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평 배향 액정 모드는 양의 유전율 이방성과 음의 유전융 이방성 액정을 사용한 프린지 필드
스위칭과 양의 유전율 이방성 액정을 사용한 인플래인 스위칭 모드가 대표적이다 . 이 대표적인 세 구동
방식의 화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최척화된 위상지연 값 조건하에서 밝기, 명암대비율과 색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양액정과 음액정을 사용한 프린지 필드 스위칭 모드가 밝기와 명암대비율
면에 있어서 인플래인 스위칭 모드보다 우수한 특성을 보인다. 또한 양액정을 사용한 프린지 필드 스위
칭 모드는 시야각 방향에서 적은 색 변이 특성을 보인다.
Field sequential 액정 디스플레이(FSLCD)는 컬러필터를 사용하지 않아 높은 투과율 특성을 보이고 광
원으로 LED를 사용함으로써 색재현성이 매우 우수하다. 하지만 FSLCD(60Hz 구동)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액정의 응답속도가 5ms이하로 고속응답 특성을 보여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고속응답 ECB(electrically controlled birefringence) 셀의 최적 구조를 연구하여 5ms 이하의 응답시간을 얻었다. 그리고 ECB 모드에서 높은 구동전압과 시야각을 개선하기 위해 필름 보상을 연구하였다. 판상형 액정필름(discotic film)과 TAC(triacetyl cellulose) 필름의 위상차 값을 최적화함으로써 구동전압을 5V로 낮추고 상하좌우에서 160° 이상(CR>10:1)의 시야각을 실현하였다.
한방과 식품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쑥의 특성 중 항미생물 효과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쑥씨에서 분리한 정유를 GC, GC-MS로 분석한 결과 77종의 휘발성 물질이 동정되었고 그 중에서 가장 많이 존재하는 것은 campher(14.242%), borneol(12.812%), 1.8-cineol(6.437%), terpinen-4-ol(1.185%) 등으로 전체 정유성분의 약 35%를 차지했다. 이들 4종과 Mugwort seed extract(essential oil)를 가지고 대표적인 식품 미생물인 S. cerevisiae, L. mesenteroides, L. plantarum, A. oryzae와 B. subtilis 그리고 식품오염 정도의 지표 미생물인 E. coli 등의 생육에 미치는 항미생물 효과를 측정한 결과 terpinen-4-ol이 가장 효과가 커 1000ppm 정도로 미생물의 생육을 거의 억제시켰으나 cineol, essential oil은 효과가 그다지 크지 않은 반면에 borneol과 campher는 항미생물 효과가 미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