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5

        102.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진은 선행 연구에서 progesterone receptor membrane component 2 (pgrmc2) 유전자가 미성숙 난자에서 높게 발현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pgrmc2와 pgrmc1 유전자가 쥐의 생식소와 배아의 발달 단계에 따라 어떻게 발현하는지 알아 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들 유전자는 난소, 정소, 배아, 그리고 난자의 다양한 발달 단계에서 발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쥐 난자 세포막에 프로게스테론 수용체가 존재하
        105.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성숙의 Germinal Vesicle(GV 단계에서 성숙한 Metaphase II(MII) 단계가 되는 난자성숙 과정은 핵과 세포질의 성숙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수정과 배 발달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된다. GV 난자는 prophase I 단계에 arrest 되어 있다가 meiosis 과정을 거쳐 성숙한 MII로 되는데 이를 조절하는 기작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성숙 난자와 성숙 난자간의 유전자 발현의 차이
        106.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초기 난포 발달 과정 중 원시난포-1차 난포 변화과정 시기에 발현하는 유전자를 알아보고 자 수행하였다. 원시난포로만 이루어져 있는 생쥐의 생후 1일자 난소와 원시난포 및 1차 난포로만 이루어져 있는 5일자 난소의 RNA와 총 80개의 annealing control primer(ACP) primer를 사용하여 PCR을 수행하여 서로 다르게 발현하는 유전자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DEG) 41개를
        107.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실에서는 이전의 실험에서 suppression subtractive hybridization(SSH)을 통하여 생쥐의 생후 1일자 난소와 5일자 난소에서 차이 나게 발현하는 유전자들의 목록을 얻었고 그 중에서 MT transposon-like element, clone MTi7(MTi7)이 성장하는 난포에서 더 높게 발현한다는 것을 알아냈다(Park et al., 2002). In situ hybridization과 RNA interference
        109.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성장을 멈추고 있는 원시난포(primordial follicle)에서 난포발달이 개시되어 1차난포(primary follicle)로 발달하는 조절기전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초기 난포발달 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알아내기 위해 suppression subtractive hybridization(SSH)을 사용하였다. 생후 1일과 5일째의 생쥐 난소로부터 얻은 cDNA로 forward와 reverse subtraction을 수행하여 각각 day1과
        110.
        200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난자와 난포세포는 gap junction channel을 통해 긴밀한 연락을 주고받음으로써 난자의 발달이나 난포의 성장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같은 크기의 난포에서 나온 난자라고 하여도 cumulus cell(난구세포)들이 붙어있는 상태가 다르다는 것을 관찰, 이렇게 난구세포와의 서로 다른 연결상태를 갖는 난자의 재질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가정하고, 난자의 competence와 이때 난자와 난구세포 사이의 cell-to-cell communicat
        111.
        199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rowth/differentiation factor-9 (GDF-9)은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 superfamily의 member로서 난소의 난자에서만 특이적으로 발현되며 정상적인 난포발달에 있어 필수적인 성숙인자로 최근에 알려졌다. 본 연구는 RT-PCR을 통해 생쥐의 원시난포에서의 GDF-9 mRNA의 발현 여부와 함께 난포의 발달단계에 따른 상대적인 발현량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는 ICR 생쥐를
        115.
        199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recombinant human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rhFSH) on the estrogen synthesis by human fetal ovarian tissues. Fetal ovaries were 18-19 weeks old (18 wks:n=1, 19 wks:n=2). One case of 19-week-old fetal ovaries were obtained from anencephalic fetus. Obtained ovarieswere cleaned and diced around pieces, and cultured in the sandwich agar bed system for 21-23 days. Estrone () and estradiol-17 () in the medium was measured by radioimmunoassay. Amount of synthesis was greater than in both normal cases. In contrast, fetal ovaries from anencephalic fetus did not produce neither nor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rhFSH. Results suggest that the fetal ovaries have a capacity of estrogen production at 18-19 weeks of gestation Existence of FSH receptor is also supposed. Different results by anecephalic fetal ovaries suggest the difference in the development between normal and anencephalic fetal ovaries.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