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대학이 설정한 핵심역량 기반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을 탐색해 보고자 학부교육 실태조사(K-NSSE)와 연계하여 핵심역량의 IPA 영역(중점개선-점진개선-유지강화-지속유지)별 분포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D 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D 대학 핵심역량 척도(DEU-CCDS)와 학부교육 실태조사(K-NSSE)를 활용하여 응답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D 대학 재학생들의 핵심역량 수준과 이들의 학부교육 실태수준은 전반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IPA 분석을 통해 개선 영역에 분포하는 핵심역량 및 구성요소를 도출한 결과, 대부분의 핵심역량 및 구성요소는 IPA 영역 중 유지 영역(유지강화-지속유지)에 분포하였으나, 도전성취 역량은 주로 IPA 영역 중 개선 영역(중점개선)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D 대학의 핵심역량 기반 교육과정의 질적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서 도전성취 역량 기반 교과 및 비교과 교육의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4,300원
        2.
        2003.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new analytical method of phthalate esters(diethylphthalate, di-n -butylphthalate, butylbenzylphthalate, bis(2-ethylhexyl)phthalate), one of the endocrine disruptors, which were performed by GC/MS-SIM(selected ion monitoring). The phthalate esters were extracted from water samples using solid-phase extraction on C18 columns. It investigated that the extraction recovery rate of phthalate esters with different solvents and solvent volume. The optimal solvent was dichloromethane and proper volume of dichloromethane for recovery of phthalate esters was 4 mL. There were good linearities(above R2=0.9975) in the range 0.01~0.50㎎/L, and the detection limits were below 0.01~0.03㎍/L. The recovery rates, RSD and MDLs for phthalate esters were 80~114%, 5.0~8.1% and 0.03~0.11㎍/L, respectively. This method shows a good precision of phthalate es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