 군집지수 분석결과, 우점도지수(DI) 0.43, 다양도지수(H′) 3.51, 풍부도지수(R1) 4.59 균등도지수(J′) 0.77 로 나타났다. 생물학적 수질 판정 지수(BMI) 분석결과, 평균 92.36(±0.83)으로 모든 지점에서 “매우 좋음”으로 판정되었다.
        48.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광릉 숲의 곤충상 조사는 1932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광릉 숲의 경로조사법에 의한 나비상 모니터링 연구는 1998년부터 2023년까지 지속되었다. 26년 동안 총 223회 조사를 실시한 결과 118종, 20,181개체가 확인되었다. 봄철 출현하는 나비중 8종(노랑나비, 대만흰나비, 먹부전나비, 멧팔랑나비, 쇳빛부전나비, 애호랑나비, 큰줄흰나 비, 흰줄표범나비)은 첫 출현일이 빨라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평균 5.2일 빨라졌다. 조사된 나비중에서 큰줄흰나 비, 뿔나비, 남방부전나비 순서로 많은 개체수가 확인되었으며, 연 출현 빈도는 큰줄흰나비가 26회로 가장 많았다. 확인된 나비의 분포, 서식지, 식성에 따라 분류한 결과 분포는 북방계 27%, 남방계 14%이며, 서식지는 산림 경계 36%, 산림 내부 33%, 초지 30% 그리고 식성은 다식성 8%, 단식성 42%, 협식성 51%로 이루어진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기후변화 따른 나비류 생활주기 변화 여부를 검토하여 지구온난화 지표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49.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and diversity of spider communities living in natural and semi-natural environments located in Gongju, Chungcheongnam-do, South Korea, and thereb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urban planning and biodiversity conservation. In this study, we documented 128 spider species through pit-fall trapping, sweeping, and manual collection methods and analyzed their alpha and beta diversity, nestedness, and interactions. As a result, natural habitats (forests) showed higher biodiversity and more complex species interactions. Despite anthropogenic impacts, such as human activities, urban habitats have shown notable biodiversity. Nestedness analysis and association rule learning reveal diverse community structures in multiple habitats and intricate interspecies relationships.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habitat heterogeneity in supporting biodiversity and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multiple ecological factors in urban planning.
        50.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소양강댐 하류에서 서식하는 생태계교란 생물 종인 브라운송어와 그 먹이원으로 이용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에 대한 파악을 위해 2022년부터 2023년까지 총 8회에 걸쳐 소양강댐 하류(St.1~St.3)와 지류 (St.4)에 대해 브라운송어와 공서종, 브라운송어의 위 내용물,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종조성 및 기능군 분석을 실시하였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경우, 하루살이목에서 가장 많은 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27.1%), 그 중 붙는 무리(CL)와 헤엄치는 무리(SW)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브라운송어 채집 결과, 전장은 26∼246mm까지 총 105개체가 채집되었으며, 전장-체중 관계의 매개변수 b값이 3을 초과하여 안정적인 성장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브라운송어의 위 내용물에 대한 먹이원 분석 결과, 빙어(0.2%, TL: 246mm)와 육상곤충(2.7%, TL: 154mm, 183∼185mm)을 섭식한 개체는 매우 적었으며 상대적으로 전장이 큰 개체에서 확인 되었다. 대부분 수서곤충(73.8%)과 물 속에서 서식하는 비곤충류(23.3%)를 섭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라운 송어의 전장에 따른 먹이 섭식 패턴을 파악하기 위해 위 내용물에서 확인된 종들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브라운송어의 먹이원 중 유수성 환경 선호 종들의 경우 전장과 양의 상관관계(p<0.05)를 나타낸 반면, 모래 기질 이하의 흐름이 적은 서식처를 선호하는 종들의 경우 전장과 음의 상관관계(p<0.05)를 나타냈다.
        51.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한강 3개 보 구간 수변부 11개 지점을 대상으로 2023년 총 2회 채집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100종 평균 426.0 개체/m2였다. 여주보에서 64종으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강천보에서 59종, 이포보에서 54종, 한강보상류 에서 41종, 한강보하류에서 32종이 확인되었다. 전체 평균 개체밀도는 강천보에서 944.1 개체/m2로 가장 많았고, 한강보상류에서 282.7 개체/m2, 여주보에서 251.9 개체/m2, 이포보에서 180.6 개체/m2, 한강보하류에서 172.9 개체 /m2 순으로 확인되었다. 한강 보 구간에서는 플라나리아류, 실지렁이, 깔따구류 등이 우점함. 보구간의 특성상 상대적으로 단순한 하상 및 깊은 수심에 적응성이 높은 실지렁이, 깔따구류의 우점은 일반적인 특성으로 볼 수 있으며 일시적으로 수변부에서 밀집된 플라나리아류의 채집이 이뤄져 우점된 결과를 보인 것으로 보임. 한강 보 구간 수변부 및 중앙부 조사지점별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강보 하류는 3개 보에 비해 우점도가 높고 다양도 와 풍부도가 낮았으며 전반적으로 상류부에 위치한 한강보상류 등의 지점에서 군집안정성이 확보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점은 상대적으로 다양한 미소서식환경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52.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Until now, only two species of Dichaetomyia Malloch have been recorded in the Korean fauna. In this study, we report two unrecorded specie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External photographs, key to Korean species and taxonomic information are presented herein.
        53.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Hyadina Haliday, 1830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n fauna along with two nominate species: Hyadina fukuharai Miyagi, 1977, and H. pulchella Miyagi, 1977. Their diagnoses, external feature, and a key of these species are provided here.
        54.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Muscidideicus Becker, 1917 is comprised of only one species, M. praetextatus (Haliday, 1855) reported in west Palearctic region. The adults were typically found on sandy beach within the intertidal zone. In the survey of Korean fauna, authors found three new to science species of this genus on the west sea side of Korean Peninsula and Jeju Island. Descriptions and figures of external features of new to science species and key to species of the world are provided here.
        55.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family Baetidae is known to be the most species-rich family in the order Ephemeroptera. The genus Baetis contains up to 160 species, but members of the genus in East Asia are still poorly investigated. In this paper, Baetis spinoculis sp. nov., is described based on larval specimens collected in a stream of the Chiaksan mountain in Korea. While four species in the genus have been described in Korea: Baetis fuscatus (Linnaeus), B. silvaticus Kluge, B. pseudothermicus Kluge, and B. ursinus Kazlauskas, this new species is distinguished from other Korean baetid species by both genetic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B. spinoculis can be separated from the related B. pseudothermicus group by the COI genetic distant. The cuticle structures on paraproct plates and abdominal pigment patterns also distinguish B. spinoculis from B. pseudothermicus and other related species.
        56.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n unrecorded gall midge was discovered from inflorescence galls on Castanopsis sieboldii (Makino) Hatus. ex T.Yamaz. & Mashiba, which is one of major components in evergreen forests on the Korean Peninsula. The galls occurred on 20 trees out of 230 on Yokiji Island. The gall midge was identified as Schizomyia castanopsisae Elsayed & Tokuda, 2018 (Diptera: Cecidomyiidae), using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mitochondrial DNA cytochrome oxidase subunit 1 (COI) region sequences of gall midge’s larvae. The Barcode sequences of 40 samples collected from Yokji Island were identical, and the individuals from Yokji Island formed a clade with the individuals from Kyushu, with robust bootstrap support in a maximum likelihood tree. This result suggests the gall midges may have migrated from Kyushu, Japan to Yokji Island, South Korea. However, it is too early to determine if the gall midge is truly invasive or not at present due to paucity of distribution data in the country.
        57.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oth flies (Diptera: Psychodidae) are small fuzzy flies found in diverse habitats from mountains to urban areas, even in your house. Approximately 3,000 species among 6 subfamilies are recorded worldwide. However, in Korea, only 10 species from 3 genera of the subfamily Psychodinae have been recorded, including 8 species from North Korea. A preliminary study on moth flies in Korea was conducted using specimens collected via malaise traps and by hands from various locations in South Korea. As a result, Brunettia lungjingensis, Thornburghiella decoricornis, Philosepedon monstruosus and our friendly but unrecorded, Clogmia albipunctata are newly described in Korea. Brief descriptions, photographs, and illustrations of these four species are provided.
        58.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integration of machine learning for species identification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entomological research. However, automatic species identification faces significant challenges such as low resolution, sample discoration, and small dataset sizes, which impede the reliability of traditional machine learning methods. Building upon the previous research on quantification of the color patterns of Stenaptinus occipitalis jessoensis using R-based analysis, this study demonstrates how to overcome these challenges in training machine learning for species identification. This approach allowed us to successfully classify geographic variations of S. occipitalis. Our results demonstrate the model's ability to identify these variations, despite the small size of the image datasets. This advancement shed some light on the potential of machine learning to identify morphological variation in highly polymorphic species.
        59.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ree species belonging to two families of minute-sized spiders, viz, Theridiosoma fulvum (Araneae: Theridiosomatidae), Microdipoena ogatai and Microdipoena shenyang (Araneae: Mysmenidae), were discover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Previously T. fulvum and M. ogatai were known to distribute only in Japan, M. shenyang only in China. All former records of Microdipoena jobi from Korea are misidentifications of M. shenyang. Detailed descriptions and photographs of three species are provided.
        60.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Peromitra Enderlein is a small group of phorid flies, including two European parasitic species known to parasitize larval bibionid flies. In this study, specimens of the Peromitra species collected from South Korea are examined morphologically on the basis of characteristics on ocellar region, leg chaetotaxy and hypopygium. As a result, four species are described new to science and two species, viz. P. fimbriata and P. multisetalis are newly recorded from South Korea. Photographs of diagnostic characters and a key to males of South Korean species are provided.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