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recombinant bovine somatotropin (bST; Boostin-S, LG Chem) treatment with FSH (Super OV) or PMSG on superovulatory response for transvaginal ultrasound-guided oocyte retrieval (TVR) in calves. Eight Korean Native Cattle(KNC) heifer calves; 150 to 240 days old; were randomly assigned to four treatment groups: 1) FSH(75 mg); 2) FSH (75 mg) + bST(500mg) 3) PMSG(1;000 IU); 4) PMSG(1, 000 IU) + bST(500 mg). Experimental calves in group 1 (n=2) and 2(n=2) were weekly superovulated for 4 consecutive weeks with daily injection of FSH for 3days and the next day subjected to TVR session. Animals in group 3 (n=2) and 4(n=2) were weekly stimulated for 4 consecutive weeks with a single dose of 1, 000 IU PMSG. TVR was performed on 72 hours after PMSG injection. Calves in group 2 and 4 was received injection of 500 mg of bST every 10 days. At each TVR session, follicle number and size were recorded; the oocytes collected and graded according to cumulus and cytoplasm investment. Collected oocyte were determined viable oocyte according to morphological quality with granulation of oocyte and number and status of cumlulus cells. IVM and IVF were performed and assessed cleavage rate on day 3 after fertilization. A Sonovet 600(Medison, Co., Ltd) realtime ultrasound scanner with a 6.5 MHz convex transducer, fixed at the tip of 500 mm estended handle equipped with a needle guide was used in collecting oocyte.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analysed by chi-square test. The population of large follicle (5 nun) and aspiration rat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t among the 4 groups. But, the number of small follicles (<5 mm) and aspirated oocyte in the KNC calves treated with bST were 1.3~1.6 times higher than in KNC calves treat with FSH or PMSG alone. In conclusion, the administration of bST with FSH or PMSG at superovulation for TVR in calves was increase the nurnber of small follicle which was influenced the number of aspiratable follicle.
본 연구는 3개소의 소형 고형연료 사용시설의 대기 배출특성을 분석하였다. 고형연료 사용시설은 RPF 사용 시설과 RDF 사용시설로 구분하였으며, 고형연료 품질특성, 입자상물질 배출특성, 가스상물질 배출특성, 다이옥신 배출특성 및 대기오염물질 배출 상관성분석, 배출원단위 특성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고형연료제품의 RPF제품의 30개 시료의 발열량은 6,004kcal/kg ~ 10,153kcal/kg의 큰 편차를 보이며, 평균 7,846kcal/kg으로 조사되었다. RDF제품의 경우 11개 시료에서 3,065kcal/kg ~ 5,694kcal/kg으로 평균 4,526kcal/kg으로 조사되어, 연소조건의 안정을 위해서는 제품생산의 균질화가 필요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대상시설 반입연료의 품질기준은 만족하나 3개시설 반입고형연료제품 발열량 변화폭이 큰 것으로 확인 되어 고형연료(SRF)를 통합할 경우 연소조건 및 대기오염물질 배출 변동 폭은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
2. 주요 대기오염물질 배출특성을 살펴본 결과, 입자상물질의 경우 발생되는 양이 방지시설 전단 RPF의 A시설 423.61mg/Sm³, B시설 1223.18mg/Sm³, RDF의 C시설 973.4mg/Sm³ 이며, 보일러 출구 온도의 경우 온도가 높을수록 영향을 크게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온도제어가 오염물질 발생량을 줄일수 있는 방안으로 사료되었다. 가스상 물질의 경우 염화수소와 황산화물 농도가 다른 가스상 물질보다 높은 배출경향을 보이며, 특히 RPF사용시설이 RDF사용시설보다 높은 배출농도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발열량에 기인한 발생가스량과 밀접한 관계를 시사하며, 완전연소가 되도록 온도, 체류시간, 난류, 산소농도(T.T.T.O)가 조절되어야 하나 소형고형연료사용시설의 운전원이 전문적인 관리자가 아니기 때문에 일시에 다량투입 하는 등 불완전연소를 초래하여 일산화탄소 농도가 주기적으로 높게 배출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3. 배출원단위 특성 검토 결과, 먼지를 제외한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염화수소의 배출원단위가 국내 종규모 산정 적용 배출원단위 보다 높은 값을 보여 유지관리기준 마련에 세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주요 대기오염물질 배출 상관성특성 분석 결과, 대기오염물질 사이의 낮은 상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