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BHP는 대표적인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간 손상 모델이며, 본 연구자는 랫드에 기능성이 강화된 기능성 들깻잎 추출물(P. frutescens leaf extract, PLE)을 250, 500 또는 1000 mg/kg body weight (b.w.)으로 6일간 경구 투여하고 t-BHP의 복강 주사로 간 손상을 일으킨 후 기능성 들깻잎 추출물이 간에서 산화스트레스를 얼마나 억제하여 주는지를 혈액의 간 손상 지표인 lactate dehydrogenase (LDH),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그리고 alanine aminotransferase (ALT)를 측정하였으며, 간 조직에서 항산화 바이오 마커인 reduced glutathione (GSH), 지질과산화물의 척도인 malondialdehyde (MDA)를 통해서 측정하였다.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간 손상시 GSH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정상 대조군(146.0 ± 5.4 mM GSH/g protein)에 비해 t-BHP로 산화스트레스를 유발한 그룹에서 128.6 ± 6.8 mM GSH/g protein로 감소하였다. 반면 기능성 들깻잎 추출물을 250, 500 그리고 1000 mg/kg b.w. 을 투여한 그룹에서는 129.3 ± 2.6 mM GSH/g protein, 151.9 ± 6.8 mM GSH/ g protein, 171.9 ± 5.2 mM GSH/g protein로 농도 의존적으 로 GSH 함량이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내며, 500 mg/kg b.w. 투여군부터 정상 대조군의 GSH 함량과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또한, 간 조직에서 산화스트레스에 의하여 발생된 지질 과산화물을 측정하였을 때 t-BHP에 의하여 산화스트레스만 유발한 그룹은 834.0 ± 154.7 μM/g protein 로 정상 대 조군의 385.6 ± 39.7 μM/g protein 보다 2.17배 높은 MDA 를 생성한 것으로 지질과산화가 많이 일어난 것을 확인하였으나, 기능성 들깻잎 추출물을 투여한 그룹의 MDA의 생성량은 669.2 ± 145.0, 595.1 ± 142.6, 415.9 ± 133.8 μM/g protein 로 농도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랫드의 간 조직에서, 독성을 유발하는 t-BHP를 복강 투여 후 기능성 들깻잎 추출물을 경구 투여하였을 때 지질과산화의 지표인 MDA의 감소와 항산화의 지표인 GSH 함량이 증 가하였다. 조직병리학적 확인을 위하여 간 조직을 H&E 염색 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을 때, t-BHP만 처리한 음성 대조군의 경우 간 세포의 괴사와 조직의 변형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기능성 들깻잎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경우 모두 정상 상태의 조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하였을 때, t-BHP가 간에서 산화스 트레스를 유발하여 간 손상을 야기시키고, 간 조직의 인지질 막 손상을 줄 수 있으며, 기능성 들깻잎 추출물은 간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4,000원
        2.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ur objective in this study is to assess the safety of docosahexaenoic acid (DHA) fortified milk of dairy cows fed feeds containing protected fish oil treated with formaldehyde by analyzing formaldehyde concentration in commercial milk and DHA fortified milk of dairy cows fed formaldehyde treated feed. There are 3 milk samples in this study: Commercial milk (CM), DHA fortified milk for Kid (DHA-K) and DHA fortified milk for Baby (DHA-B). We confirm the fresh quality of these three samples by physicochemical tests. In fat content result, three group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p < 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but fat content of group DHA-K is about half the level of the other two groups. Protein content of group DHA-K is 1% higher than other two group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DHA content of DHA fortified milk, DHA content of DHA-B is two-fold higher than DHA-K. Similar pattern was seen in the intake based on age. According to HPLC analysis result of formaldehyde concentration in milk, commercial milk and DHA fortified milk are between 0.013 ppm and 0.057 ppm which is formaldehyde standard level in fresh milk settled in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Three groups have no significantly differences at the p < 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For this reason, it can be concluded that there is no transition of formaldehyde from dairy cows fed formaldehyde treated feeds to its produced milk. Safety about formaldehyde of DHA fortified milk of dairy cows fed formaldehyde treated feeds is considered similar to commercial milk.
        4,000원
        3.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lantago asiatica L. (PA), which is widely distributed in Korea, Japan and China, has traditionally been used as a popular folk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liver diseases. A variety of activities of PA was reported, that is hepatoprotective, anti-inflammatory, anti-glycation and anti-oxidant effect. Ferric nitrilotriacetate (Fe-NTA) is a potent nephrotoxic agent and has been reported to induce renal proximal tubular necrosis. In the present study, pretreatment with PA extract (PAE) in Wistar rat followed by Fe-NTA i.p. treatment (13.5 mg Fe/kg body weight) was performed to detect the renal protective effect of PAE. Only Fe-NTA treated group showed increases in the level of serum blood urea nitrogen (BUN) and serum creatinine (Cr), and renal tissue malondialdehyde (MDA), product of lipid peroxidation. Moreover, the level of biomarkers indicate the antioxidants status, reduced glutathione (GSH), glutathione-S-transferase (GST) and glutathione reductase (GR) were decreased. However, PAE pre-treated group showed decreases in the levels of serum BUN, serum Cr and renal tissue MDA in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and increases in the level of GSH, GST and GR. These resul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5) to the other groups. Our data suggest that PAE may be used as an chemopreventive material against Fe-NTA-mediated renal oxidative stress.
        4,000원
        4.
        2014.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구광역시 섬유폐기물 발생량은 19톤/일로 나타났으며, 이들 섬유폐기물중 약 15.3톤/일이 대구소재 대구염색산업단지내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염색산업단지내에 입주 섬유/염색산업 관련 기업의 수는 128개이며, 이들 업체에서 염색 및 재직 과정에서 발생하는 파지 및 섬유조각, 염색불량으로 인한 섬유 폐기물의 발생량은 15.3톤/일의 섬유폐기물이 발생되고 있으며 이중 폐원단이 전체 섬유폐기물량의 20~30% (3.0~4.5톤/일) 를 차지하고 있다. 이렇게 발생되고 있는 섬유 폐기물의 90%이상이 수거, 파쇄 공정을 거쳐 성서폐기물 소각장으로 반입하여 소각처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제한적으로 응용되어 왔던 폐원단을 새롭고 효율적인 코팅기술로 가공함으로써 폐원단의 적용범위를 확대시키는 것이다. 폐원단의 대부분은 염색가공 공정중에 발생을 하며, 이렇게 발생된 폐원단은 탈색 후 재염색하여 제품으로 재이용하게 된다. 이렇게 재이용되는 원단의 대부분은 인열강도가 현저히 낮아져 정상적인 제품으로 사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연구에서는 폴리에스터 원단 두께별 염색가공공정 중 각공정별 원단의 인열강도 변화와 기능성 가공 코팅을 통해 재상품화 가능성 여부를 검토하였다. 현재 발생되어지는 폐섬유의 적용분야로는 생활용 섬유제품, 산업용 섬유제품, 의류용 섬유제품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되어지며 이는 산업단지 내외부를 연계하는 자원순환 리사이클링 네트워크를 통하여 폐자원의 고부가가치화를 통한 순환사회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