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6

        165.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백련 잎의 소비확대를 위한 기초자료 확보측면에서 2007년 8월에 ‘가람’, ‘초의’, ‘백화건련’, ‘승달’ 백련의 잎을 수확하여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를 조사하였다. 총 페놀함량은 열수 추출물의 경우 ‘초의’ 백련에서 78.3㎍·mL-1로 가장 많았고, 에탄올 추출물은 ‘백화건련’에서 146.8㎍·mL-1로 가장 많았다. 전자공여능은 추출물의 농도가 2,000ppm일 때 ‘승달’의 열수 추출물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83.3%와 94.0%로 가장 높았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나 63.6㎍·mL-1(‘승달’)-92.2㎍·mL-1(‘초의’)를 나타낸 반면에 열수 추출물은 28.8㎍·mL-1(‘초의’) 이하를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는 추출물의 농도가 2,000ppm일 때 열수 추출물은 ‘초의’ 에서 69.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백화건련’에서 80.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Tyrosinase 활성 저해 효과는 백련의 종류 및 용매에 관계없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항균활성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는데, 저해환의 직경은 전반적으로 8.3-11.2mm를 나타냈다.
        166.
        200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ffect of seawater temperature (temperature) on the production of anchovy, Engraulis japonica and laver, Porphyra tenera Kjellman, were investigated in the eastern part of South Sea of Korea (ESS). Bimonthly temperature data (Feb., Apr., Jun., Aug., Oct., Dec.) from 1980 to 2002 were collected from Korean Oceanographic Data Center (KODC) and monthly anchovy catch and laver production from 1980 to 2002 were used from published sources by th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 Fisheries, Korea. Effects of temperature on the two organisms were examined in four cases. In case of lower anchovy catch and higher laver production (1993), temperature during main spawning season of anchovy was about 0.2-0.6℃ lower than normal condition, and temperature during seed collecting season of laver in Namhaedo, Kojedo went down below 22.0℃. In case of higher anchovy catch and higher laver production (1995), optimum temperature for catch was formed in main fishing ground, temperature for seed collection was lower than 22.0℃. In case of lower anchovy catch and lower laver production (1996), temperature for spawning and catch was about 0.6-1.6℃ lower than normal condition, and temperature during seed collection in nursery was about 0.5-1.0℃ higher than optimum temperature for seed collection. In case of higher anchovy catch and lower laver production (1998), temperature during main fishing and spawning season was about 1.0-1.8℃ higher than normal condition, and temperature during laver seed collection in nursery was 1.5℃ higher than optimum temperature for seed collection.
        175.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six-rowed naked waxy barley variety, ‘Saehanchal’, was developed by the barley breeding team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R.D.A. This variety wa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SB7803G-BC6-B-B-47-2’ and ‘Suwon262’ in 1989. The fi
        178.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벚나무 꽃과 유엽을 이용한 차 개발의 일환으로 꽃과 유엽의 일반성분 및 화학 성분을 분석하였다. 일반성분은 꽃의 경우 조단백질(6.39%), 조회분(2.28%), 조지방(2.01%) 순이었으며, 유엽은 조단백질(11.04%), 조회분(3.98%), 조지방(1.91%) 순이었다. 무기성분 함량은 꽃의 경우 칼륨(85.28cmol․kg-1), 칼슘(60.40cmol․kg-1), 인산(11.12cmol․kg-1), 나트륨(4.21cmol․kg-1)순이었으며, 유엽은 칼륨(122.79cmol․kg-1), 칼슘(63.31cmol․kg-1), 인산(11.52cmol․kg-1), 나트륨(4.86cmol․kg-1) 순이었다. 비타민 C는 꽃에서 0.85g/100g, 유엽에서는 0.95g/100g이 검출되었다. 구성당중 manitol은 꽃에 1.32mg/g, 유엽에 0.64mg/g이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아미노산은 18종류가 분리되었는데, 그 중 glutamic acid가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지방산은 꽃이나 유엽 모두 linolenic acid가 각각 32.43, 65.15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