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ater quality of lake and to provide data for management practices of water quality measurement network in Chungcheongnam-do. 100 Samples of lakes was collected and analyzed. Variation degree of water contamination and changing trend of lake water for the samples were considered focussed on COD.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As a analytical results to water contamination, COD concentration for 28 lakes in 8 cities exceeded 8.0㎎/L so that it was evaluated these water can't help using farming water.
2. All lakes in Gongju and Cheonyang region was suitable for agricultural water as 3th class of water quality standard, 9 out of 12 lakes in Taean was short of the quality of agricultural water standard, and 3 lakes in Dangjin was serious contaminated under the regular grades.
3. There was no lake water fitted to 1 grade class of environmental standard of lake water quality in korea, only one lake suitable to 2 class, 48% for 3 class, 21% for 4 class, 16% for 5 class and 12% under the grade. So it was become that water quality of most lakes in Chungcheongnam-do was contaminated.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봄철 가뭄에 대한 발생 원인과 예측 가능성을 진단하기 위하여 전 지구적 대기순환 패턴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지연 및 원격상관 패턴에 의한 한반도 가뭄의 시공간적 변화특성을 분석하였다. GPCP(Global Precipitation Climatology Project) 월별강우와 북반구 대표 대기순환 패턴인 WP (Western Pacific) Teleconnection과의 상관분석 결과, 중국 난징과 상하이를 포함한 양쯔강 유역에서부터 한국의 남해안 일대 그리고 일본 후쿠오카와 히로시마 등에 걸쳐 강한 양의 상관성을 보였으며, 대만부터 필리핀해를 걸쳐 뚜렷한 음의 상관을 보였다. 한반도 5대강 유역의 109개 중권역에 대한 SPI(3) 가뭄지수를 적용한 결과, 낙동강 일부 지역을 제외한 한반도 전역에서 봄철 가뭄이 심화되었으며, 봄철 SPI(3)지수와 WP패턴과는 강한 양의 상관이 나타났다. 특히 남해안과 서해안 일부 지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지연상관에 대한 분석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의 가뭄특성을 진단하고 가뭄예측기법의 개발을 통해서 봄철 가뭄의 현실적인 적응전략 구축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