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2.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many MEMS manipulator or mechanisms have been developed for application in nanotechnology and optical sensors. In this paper, the method that is measurement and analysis of the motion-ability is introduced for 1 degree of freedom MEMS Manipulator. To do this, the MEMS manipulator is fabricated on the SOI wafer. It is comprised of a parallel bi-lever flexure mechanism and a bent-beam thermal actuator. The flexure mechanism is comprised of an actuator input stage, four lever arms, ten circular flexure hinges, and an output stage. Each flexure hinge provides a point of compliance and acts similar to a rotational joint with an attached rotational spring. These components are significantly stiffer than the flexure hinges, so that they act as rigid bodies in the plane of motion. The static and dynamic parameters of fabricated manipulator are measured and analysis by 3D optical profiling system. It contains a CCD camera, a field-of-view (FOV) lens, a filter assembly, and an illumination source. Light from the illuminator travels through the system and is reflected down to the objective by a beamsplitter. Once the light reaches the objective, another beamsplitter separates the light into two beams. One beam, the reference beam, reflects form a super smooth reference mirror in the objective, while the other reflects form the surface of the sample and back to the objective. With this system, we can measure and analyze the resolution, accuracy, precision, stability and responsibility of MEMS manipulator and it is very useful for fabrication or application of improved manipulator without surface damage.
        4,000원
        3.
        2012.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해양 어류는 고급 단백질원으로 인류의 식량 공급원으로서 중요성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관련 선진국에서는 해양 어류의 양식 생산성 향상을 위한 육종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개발된 육종 품종(수정란 또는 종묘)을 이용한 상품어 생산은 자국뿐 만 아니라 수출을 통하여 사육환경이 다른 외국에서도 이루어지고 있다(Dunham, 2003). 이 연구는 육종 품종의 국가간 이동·사육에 따른 자손 생산 능력을 검증하기 위한 일환으로 일본에서 도입한 참돔 품종의 자연교배에 의한 수정란 생산량과 부화율을 조사하였다. 일본 참돔 품종(JPN 계통)은 수입한 양식산을 사용하였으며,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서 자연산 종묘를 채집하여 선발한 품종(KORDI 계통, Noh et al., 2003)을 대조구로 두었다. 해상가두리에 사육 중인 두 친어 품종을 민간 종묘생산장으로 옮겨 각각 별도의 수조(각 15톤 용량)에 수용하면서 두 계절(pre-spawning season, spawning season)에 걸쳐 자연교배에 의한 수정란 생산을 시도하였다. 수정란 생산을 위해 pre-spawning season에는 약 2개월간 가온을 실시하여 생식소 발달 및 자연교배를 유도하였으며, spawning season에는 자연 해수 수온이 14.0℃에 다다른 시점에 육상 수조로 옮겨 자연교배를 유도하였다. 수정란 생산량은 자연교배 기간 중 매일 자정 전후에 수거장치에 수집된 수정란 중 사란을 제외한 양을 매일 기록하였으며, 부화율은 7~10일 간격으로 수집된 수정란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JPN 계통과 KORDI 계통의 수정란 생산 기간은 pre-spawning season에 각각 24일과 31일, spawning season에 각각 51일과 54일이었다. 일간 수정란 생산량은 JPN 계통이 두 계절에서 각각 1,762.5 mL와 1,733.3 mL이었으며, KORDI 계통은 각각 2,725.8 mL와 2,509.3 mL이었다. 암컷 단위체중 당 일간 수정란 생산량은 JPN 계통이 두 계절에 모두 0.9 mL/day, KORDI 계통이 각각 1.7 mL/day와 1.2 mL/day이었다. 생산된 수정란의 부화율은 JPN 계통이 두 계절에서 각각 85.1%와 91.3% 그리고 KORDI 계통이 88.9%와 91.3%로서, 동일 계절에서 두 계통간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연중 수온이 우리나라보다 높은 일본에서 도입한 참돔 계통의 수정란 생산력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향후 국가간 품종의 이식 또는 도입 시 자손 생산능력에 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