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stic기 복합재료의 파괴거동에 미치는 원공크기오 판폭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단축인장시험을 행하였다. 점응력파손조건에서의 특성길이 do는 원공크기 및 판폭에 의존하며, 이를 기초로 파손강도를 예측하기 위한 수정 점응력 파손조건식을 제안하였다. 이 파손조건의 예측값은 실험값과 잘 일치하였다. 파손 강도는 원공선단의 손상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며, 이는 손상영역의 형성으로 인한 응력완화현상으로 설명되어 진다. 또한 불안정 파괴시의 최대균열길이 ac는 특성길이 do의 약 2배의 값을 나타낸다. 파괴인성에 대응하는 한계에너지해방율 Gc의 변화는 원공선단의 손상영역의 증가에 의한 응력완화가 주요한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조사후연료시험시설의 수조 내에 설치하여 수조 라이닝 및 수조수의 청정성을 상시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할 예정이며, 수행 예정인 수조수 정화작업은 다음과 같음.
- 수조 바닥에 쌓여 있는 오염물질 제거
- 수조 벽에 붙어 있는 오염물질 제거
- 수조 내의 사용후핵연료 집합체 해체 작업 중 발생하는 오염물질 즉시 제거
수조 내에 설치될 수중 진공필터 정화장비는 그림1에 나타나 있으며 필터를 사용하여 오염물질을 여과함으로서 수조수의 청정성을 유지하므로 수조 내의 방사성 오염물질들은 정화장비의 필터에 축적됨. 따라서 깊이 15 m인 수조 내에서 장비의 운전성능, 오염된 필터의 교체 및 보관성, 부품의 내방사선성 및 내수성 그리고 사용 중 유지보수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수중원격필터 인출 장치를 개발하였다. 고방사능으로 오염된 필터는 수중에서 원격조작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폐 필터는 bin에 넣어 수중에 임시 보관하며 후 연구원내의 중준위폐기물저장고에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