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2.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기도 양평군 수입천에서 대형 군락을 형성하여 자생하는 갯버들의 영양염류의 농도와 수리학적체류시간에 따른 질소.인 흡수 실험 결과로서 NH4-N, NO3-N, PO4-P제거효율은 저농도에서 체류 시간이 길 때 높은 경향을 보였고, 제거능은 고농도와 짧은 체류시간에서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유입농도와 체류시간에 따른 지상부 1g당 제거능 추정식을 구하였다. 수입천 갯버들의 현존량은 4,880.81g/m2로 추정되었고, 현존량과 제거
        4,000원
        3.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영양염류의 농도와 수리학적체류시간에 따른 달뿌리풀의 질소ㆍ인 흡수 실험 결과로서 NH4-N, NO3-N, PO4-P의 흡수량은 각각 체류시간에 따라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F=44.93, 95.52, 12.70, Pm2, 평균 수질농도 0.308 NH4-N, 1.461 NO3-N, 0.348 PO4-P mg/L, 체류시 간 1일~ 5일 범위에서 1 m2 1일 기준의 흡수량이 각각 7.31~20.15 NH4
        4,000원
        4.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비매개변수적 빈도해석을 위해 제시되는 핵밀도함수 방법에서 내삽법은 외삽법보다 더 신뢰적이기 때문에 내삽법과 관련된 광역폭의 선택이 외삽 문제와 연관되는 핵함수의 선택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재현기간이 자료구간보다 커지거나 또는 년 빈도 발생과 같은 확률 값에 대한 추정을 하는 경우는 자료의 외삽이 중요한 문제이며 따라서 이에 따른 핵함수의 선택도 중요시된다. 핵함수에 따라서는 외삽에 대해 상대적으로 작거나 큰 값이 제시 될 수 있으므로 극치값 추정에는
        5.
        200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관측자료의 보완이나 확충을 위한 강수량 모의발생은 수문분석에 있어서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강수량을 모의하는 방법은 크게 기존의 매개변수적 방법과 비매개변수적 방법 두 가지로 나눌 수 있고, 강수량 모의의 시간간격에 따라 일강수량 자료의 모의 또는 시간강수량 자료의 모의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지금까지, Markov모형은 일강수량 모의발생에 많이 이용되어왔다. 이러한 대부분 Markov모형들은 동질성모형으로 상태벡터를 구축하는데 있어서 자료의
        8.
        199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hingal reservoir is a relatively small (211ha) and shallow impoundment, and approximately 25 ha of its sediment is exposed after spring drawdown. At least 14 vascular plant species germinate on the exposed sediment, but Persicaria vulgaris Webb et Moq. quickly dominates the vegetation. In order to estimate the role of the vegetation in the dynamics of heavy metal pollutants in the reservoir, Cu concentration of water, fallout particles, exposed sediment, and tissues of P. vulgaris, was analyzed. Cu content in reservoir water decreased from 13.10㎎/㎡ on May 15 (before drawdown) to 3.08㎎/㎡ in June 1 (after drawdown), mainly due to the lowering of water level. Average atmospheric deposition of Cu by fallout particles was 10.84 μ g/㎡/day. Cu content in the surface 15㎝ of exposed sediment decreased from 5.094g/㎡ right after drawdown, to 0.530g/㎡ in 41 days, which is a 89.6% decrease. Therefore up to 99.7% of Cu in the reservoir appears to exist in the sediment, only 0.3% in water. If the rate of atmospheric input by fallout particles is assumed to have been the same since 1958, when the reservoir was completed, cumulative input of Cu during the 38 years would have been 150.35㎎/㎡, which is only 3.0% of Cu content in sediment right after drawdown. Therefore, most of Cu in the Shingal reservoir must have been transported by the Shingal-chun flowing into the reservoir. Standing crop of vegetation on the exposed sediment 41 days after drawdown was 730.67g/㎡, of which 630.91g/㎡ was P. vulgaris alone, and Cu content in P. vulgaris at this time was 6.612㎎/㎡. This was only 0.13% of Cu in the exposed sediment, but was 50.5% of Cu in water before drawdown, or 167% of the average annual input of Cu by atmospheric deposition. If other plants were assumed to absorb Cu to the same concentration as P. vulgaris, total amount of Cu absorbed in 41 days by vegetation on the exposed sediment is estimated to be 1913.3 g, which is a considerable contribution to the purification of the reservoir wa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