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전자음악 청취와 신체 움직임이 결합될 때 청취자가 경험하는 몰입의 본질을 탐색하 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전자음악 감상 중 자발적인 움직임을 동반한 몰입 경험이 있는 성인 8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과 참여 관찰을 실시하였다. 분석은 콜라 이찌(Colaizzi)의 현상학적 절차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 몰입 경험은 시간 인식의 왜곡, 감각 통합, 자기 경계의 해체, 정서적 해방 등으로 구성되는 총체적 지각 경험으로 나타났다. 특 히 반복적인 리듬과 신체의 자동화된 움직임은 몰입을 심화시키는 핵심 기제로 작용하였으며, 몰 입의 양상은 클럽, 명상, 개인 청취 등 환경에 따라 다르게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몰입을 단순한 심리적 집중이 아닌, 체화된 지각과 감각적 통합의 구조로 재해석함으로써, 음악심리학 및 감각기 반 예술 연구에 이론적·실천적 기여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Steel moment frame connections are vital in moment frames designed to resist forces transferred from adjoining beams and columns. The welded unreinforced flange-welded web (WUF-W) connection is one of the pre-qualified connections used for steel special moment frames (SMFs). This study developed drift-based fragility functions for WUF-W connections based on test data of 35 WUF-W connection specimens from ten previous experimental studies. Four different damage states were defined to calculate the fragility: onset of yielding, local buckling, strength loss, and fracture. Fragility functions were derived assuming that lognormal distribution was validated using the Kolmogorov-Smirnov (K-S) test. It was confirmed that fragility functions for WUF-W connections were accurately proposed within a specified confidence interval. The fragility functions proposed in this study exhibit smaller standard deviations compared to FEMA P58, thereby reducing the likelihood of overestimating or underestimating damage at specific drift ratios. Furthermore, these functions remain within the confidence intervals across all damage states, contributing to improved accuracy in damage analysis and loss estimation in performance-based earthquake engineering.
단풍나무는 종족 번식을 목적으로 씨앗을 확산시키기 위해 바람을 이용한다. 모수에서 분리된 씨앗은 자동회전을 하면서 떨어지는데 이 회전을 통해 생성된 앞전 와류로 높은 양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씨앗을 천천히 낙하시킨다. 단풍나무 씨앗의 자동회전 현상은 안정적인 공기 역학적으로 낙하 초기 자세에 상관없이 일정한 크기의 회전율과 낙하 속도를 갖고 있어서 산업적 응용 가능성도 크다. 본 연구에서는 단풍나무 씨앗의 자동회전 현상의 특성을 실험적으로 밝히고 이를 생체 모방하여 소형 풍력 터빈으로 개발할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