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1.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프로젝트는 노트북의 표준화 되어있지 않은 Port 및 하드웨어 배치 의 최적화를 통해 사용자 편의성에 중점을 두고 모델로 정립하기 위한 것 이다. 현재 출시되어 있는 노트북들은 Port 및 하드웨어 배치는 표준화 되어있지 않은 실정 이며, 사용자 행동범위에 어긋나는 위치, 항상 좌우 대칭으로만 배치되어 있는 한정된 배열방식, 사용빈도수를 무시한 비효율적인 배치와 개수로 인해 노트북 사용에 대한 불편함을 느끼는 유저 들이 많다. 이에 저희 팀 은 설문조사로 먼저 사용자들의 각 port 및 하드웨어 사용빈도수 및 적정 개수 , 위치 를 파악하여 데이터를 도출하였고 이 데이터를 추출해 인간공학,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 생산물류 관리 기법을 통해 노트북 의 최적화를 위한 방법을 설계 ,이를 적용해서 가장 나은 설계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결과물에 대해 검토하고 최적화된 모델의 검증을 위해 비교 설문 조사를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검증으로 통계적 분석방법을 적용해본 결과 기존 노트북의 불편함을 상당부분을 개선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5,500원
        3.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combination ratio of oyster mushroom cultivation supplements have used poplar sawdust(PS) 50% : beet pulp(BP) 30% : cotton seed(CS) 20%. we substituted cotton seed and beet pulp for dry wastes(DW) 10, 20. 30% respectively. In case of mixing DW 10% except from CS, mycelial growth was inhibited a little, but mycelial density was accelerated a little. The more DW contents increase, the more mycelial growth was inhibited, but mycelial growth was accelerated a little, respectively. In case of mixing DW except from CS, mycelial growth was inhibited a little bit. In case of mixing DW except from CS and BP, mycelial growth was inhibited remarkably. CHUNCHU variety developed resistance to DW than SUHAN variety.
        4.
        200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94종 식물자원을 대상으로 혈압상승을 주도하는 효소인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의 저해활성을 검색하였다. 그 결과 추출물의 농도가 1mg에서 60%이상의 높은 ACE 억제활성을 보인 식물은 털여뀌 (81.6%), 결명자 (64.2%) 등의 2종이었으며, 40%이상의 ACE 억제 활성을 보인 식물은 금불초(49.7%), 골담초(49.4%), 황금(48.1%), 회향(45.2%)등 4종으로 ACE 억제활성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한 30~40%의 ACE 억제활성을 보인 식물은 까마귀머루(35.5%), 부용(32.3%), 삼립국화(32.6%), 산비장이(33.2%), 산사나무(33.9%), 율무(34.8%), 제비꽃(37.1%), 진득찰(37.1%), 짚신나무(36.1%), 참죽나무(39.7%), 창질경이(33.5%), 컴프리(33.9%), 털냉초(39.7%), 하눌타리(39.4%), 해바라기(34.2%), 호두나무(39.4%), 회양목(30.6%), 희수(35.8%), 금불초(36.8%), 도꼬마리(34.8%), 두충나무(30.3%), 둥글레(35.2%), 방풍(33.5%), 산옥잠화(34.8%), 살구나무(39%), 섬오갈피(38.4%), 원추리(39.7%), 지모(31.9%)등 28종이었다. 그 외 흰제비꽃, 황해쑥, 쥐방울덩굴, 자귀나무, 일당귀, 오크라, 애기기린초, 순비기나무, 쇠뜨기 , 석창포, 석결명, 사위질방, 산수유나무, 부추, 뽕나무, 봉선화, 보리수나무, 큰꽃삽주, 범부채, 벌등골나무, 모감주, 동과, 도라지, 땃두릅, 도꼬마리, 산옥잠화, 방풍, 둥글레, 닭의장풀, 닥나무, 노루오줌, 가시오갈피, 개오동, 귀릉나무, 꽈리, 까실쑥부쟁, 골담초, 고삼, 고비고사리, 개발나물, 결명자, 형개, 향유, 한련초, 파고지, 초과, 지골피, 마두령, 금앵자, 곽향 등 50여 종의 추출물은 10~30%의 낮은 ACE 억제활성을 보였다. 앞으로 ACE 억제활성이 높은 식물자원의 유효성분에 대한 물질 확인과 동물모델을 이용한 효능검증에 대하여 더 많은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