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외국인에게 중국어를 교육하던 중 한 교사가 “종이배 만들기”를 활동함으로서 학생들의 중국어에 대한 흥미와 관심도를 높였다고 한다. 홍콩에서도 이처럼 소수의 비화교 학생들에게 중국어 수업을 진행하면서 이루어지는 전지 활동은 가장 환영받는 교육 방법 중 하나이다.이전의 학생들은 그들에게 한자 쓰기는 자신들에게 마치 다른 별나라의 글자를 쓰는 것만큼 어렵다고 표현하였다. 그러나 우리는 학생들의 실제 과제를 통해 대다수의 학생들이 한자를 바르게 쓰고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렇다면 종이를 이용한 활동과 한자쓰기는 어떤 연관성을 가지고 있을까?
        5,700원
        2.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eaching a Putonghua lesson of the Chinese as a Second Language programme in Australia, I used the activity of folding an "Origami boat" that initiated students’ interest in learning origami. Similarly, in teaching Chinese to ethnic minorities in Hong Kong, origami is also the most popular activity. It is definitely a learning catalyt and stimulant. There was a student who described writing Chinese characters is as difficult as "alien culture", but in marking students’ work, it was found that many students can write Chinese characters correctly and neatly. Thus is there any relevancy between origami and writing Chinese characters? Chinese characters are square and the majority of origami projects uses square papers. The origami steps follow the basic form, with basic folds and symbols, according to a certain logical sequence to fold and combine. It will use the quadrilateral, triangle, rhombus, trapezoid, polygon, and other forms. Are there any similarities in the radicals, components and strokes of Chinese characters? This is what we need scholars to explore in dep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