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4.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hile Ardisia crenata Sims. recently has been used increasingly as an ornamental plant, It is endangered in natural forest. The optimum treatments of the various concentrations priming agents to improve seed viability and germination of A. crenata (ornamental plant) were also estimated. Germinability was significantly when the seeds of A. crenata was soaked in PEG solution at 15oC for 4 days, the optimum treatment for improving germination of A. crenata was observed when the tested seeds was soaked in −0.5 MPa of PEG solution in 92%. Overall results would be useful means for propagation and production of A. crenata.
        4,000원
        2.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차광처리에 의한 광환경 변화가 섬시호의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차광막을 이용하여 무차광처리구(0%), 50%, 70% 및 90% 차광처리구를 설치하고 광합성 관련 인자, 수분이용효율, 엽육세포내 CO2 농도, 엽록소 형광반응 등을 조사하였다. 차광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낮은 광도에서 광합성을 수행하기 위해 암호흡의 저하로 인한 광보상점이 감소가 나타났으며, 광합성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순양자 수율과 엽록소 함량의 증가가 나타났다. 무차광처리구에서는 강한 광에 의한 수분손실을 막기 위해 기공전도도와 기공증산속도가 감소되었고, 엽육내의 CO2를 효율적으로 광합성에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대 광합성속도가 감소하는 광저해현상이 나타났으며, 여기 에너지의 전자전달이 원활하지 못하여 광으로 인한 피해가 예상된다. 90% 차광처리구 역시 점진적으로 광합성속도가 감소하여 7월에 가장 낮은 최대광합성속도를 보였는데, 이는 광선요구도보다 매우 적은 광 환경에서 계속 생장함으로서 광합성 능력이 저하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50% 차광처리구의 경우 광합성에 효율적인 광환경이 제공되어 기공전도도와 기공증산속도가 증가하였고, 광화학반응 효율이 증가하는 등 광합성 활성이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어 생육에 보다 유리한 광 조건임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3.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the vascular plants on Mt. Seokbyeongsan (1,055 m) and provide a basis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plant resources. The vascular plants were surveyed from March to October 2015. The flora on Mt. Seokbyeongsan was classified as follows: 102 families, 295 genera, 454 species, 4 subspecies, 51 varieties, 7 forms, and a total of 516 taxa. Endemic plants included 17 families, 24 genera, 25 species, 1 variety, and a total of 26 taxa. The Korea Forest Service assignment of rare plants, including 21 families, 33 genera, 33 species, 3 varieties, and a total of 36 taxa, was investigated. Moreover,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ssignment of rare plants, including 13 families, 17 genera, 17 species, 1 variety, and a total of 18 taxa, was investigated. Floristic special plants in the surveyed area were divided into five classes (Classes Ⅰ–Ⅴ): 42 taxa of Class Ⅰ, 26 taxa of Class Ⅱ, 35 taxa of Class Ⅲ, 20 taxa of Class Ⅳ, and 9 taxa of Class Ⅴ for a total of 132 taxa. Naturalized plants were 18 taxa, and plants threatened by climate change were 48 tax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