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비붐 세대(babyboom generation)가 고령사회(aging society)로의 가속화 현상은 노인돌봄서비스를 사회문제로 부각시켰고, 2008년 7월부터 장기요양보험제도가 시행되었다(김정숙 외, 2014). 그러나 복지시장화를 통해 민간영리조직이 장기요양서비스 시장에 진출하 게 되면서(서대석·장영은, 2011; 박광덕, 2014), 장기요양시설 서 비스 이용자들을 고객으로 여기고 욕구를 중요시 하는 고객지향성 의 개념이 새롭게 대두되었다(Shera & Page, 1995; Disney, 1999; Selber & Streeter, 2000; 최재성, 1999). 또한 사회복지마 케팅요인과 인권의식은 미래의 4차 산업혁명의 방향으로서의 중요 한 프레임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장기요양 공급자의 고객지향성에 윤리적 리더 십과 전문성인식의 인과관계를 밝히고, 인권의식의 매개요인과 사 회복지마케팅의 조절요인을 파악하여 4차 산업혁명에 맞추어 장기 요양기관의 효율적인 경영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우리나라의 급격한 고령화 현상, 핵가족화, 가족관계, 부양의식의 변화 등으로 독거노인의 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지역사회 내 사회적지지가 많지 않은 세태 속에서 독거노인은 고독과 우울감이 증가하며 이러한 현상은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가 떨어지고 열악한 사회 환경에 처해질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은 문제는 고령화 사회로 가고 있는 우리나라 사회현상의 중요한 사회문제로 부각되 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독거노인의 고독감 및 우울감이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연구를 하였다. 이를 위해 독거노인의 사회적지지의 매개 효 과를 중심으로 한 관련성을 파악하여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정책적, 이론적인 방안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