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the local festival sponsored by KOTRA (Korea Trade- Investment Promotion Agency) in Banteay Meanchey Province in Cambodia, find that the vitalization strategies that allow the local festival concept to be used as a new rural development strategy alternative, and share those strategies with other donor countries and agencies that may want to implement something similar. Strengths, Weaknesses, Opportunities, and Threats (SWOT) analysis was utilized to derive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found in the process of planning and promoting a local festival.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analysis was employed to prioritize the factors derived from SWOT analysis. These results would lead to the establishment of applicable vitalization strategies. The vitalized local festival can be a tremendous resource for rural regions in Cambodia by helping maintain the rural societies, support the inheritance of their cultural legacies, and provide additional outlets to sustain local development. Acting as sponsors of these strategies will help donors strengthen the ties and construct international cooperation partnerships with Cambodia.
        4,000원
        2.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캄보디아는 전통적으로 벼가 농업에서 가장 우선시 재배되는 작물인 관계로 쌀 생산증대를 위한 재배방법의 개선과 관리, 공여국과 수혜국간의 협력방안 등 많은 연구가 축적된 반면에 밭작물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연중 고온다습한 기후와 우기의 풍부한 강수량은 최적의 작물생육 환경을 제공하고 있고 메콩 강과 뚠레삽 호수를 비롯하여 3개의 강을 보유하고 있어 앞으로 수자원 활용이 가능해지면 지속적인 농업분야의 발전가능성을 엿보게 한다. 산림이 줄고 늘어난 농지에서는 밭작물을 재배하게 될 가능성이 커 현시점에서 주요 밭작물에 대한 생산 현안을 진단하고 농업협력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2. 현재 캄보디아는 우기와 건기가 뚜렷이 구분되는 열대몬순지역으로 풍부한 수자원이 우기에 집중되고 있어서 수자원 배분(water allocation)에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점차 개선되고 있는 관개수로로 인해 관개농 면적이 증가 추세에 있다. 주로 고지대(upland)에 위치한 밭작물 재배농지의 경우, 부족한 관개수로는 농촌 인프라 확충을 위한 협력사업의 증대로 개선될 여지가 있다. 3. 농촌인프라 확충을 위한 협력 사업을 계속 유지하면서 캄보디아 농업관련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기술변화와 세대변동에 따른 다양한 농업 및 농기계 기술 교육제공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농업전문가 파견과 같은 인력제공을 통해 가공시설확충과 유통체계개선을 통해 유통단계에서 농민들이 불이익을 받는 일을 줄여야 할 것이며 협동조합과 같은 농민조직의 육성을 통해 생산, 유통, 판매과정에 농민이 중심이 되고 주도적으로 경제활동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다.
        4,000원
        5.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93년 GATT-UR 협상이 타결됨에 따라 관세화에 의한 농식품 시장의 전면 개방이 불가피하게 되었으며, 2004년 한-칠레와의 FTA 발효를 시작으로 우리 농업은 본격적인 글로벌 개방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하지만 콩의 경우 시장개방으로 경쟁력이 위협받아 콩 생산량이 감소추세에 있으며, 매년150만여 톤 이상, 즉 수요량의 90%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재배 가능한 콩 30품종(장수, 신팔달1호, 신팔달2호, 큰올, 만리, 보광, 검정콩1호, 진품1호, 진품2호, 황금, 단백, 광안, 삼남, 은하, 푸른콩, 소명, 소원, 다원, amsoy, 장단백목, jack1, jack2, pecking, 대원, 개척1호, 개척2호, s015, s09, 대풍, 태광)을 대상으로 경기 남부지역인 여주에서 계통별 재배실험을 실시하여 그 생육단계 조사를 통해 경기지역 재배환경에 적응력이 우수한 품종을 알아보는데 있다. 파종일은 2008년 6월 16일이고 계통별 1~2열로 재식밀도는 80cm x 20cm으로 1주 2본을 점파하였다. 현재까지 약 4개월간 재배중이고 재배기간인 2008년 6월 중순에서 10월 중순까지 평균기온, 최고기온, 최저기온, 일사량 및 강수량을 조사했다.생육단계는8월 7일, 10월 1일 총 2회에 걸쳐 조사하였으며, 또한 10월 1일에 품종별 5협(莢)을 취해 협(莢)크기와 입(粒)중 및 입(粒)크기를 측정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6.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의 대표적인2차대사 산물인 아이소플라본은 발아기의 뿌리 및 배축, 종실발달기의 협, 종실생육후기의 종자 등에서 만들어지며 뿌리혹박테리아의 고정, 환경적 요인에 의한 스트레스, 내병충성등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콩 종실내 아이소플라본의 함량 및 생합성과정은 양적특성을 보이며 몇 개의 QTL은 보고되어있는 실정이다 .특정형질과 관련된 유전자 특이적 분자마커를 개발하는 과정은 육종의 효율을 높이는 매우 중요한 과정이나 기술적으로 근동질계통간 유전체 수준에서 다형성을 발굴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본 실험에서는 아이소플라본 생합성관련 유전자 특이적 분자마커를 개발하기 위하여 이미 알려진 특정 유전자외 전사조절유전자 집단을 이용하여 콩 종실내 다양한 아이소플라본 함량을 보이는 콩 품종간 다형성을 발굴하였다. 유전자염기서열의 발굴은 두과작물의 모델식물체인 Medicago truncatula 의 데이터베이스를 마이닝하였으며 96개의 국내외 대표적 콩 품종들이 사용되었다. 본 실험을 통하여 특정유전자집단과 다양한 아이소플라본 함량을 가진 콩 품종등간의 다양성이 비교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