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남자 골볼 경기의 공격 변인 분석을 통해 승패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규명하고 경기력 향상을 위한 객관적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9 제12회 전국시각장애인 골볼선수권대회의 남자 골볼 경기 예선부터 결승까지 13개의 경기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경기분석을 실시하였다. 추출된 자료는 SPSS 23.0 버전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Mann-Whitney U 검정을 실시하였다(p<.05).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경기의 투구 시 득점 10.76%, 아웃 10.00%, 페널티 3.21%, 블록 76.03%를 보였다. 포지션별 투구는 LeftㆍRight player에서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공격기술은 Rotation_Bounce(74.67%), 투구방향은 Short 방향(36.60%)에서 비율이 높았다. 승리 팀과 패배 팀 간의 차이 분석 결과 득점 수, Rotation_Bounce, Short 방향, 몸통부위의 수비 비율이 승리 팀에서 크게 나타났으며(p<.05), 승리팀의 투구 및 득점 시 볼 시간이 짧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남자 골볼 경기력 향상을 위한 전략 및 코칭 계획 시 사이드 플레이 전술 개발과 Rotation_Bounce 기술의 향상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2.
        2019.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중학교 남자 투창 선수들의 기록수준별 창던지기 동작에 대한 운동학적 분석을 통하여 기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47회 전국 소년체육대회에 참여한 중학교 남자 선수들이 수행한 창던지기 종목을 2대의 비디오카메라로 촬영 후 결선에 진출한 선수 8명과 결선에 진출하기 못한 선수 8명에 대하여 3차원 동작 분석을 실시 하였다. 기록 수준에 따른 운동학적 변인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SPSS 20을 이용하여 독립 t 검증을 실시하였다(p<.05). 그 결과 결선진출 집단이 결선미진출 집단에 비해 투사속도, 스트라이드 길이, 릴리즈 시 무릎각도에서 크게 나타났고, 공격각과 창의 자세각에서는 작게 나타났다(p<.05). 창의 공격각도, 릴리즈 시 창그립과 파울라인 거리, 무게중심의 수직속도 변화에서 변동계수가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요약하면 중학교 남자 선수들의 기록 향상을 위해서는 동작의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마지막 스트라이드 길이를 길게 하고 지지발 착지 시 무릎각을 최대로 신전시키면서 창의 자세각을 낮추어야 한다.
        3.
        2018.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일반 대학생의 12주간 배드민턴 하이클리어 기술지도 후와 엘리트 선수간의 운동학 적 요인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일반 대학생(5명), 엘리트 선수(5명)를 대상으로 포 핸드 하이클리어 동작에 대한 영상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변인들의 통계적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반 대학생의 사전・사후변인에 대해 대응 표본 T-검증, 일반 대학생의 지도 후와 엘리트 선수들의 변인에 대해 독립 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p<.05).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도 후 일반 대학생은 백스윙에서 임팩트 시 어깨를 신전시키며 큰 스윙을 하여 시간적인 여유가 생겼으며, 지도 후 손목 각속도가 가장 크게 증가하여 부분적으로 엘리트 선수처럼 근접한 변화를 가져왔다. 하지만 엘리트 선수와 비교분석 결과 상체 회전을 이용하지 못하고 손목의 스냅 보다 어깨와 팔꿈치의 힘으로 하이클리어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나 하이클리어 지도 방법 시 상체를 충분히 회전하여 준비동작 수행과 엘리트 선수처럼 어깨, 팔꿈치, 손목의 협응 동작을 위한 집중적 지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