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테크놀로지 통합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예비 수학 교사의 학습 경험과 교수 경험이 예비교사들의 테크놀로지에 대한 인식과 학습 유형에 대한 인식(학습 경험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테크놀로지 통합 단계별로 테크놀로지 교수학적 내용 지식(TPACK)의 구성 요소들이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컴퓨터와 수학교육] 수업 수강생 중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 49명을 대상으로 테크놀로지 사용에 대한 인식과 학습 유형을 사전-사후 검사한 후 대응표본 t-검정을 하였다. 그리고 수업 종료 후 강의에 대한 평가를 자유로운 방식으로 서술하도록 한 자료와 파이널 프로젝트(테크놀로지를 활용한 교수학습자료 개발과 현장 적용 및 반성)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학 내용 선정 단계에서는 수학 내용 지식과 교수학적 지식이 주로 사용되었고, 테크놀로지 통합 단계에서는 테크놀로지 지식, 테크놀로지 내용 지식, 테크놀로지 교수학적 지식을 활용하였으며, 수업 실행 및 반성 단계에서는 테크놀로지 교수학적 내용 지식을 종합적으로 인식하였다고 볼 수 있었다. 개발된 교육과정은 교사 교육기관에서 테크놀로지를 활용하는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하는데 구체적인 방법과 단계별 TPACK의 역 할에 시사점을 제공하였다고 볼 수 있다.
        2.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교육의 의사소통학적 접근이 교사들의 수학적 신념에 대한 인식에 어떠 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의사소통학적 접근 방식을 적용한 [수학교과교재 연구 및 지도법] 수업을 교육대학원생 49명에게 적용한 후 <수학적 신념 검사지>를 통해 신념에 대한 인식 변화를 조사하고, 인터뷰 희망 교사 3명을 대상으로 신념 변화의 이유를 분석하였다. 또한 신념에 대한 인식 변화와 개발한 교육과정의 관계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업에 대한 반영적 설문(강의에서 가장 좋았던 부분과 그 이유)과 그룹 발표의 대표적인 사례를(내용 요약⋅발표 및 실제 현장 적용)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의사소통학적 접근의 교사교육과정을 통해 교사의 신념에 대한 인식은 연속적인 상호작용성, 맥락 의존성, 양방향성, 교사 역량 의존성을 포함하는 의사소통 학적 특징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되었다. 그리고 개발한 교육과정의 활동들이(의사소통학적 관 점의 학술 논문에 대한 비평적 사고, 그룹 토의와 전체 토의) 신념에 대한 인식 변화에 도움을 주 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교사의 수학적 신념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기 위해 교사교육기관에서 의사소통학적 접근 방식을 활용하는 교육과정을 실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3.
        201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가 수리 논술 문항을 개발하고 채점 기준을 설정하는 하향식 과정과 학생의 응답을 바탕으로 문항과 채점 기준을 수정하는 상향식 과정이 통합된 교사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교사들의 평가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 특징을 보이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서울소재 K대학교 교육대학원 수학교육과에 개설된 [수학교과논리 및 논술] 강의를 수강하는 교육대학원생 52명을 대상으로 <평가에 대한 인식 검사>와 파이널 프로젝트(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수리논술 문항 개발과 채점 기준표 수정을 한 학기동안 그룹 별로 실시하는 프로젝트)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개발된 교사교육과정을 경험한 교사들의 평가 목적, 방법, 효과성에 대한 인식 변화는 과정 중심 평가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문항 개발과 채점 기준 설정을 위한 상향식·하향식 평가교육과정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교사 교육을 통해 과정 중심 평가 역량 함양의 가능성과 필요성을 제시함으로서 교사들이 향후 현장에서 과정 중심 평가를 시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