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0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지체장애 각 종목별 선수로 활동하고 있는 310명(남자 207/ 여자 103명)의 정서, 열정, 시합전략을 분석하였다. 지체장애선수의 인구사회학적변인(성별, 장애시기별, 운동수준별)에 따른 정서, 열정, 시합전략의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변량분석(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을 시행하였으며, 정서, 열정, 시합전략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중다회귀분석(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우수선수 집단이 비우수 선수 집단보다 긍정적 정서를 높게 지각하였으며, 열정개념에서는 성별, 운동수준에 따라 높은 개념을 보였다. 시합전략개념에서는 성별과 장애시기 그리고 운동수준에 따라 유의성이 나타났다. 또한 시합전략, 정서, 열정의 하위요인은 대부분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정서는 열정(조화/강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정서요인은 시합전략(목표설정, 긴장풀기, 혼잣말, 감정조절, 자동적 수행)을 예측하는데 기여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감정조절은 긍정/부정적 정서요인 모두를 예측하고 있었다.
        2.
        200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교육상선수들의 성별과 노력정도에 따라 성공지각과 수행전략의 차이를 검증하고 성공지각과 수행전략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435(남;293, 여;142)명의 고교육상선수를 대상으로 성공지각 질문지(POSQ), 수행전략 질문지(TOPS)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먼저 성별과 노력정도별 수행전략과 성공지각의 차이에 대한 이원변량분석을 검증한 결과 수행전략의 긴장풀기와 컨디션조절에서 남자선수들이 높은 개념을 보이고 있었다. 또한 노력의 정도에 따른 수행전략과 성공지각을 검증한 결과 열심히 노력하는 선수집단이 감정조절을 제외한 혼잣말, 심상과 목표설정, 긴장풀기, 컨디션조절의 수행전략이 높게 나타났으며, 성공지각(과제/자아)의 개념을 높게 평가하고 있었다. 또한 수행전략의 하위요인과 성공지각의 하위요인은 대부분 긍정적인 상관계수를 나타내었다. 나아가 성공지각과 수행전략의 관계에 대한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남․녀 모두 성공과제 요인이 수행전략의 심상 및 목표 설정, 컨디션조절 요인을 예측하는 변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노력의 정도에 따른 분석결과, 보통으로 노력하는 선수들은 성공지각이 수행전략의 혼잣말을 의미 있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하게는 노력을 많이 하는 선수들은 성공과제가 컨디션조절과 심상 및 목표설정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와 이론, 그리고 본 연구자의 견해를 토대로 논의를 기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