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기자(枸杞子)의 품질향상(品質向上)과 품질평가(品質評價)의 척도(尺度)등을 제시(提示)하는 효률적(效率的)인 건조조건(乾燥條件)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건조온도(乾燥溫度)와 시간(時間)을 달리하여 구기자(枸杞子)를 건조(乾燥)한 다음, 건조조건별(乾燥條件別)로 구기자(枸杞子)의 수분함양(水分含量) 변화(變化), 색도(色度) 및 점도를 조사(調査)하였으며 각처리별(各處理別) 성분(成分)을 분석(分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수분함량(水分含量)의 변화(變化)에서 고형물(固形物)은 초기온도(初期溫度) 50℃에서 4시간(時間) 건조후(乾燥後) 60℃에서 28 시간(時間) 건조(乾燥)한 경우가 함양(含量)이 가장 많았다. 2. 색도(色度)의 변화(變化)에서는 1번 처리구(處理區)에서 적색도(赤色度)와 황색도(黃色度)가 각각(各各) 5.0, 51.3으로 외관상(外觀上) 좋았으며 명도(明度)에서도 66으로 고유(固有)의 상품가치(商品價値)를 지니고 있었다. 3. 점도는 1번 처리구가 3.5로 나타나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높은 점도를 보였으나 수율은 4번 처리구가 높았고 나머지는 차이(差異)가 없었다. 4. 건조온도(乾燥溫度)와 시각(時閣)에 따라 성분조성(成分組成)에 차이(差異)가 있었는데 무기성분(無機成分)인 Zn, CaO는 4번 처리구가 K2O, P2O5에서는 3번 처리구가 많았으나 조단백질, 총당, 환원당둥有 기성분(機成分)은 1번 처리구가 가장 높아 주요성분(主要成分)이 많음을 알수 있었다. .5. 열풍(熱風) 건조방법(乾燥方法)은 온도조절(溫度調節)이나 건조시간(乾燥時間)이 상품(商品)의 질(質)에 큰 영향(影響)을 끼치므로 구기자(拘杞子)는 2단계(段階)로 조건(條件)을 달리해 건조(乾燥)하는것이 바람직한데 시험결과(試驗結果) 초기온도(初期溫度) 50℃에서 2시간(時間), 후기온도(後期溫度) 60℃에서 24시간(時間) 건조(乾燥)하는것이 구기자(拘杞子) 품질(品質) 및 경제적(經濟的) 측면(側面)에서 최적(最滴)의 조건(條件)이었다.
지골피(地骨皮)를 이용한 기능성 발효주를 개발(開發)하기 위하여 지골피와 당농도별로 처리하여 발효기간별로 일반성분(一般成分) 및 물리적(物理的) 성질(性質)을 측정하여 성질(性質)을 평가(評價)하였다.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발효주의 관능시험을 실시한 결과, 20%의 sugar로 보당하고 2,0%의 지골피를 첨가하여 지골피 발효주를 만들때 종합적 기호도가 가장 큼을 보였다. 모든 처리구에서 잔당이 발효과정 중 점차 감소(減少)하였으나, 발효 10일 후 안정되어 발효 30일 후에도 10~24Brix(˚)로 잔존(殘存)하였다. 발효과정 중 pH는 점차 낮아져 발효 30일 후에는 pH값이 약 3.5이었다. 에탄을 함량은 발효 30일후 최고 9.3%까지 검출되었으나 숙성중에는 그 절대량에 있어서 커다란 변화가 없었다. 물리적 특성에서 탁도와 점도는 발효가 진행되면서 점점 낮아지고 숙성과정 동안은 안정되었다. 상기 여러 조건을 검토한 결과 지골피(地骨皮)를 이용한 발효주의 양조조건(讓造條件)은 2.0%의 지골피농도에 당을 20%첨가 하였을때 가장 좋은 것으로 판단 되었다.
최근(最近) 재배(栽培) 면적(面積)과 수요(需要)가 급증(急增)되고 있는 구기자(拘杞子) 재배시(栽培時) 치명적(致命的) 피해(被害)를 주는 구기자(拘杞子) 탄저병(炭疽病)에 대한 약제(藥劑) 시험(試驗) 결과(結果) 1. 탄저병(炭疽病) 발병(發病) 시간(時間)는 7월 중순(中旬)과 8월 중순이 가장 심(甚) 하였으며 평균온도(平均溫度) 25℃ 전후(前後)의 조건하(條件下)에서 발병율(發病率)이 가장 높았다. 2. 운곡면(雲谷面)과 대치면(大?面) 모두 프로피 수화제의 방제가(防除價)가 81.5%와 93.4%를 나타내어 약효(藥效)가 가장 우수(優秀)하였다. 3. 디치돈 수화제와 프로피 수화제 모두 기준량(基準量)과 배양(倍量) 공히 약해(藥害)가 발생(發生)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