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1.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roundabouts are generally influenced by location as well as traffic volum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urban and rural roundabout accident models and to discuss safety improvement guidelines based on the model. METHODS : To analyze accidents, count data models are utilized in this study. This study used accident data from 2010 to 2013 for 56 roundabouts collected from the Traffic Accident Analysis System (TASS) of Road Traffic Authority. Poisson an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s were developed for this study using NLOGIT 4.0. RESULTS :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ypotheses that there are distributional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accidents and injuries/fatalities among rural and urban roundabouts were accepted. Second, Poisson an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accident models, which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were developed. Seven independent variables, whic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ere adopted. Third, the common variable of models was evaluated to be traffic volume. CONCLUSIONS : This study developed two negative binomial roundabout accident models and suggested some accident reduction strategies. The results are expected to give some implications to the safety improvement of roundabout.
        4,000원
        2.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회전교차로는 지체감소, 안전성 증진, 도시미관 개선 등 많은 장점을 가진 교차로로 국외뿐 아니라, 국 내에서도 최근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2000년 초반 회전교차로 도입 검토를 시작으로 2004년 회전교차로 잠정지의 발간 및 2010 년 회전교차로 설계지침 발간을 통해 도입의 기틀을 마련하였으며, 2011년 정부의 적극적인 도입 장려를 통해 활발하게 설치되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국내 회전교차로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이며, 도 입 효과 분석 및 시뮬레이션 분석에 국한되어 있었던 연구 분야도 실제 운영 중인 회전교차로의 자료를 통한 사고모형 개발 및 용량 모형 개발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국내 회전교차로에 대한 연구는 연구 기간 및 장소의 한계, 급진적인 도입으로 인한 운전자의 혼란 등으로 연구의 결과가 상이한 경우가 존재한다. 또한 최근 국내에서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1960년 초반 회전교차로를 도입을 시작한 유럽이나 미국 등에 비해 누적된 연구가 부족한 것도 현실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발표된 회전교차로의 연구 성과를 비교 및 정리하고, 향후 연구 분야 및 과제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또한 이 연구는 회전교차로 연구를 활성화하고 연구 결과를 고찰하는데 도움 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3.
        2015.03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회전교차로의 운영 효율성과 안전성과 같은 장점은 국․내외 많은 연구에서 논의되고 있다. 이런 회전교차 로의 장점 중 높은 운영 효율은 신호 대기로 인한 불필요한 제어지체를 최소화시키기 때문에 발생한다. 하지 만 일정 교통량 이상의 경우에는 교차로 내 잠긴 현상 등으로 인해 지체가 발생하여 오히려 운영 효율이 낮 아진다. 이런 이유로 회전교차로는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활발한 도입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회전교차로 전환의 국내 기준은 회전교차로 설계지침(국토해양부, 2010)에 나타나 있다. 회전교차로 설 계지침에서는 회전교차로 전환 기준을 일교통량 1차로형 12,000대/일 이하, 2차로형 20,000대/일 이하, 첨두시 진입로의 차로당 교통량 125~450대/시, 좌회전 비율 30% 미만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처럼 설계 지침 상의 교통량 기준은 기초적인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매우 보우적인 기준을 적용시키고 있다. 회전교차로에서 많은 교통량을 처리할 수 있는 대표적인 방안은 신호 동시 운영 회전교차로의 도입이 다. 하지만 신호 운영 회전교차로는 신호교차로와 마찬가지로 불필요한 제어지체를 발생시킨다. 이소영 등(2012)은 이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회전교차로에 램프 미터링 시스템 도입을 제안하였으 나, 이는 많은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판단되어 다른 운영 형태와의 효율성 비교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신호교차로와 회전교차로를 교대로 운영하는 교차로를 제안하고 운영 효율성을 분 석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은 회전교차로에 첨두시 신호 운영 방안을 제안하고, 지체 분석을 통해 이런 교차로의 운영 효율 측면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하여 회전교차로의 특성 및 제약 조건 등을 살펴보고, 국내외 연구를 고찰한다. 둘째, 국내 교통 운영 자료를 통해 회전교차로의 운영 특성을 분석한다.. 셋째, 설계 기준 및 교통량 자료를 토대로 신호 운영 시나리오를 구축하고, aaSIDRA를 통해 시나리오별 지체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한다. 분석을 위한 시나리오는 표 1과 같다. 총 540개의 시나리오를 분석하였으며, 회전교차로 6 유형, 진입 교통량을 100대부터 1,500대까지 100대 간격, 6가지 회전 비율을 토대로 하였다.
        4.
        2015.03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도로교통공단의 교통사고분석시스템의 자료에 의하면, 2014년 교통사고 사망자는 4762명으로 2013년 5092명에서 크게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1978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자동차 등록 대수 2천만 시대에 유의미한 성과라고 판단된다. 그러나 우리나라 교통안전 수준은 OECD 최하위 수준으 로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2012년 기준 자동차 1만대당 사망자 수는 2.4명으로 OECD 평균 1.1명(영국 0.5명, 미국 1.3명, 일본 0.7명, 독일 0.7명)의 2배가 넘는 수준이다. 사망사고는 총돌 속도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012년 발생한 교통사고를 살펴보면, 사고 직전의 속도가 높을 수록치사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제한속도 초과 사망자 수 1,137 명으로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 수(5,392명)의 21.1%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며, 도로의 제한속도를 초과 한 경우 일반 사고에 비해 높은 치사율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사고 심각도와 속도와의 관계를 분석한 국내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의 목적은 합리적인 모형의 정립을 통해 속도와 교통사고 심각도와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또한 도로의 설계 속도를 기준으로 그룹을 분류하여 도로의 설계 속도별로 속도 위반 정도가 사망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나아가 사고 심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수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분석 모형은 random parameter ordered logit model을 활용하였으며, 분 석에 활용한 자료는 2012년 특별․광역시의 사고 자료 중 단일로에서 발생한 사고 중 속도가 확인 가능한 자료 26,582건이다. 연구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하여 관련 연구 및 분석방법론을 검토한다. 둘째, 설 계 속도에 따라 60km 이하, 60~90km, 100km 이상의 세 그룹을 분류하고, 그룹별 사고 심각도를 분석 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한다. 연구의 결과, 도로의 설계 속도가 높을수록 제한 속도 위반이 사고 심각도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분석되었으며, 2당의 과속 여부보다는 1당의 과속여부가 사고 심각도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 되었다.
        5.
        2014.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는 2000년 초반‘회전교차로’라는 용어가 도입되었으며, 최근까지 회전교차로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회전교차로는 용량증대, 유동성확보, 안전성 증진, 지체감소 및 환경적 측면에서 장점을 보이고 있다. 그 외에도 심미성 및 도시설계 요소 확보 측면에서 많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용량제 한 및 신호연동화인 경우 도입의 어려운 점 등에서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국내에서는 많은 연구가 회 전교차로의 도입에 따른 운영효율 확보에 초점을 두고 진행되어 왔다. 회전교차로는 좌회전 교통량이 적고 우회전교통량이 많은 교차로, 4지 이상의 교차로, 지방지역 교차 로에서 직진이나 우회전이 포함된 교통사고가 많은 교차로, 시 외곽 간선도로로서 우회전 교통량이 많고 속도가 높은 교차로 등 다양한 지점에 설치가 가능하다. 이에 2009년 우리나라에서도 저탄소녹색성장에 따른 교통선진화 방안의 일환으로 회전교차로의 도입을 적극 검토하고 있으며, 이미 도입된 회전교차로의 사례(16개 1차 조사 지점)를 통해 그 효과를 입증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회전교차로는 점진적 발전을 이루어 온 국외와 달리 급진적 도입을 시도하여, 회전교차로 의 설치 초창기의 연구에서는 국외의 회전교차로와 수락간격 및 용량 등 운영 행태 측면에서 상이한 특성 을 나타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회전교차로의 운영 특성이 국내에서는 수행되지 않았던 방식이기 때 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회전교차로의 도입 및 정부의 활성화 정책 발표 5년 후 현재 의 운영행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런 실제운영 자료를 바탕으로 한 합리적인 운영 행태 분석은 회전교차로의 도입 지점 선정 및 활성화 방안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6.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e purposes are to analyze the pedestrian accident severity and to develop the accident models by arterial road function. METHODS: To analyze the accident, count data and ordered logit models are utilized in this study. In pursuing the above, this study uses pedestrian accident data from 2007 to 2011 in Cheongju. RESULTS :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aytime, Tue.Wed.Thu., over-speeding, male pedestrian over 65 old are select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to increase pedestrian accident severity. Second, as the accident models of main and minor arterial roads, the negative binomial models are developed, which are analyz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such the main variables related to pedestrian accidents as traffic and pedestrian volume, road width, number of exit/entry are adopted in the models. Finally, Such the policy guidelines as the installation of pedestrian fence, speed hump and crosswalks with pedestrian refuge area, designated pedestrian zone, and others are suggested for accident reduction. CONCLUSIONS: This study analyzed the pedestrian accident severity, and developed the negative binomial accident models. The results of this study expected to give some implications to the pedestrian safety improvement in Cheongju.
        4,000원
        8.
        2013.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도시 경쟁력 제고를 위한 도시간 통합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청주시와 청원군도 2012년 6월 실시한 청원군 주민투표를 통해 통합을 결정했다. 청주시의 도시통합은 지방행정체계 개편의 효과로 10년간 약 735여억원의 순편익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장덕희 등, 2012). 하지만 도시 통합에 있어 상대적으로 인구 수가 적거나 경제력이 약한 도시는 여러 가지 불이익을 감수해야 하는 것도 사실이다. 이런 불이익을 최소화하기 위해 통합추진위원회를 결정하고 상생을 위한 여러가지 합의사항을 도출한다. 이런 취지로 청주·청원 통합 합의사항에 청원군 지역에 버스 터미널을 신설하는 방안이 포함되었다. 버스 터미널은 관공서와 함께 인구유입과 도시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이런 버스 터미널의 위치에 따라 도시내 교통흐름과 도시개발의 방향이 결정된다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그리고 청주시는 기존 터미널을 이전 하는 방법이 아닌 신규 터미널을 신설하는 방향으로 계획을 진행하였기 때문에 효율적인 위치에 터미널을 신설하지 않는다면 이용객이 없을 수도 있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계층분석방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 AHP)을 통해 청주·청원 통합시를 대상으로 통합시의 버스 터미널 신설을 합리적으로 결정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청주·청원 통합시의 터미널 신설의 입지선정에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인자를 계층분석방법을 통해 도출하여 결과를 제시한다. 분석을 위한 설문은 관련 전문가(충북발전 연구원, 충북대학교, 청주시청, 충북도청)를 통해 작성되었으며, AHP 쌍대비교방법을 사용하였다. 요인은 크게 이용객 측면, 운영자 측면 및 지역 측면에서 도출하였다.
        9.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is study deals with the effects on the installation of RLC(Red Light Camera). The objective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accident reduction after the installation of RLC. METHODS : In pursuing the above, the study uses the 703 accident data occurred at the 64 intersections which RLC are installed or not installed. RESULTS :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oisson RLC accident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is analyz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using the above developed model, 33 intersections among 40 intersections are predicted to have the decreasing effects of accidents after the installation of RLC. Finally, the reduction effects are analyzed to be affected by ADT and the number of left-turn lane. CONCLUSIONS : This study is expect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RLC and to help in decision-making of RLC installation.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