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5

        121.
        200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recycled washwater, which has different water quality and is produced about 5 to 20% of the total water volume treated, affects the unit operation of water treatment, especially coagulation process. However, the effects of recycled washwater on unit operation of water treatment have not been fully investigated. In this study, effects of recycled washwater on coagulation process were investigated to find the optimum coagulation condition by analyzing turbidity, UV254, TOC removal efficiencies. In addition, effects of recycled washwater on residual Al after coagulation were studied by analyzing soluble and particulate Al. The size distribution and fractal dimension of coagulated also analyzed. The recycled washwater was lower pH than the raw water. And the recycled washwater had higher UV254, TOC and residual Al concentration than the raw water. Residual Al concentration of recycled washwater was about 50 times higher than that of raw water. Optimum coagulant dosages on the blending recycled washwater and the raw water for turbidity, UV254 and Al removal were lower than that on the raw water. However, TOC removal increased by increasing coagulant dosage. The size and fractal dimension of coagulated particle produced in the blending recycled washwater were larger, which imply faster settling velocity, than those produced in the raw water only.
        124.
        2000.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thocyanin 색소원(자색고구마, 꽃양배추, 적양배추, 포도, 흑미, 가지, 무화과)의 색가를 조사하고 이들 중 색가가 높은 자색고구마, 꽃양배추, 적양배추 및 포도과피를 선정하여 이들 색소의 안정성에 미치는 금속이온, ascorbic acid, 자외선 및 가열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자색고구마와 포도과피의 색소는 에 의해 색소의 안정성이 가장 크게 저하되었으며, 적양배추와 꽃양배추 색소는 모두 이온에 의해 안정성이 가장 크게 저하되었다.
        125.
        199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연구는 서양삼(西洋蔘)(Panax quinquefolium Linne) 과육(果肉)에 의한 Brassica(Brassica chinensis Linne) seed를 대상으로 발아(發芽) 억제작용을 검토하였다. 서양삼과즙(果汁)에는 발아(發芽)억제물질이 존재하고. 그 억제작용은 희석도에따라 감소하였다. 즉 희석배수가 0, 1, 2, 5, 10, 20, 50, 100일때 배근(胚根)의 길이는 각각 0, 0.32, 0.72, 3.13, 483, 16.07, 16.73, 23.50 mm이였다(CK=25.98 mm). 과육의 존재는 종배(種胚)의 성장을 현저하게 억제하였다. 수확(收穫)후 과육이 종자 표면에 부착한 시간이 0, 15, 30, 60일 때 종자 생장에 대한 억제 시간은 각각 30, 75, 135, 135일로 나타났다. 종자 썩는 비율도 높아졌다. 과육의 부착한 시간이 0, 15, 30, 60, 270일 때 종자 썩는 비율은 각각 5.47, 5.71, 19.05, 27.14, 33.33%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과육에 서양삼종자휴면(西洋蔘種子休眠)을 일으키는 주요한 억제성분이 함유되어 있다는 것 을 시사하였다.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