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상황에서 소비자 구매의도를 촉진하는데 보다 효과적인 메시지 구성을 파악함으로써 관련 분야에 이 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희소성과 메시지 프레이밍이 제품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과거 온라인 쇼핑에서 불만족 경험 유무에 따른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실험물을 제작하고 부산지 역 20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험물은 2(희소성 메시지 유/무)×2(프레이밍 메시지 긍정/부정) 단순 요인설계 실험방식을 사용하였고, 분석기법으로는 ANOVA가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희소성 메시지가 제품태도와 구 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정경험의 조절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메시지 프레이밍이 제품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정경험의 조절효과 또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에서는 연구결과에 따른 시사점과 한계점을 논의하고 향후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2.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공익연계광고 유형이 광고태도와 광고내용에 대한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공익 수혜자와의 심리적 거리와 소비자 자기감시성향의 조절역할을 검증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공익연계 광고유형은 제품관련 광고와 사회적 중 요성을 보여주는 2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고, 심리적 거리는 가까운 것과 먼 것으로 분류하여 총 4가지 유형의 공익연계 광고 실험물이 제작되었다. 나아가 응답자의 자기감시성향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분류하여 조절변인으로 사용하였 다. 가설검증결과, 공익연계 광고유형은 광고태도와 수용의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심리적 거리 는 광고태도와 수용의도에 모두 유의한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감시는 수용의도에는 유의한 조절역할을 하 고 있으나 광고태도에는 유의한 조절효과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따라 본 연구의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