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기후변화 대응종으로 활용이 기대되는 우리나라 대표 난대 수종인 붉가시나무(Quercus acuta Thunb.)의 용기묘 생산을 위한 적정 피음율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실험에는 임업 시설 양묘용 플라스틱 용기 3종(KCNR-SI 810, KK-SI 500, KK-SI 320)을 사용하였으며, 피음 수준 은 전광(0%)과 전광의 35%, 55%, 75%로 나누어 처리하였다. 실험 결과 광합성 반응에선 용기묘 KCNR-SI 810 및 KK-SI 320 무피음 처리구(전광)에서 가장 높은 순광합성속도(A)를 보였다. 근경 생장량은 용기묘 KCNR-SI 810 전광 조건에서 3.80±0.73㎜로 가장 높았으며, 건중량 또한 용기묘 KCNR-SI 810를 제외한 KK-SI 500 및 KK-SI 320에서 피음 처리보다 전광 조건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T/R 율은 용기묘 KK-SI 500 75% 피음 처리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나 KCNR-SI 810에서만 전광 조건에서 T/R 율이 피음 처리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뿌리의 평균 직경 은 0.36∼0.41㎜ 범위를 보였으며, 용기묘 KCNR-SI 810 전광 조건에서 0.43±0.05㎜로 가장 높 았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붉가시나무의 생장량은 일부 간장을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피음 처리보다 전광 조건에서 더 높았으며, 광합성 반응 또한 전광 조건에서 비교적 양호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붉가시나무 용기묘의 적정 생산 조건은 KCNR-SI 810 용기묘에서 전광 처리가 가장 적합 할 것으로 판단된다.
        4.
        202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후박나무 용기묘를 대상으로 전광, 35%, 55%, 75% 차광수준에 따른 생장 특성 및 생리적 반응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후박나무 묘목은 차광 시 상대적으로 지상부의 생장특성을 보여주는 지표들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전광에서는 뿌리와 관련된 지표인 뿌리건중비, 뿌리생장에 서 유의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전광에서의 낮은 광보상점과 높은 순양자수율은 이미 후박나무가 내음성을 가지고 있고, 광이 부족한 환경에 노출된 차광처리구들에서 암호흡량의 감소, PIABS 및 SFIABS의 증가로 광합성 기구의 활력을 효율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전광은 지상부 비율의 증가, 낮은 T/R율과 가장 높은 순광합성속도를 보여 광합성으로 합성되는 탄수화물이 지상부 뿐만 아니라 지하부의 생장 역시 증가시킨 것을 알 수 있는 결과였다. 따라서 후박나무 용기묘는 전광조건에서 생장 및 생리적 특성이 가장 양호한 경향을 보였다.
        4,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