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2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develop a functional probiotic that inhibits gingipain, a major virulence factor of Porphyromonas gingivlais (P. gingivalis), we screened over 30 probiotic strains for their ability to inhibit gingipian activity. We investigated the inhibition of expression of gingipain genes kgp, rgpA, and rgpB as well as gingipain activity, using freeze dried cell-free supernatants of Weisiella cibaria SPM402 (WC402) and Lactobacillus paracasei SMP412 (LP412), both of which demonstrate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P. gingivalis. Thus, it was verified that kgp expression was reduced by approximately 0.71±0.02 folds and rgpB expression was reduced by approximately 0.71±0.14 folds at a concentration of WC402 10 mg/mL. Meanwhile, at the same concentration of 10 mg/mL of LP412, kgp expression was reduced by approximately 0.19±0.08 folds, rgpA expression was reduced by approximately 0.09±0.02 folds, and rgpB expression was reduced by approximately 0.24±0.03 folds. At a concentration of 10 mg/mL, Kgp activity was inhibited by approximately 78.65±3.58% (cell associated gingipain, CAG), 82.45±1.22% (cell-free gingipain, CFG) by WC402 and 80.71±2.11% (CAG), and 85.81±0.05% (CFG) by LP412 respectively. Rgp activity was also effectively inhibited by approximately 78.6±1.01% (CAG), 86.78±0.47% (CFG) and 82.93±1.26% (CAG), 88.81±0.36% (CFG) by WC402 and LP412 respec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W. cibaria SPM402 and L. paracasei SPM412 can be regarded as functional probiotics with the ability to inhibit gingipain activity and exhibit antibacterial effects against P. gingivalis.
        4,000원
        2.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esperetin은 Hesperidin에서 유도되는 강한 항산화 기능의 플라보노이드 비당체이다. 본 연구 에서는 Hesperetin과 이의 Cyclodextrin 포접 복합체에 대하여 항산화, 항염증 및 항균 활성을 비교하였다. Hesperetin은 Hesperidin에 효소처리하여 제조되었으며, Hesperetin/Cyclodextrin 포접체는 용매 증류법에 의해 β-Cyclodextrin 및 Hydroxypropyl-β-Cyclodextrin을 사용하여 제조되었다. Hesperetin에 비해 Hesperetin/Hydroxypropyl-β-Cyclodextrin 포접체의 용해도는 93.5배 증가하였고, Hesperetin/β -Cyclodextrin 포접체의 용해도는 22.5배 증가하였다. 항산화 분석에서 Hydroxypropyl-β-Cyclodextrin 포접체는 Hesperetin과 유사한 라디칼 소거 활성능을 보인 반면, β-Cyclodextrin 포접체는 Hesperetin 보 다 약간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RAW 264.7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은 Hydroxypropyl-β-Cyclodextrin 포접체, β-Cyclodextrin 포접체, Hesperetin의 순으로 세포독성이 낮았다. Hesperetin과 Cyclodextrin 포 접체는 모두 세포내 산화질소(NO), 종양괴사인자-α(TNF-α) 및 인터루킨-6(IL-6)과 같은 염증 매개체 를 감소시켰다. Hesperetin 및 Hydroxypropyl-β-Cyclodextrin 포접체는 상대적으로 β-Cyclodextrin 포접체 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피부 유해성 세균인 황색 포도상구균과 녹농균에 대해 억제 효과를 시험한 결과, 황색 포도상구균에 대해서는 Hesperetin = Hydroxypropyl-β-Cyclodextrin 포접체 > β -Cyclodextrin 포접체의 순서로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녹농균에 대해서는 뚜렷한 억제효과를 나타내 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Hesperidin의 비당체 형태인 Hesperetin과 이의 Cyclodextrin 포접체는 다양한 생 물학적 활성을 보여주었으며, 용해도가 높은 Hydroxypropyl-β-Cyclodextrin 포접체가 β-Cyclodextrin 포접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4,500원
        3.
        201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서울시내에서 시판중인 식육에서 E. faecalis 를 분리하고 이 균들의 항생제 내성 패턴, 항생제 유출 펌 프 유전자 및 병독성 유전자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총 277 개의 식육시료에서 93균주의 E. faecalis 를 분리하였다. 이 균주들의 항생제 내성비율은 ampicillin에는 35.5%, chloramphenicol에 6.4%, ciprofloxacin에 4.3%, eryhtromycin 에 18.3%, quinupristin-dalfopristin에 76.3%, tetracycline에 45.2%의 내성이었으며 levofloxacin, teiconplanin 및 vancomycin에는 모든 균이 감수성이었다. 약물 유출펌프인 MFS 타입의 eme(A)와 ABC 타입의 efr(A)유전자는 모든 균주 (100%)에서 확인되었으며 efr(B)는 98.9%, lsa는 91.4%의 균주에서 확인되었다. 병독성 인자인 gel(E)는 68.8%, ace 는 90.3%, asa1는 47.3%, efaA는 91.4%, esp는 12.9%의 균주에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시판 식육에서 분리한 지 표 미생물의 하나인 E. faecalis의 항생제 내성, 약물유출 펌프 및 병독서 유전자의 분포를 분석한 연구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4.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tibiotic resistance in animal isolates of enterococci is a public health concern, because of the risk of transmission of antibiotic-resistant strains or resistance genes to humans through the food chain. This study investigated phenotypic and genotypic resistances profile of tetracycline in 245 Enterococcus isolates from bovine milk. A total of 245 enterococci were isolated from 950 milk samples. The predominant strain was E. faecalis (n = 199, 81.2%) and E. faecium (n = 25, 10.2%). E. avium (n = 7, 2.9%), E. durans (n = 6, 2.5%), E. gallinarum (n = 4, 1.6%), and E. raffinosus (n = 4, 1.6%) were also isolated. Of the 245 enterococcal isolates 76.3% (n = 187) displayed tetracycline resistance (≥ 16 μg/ml). Of the 187 tetracycline-resistant isolates, 83.4% (n = 156), 16.1% (n = 30), and 26.7% (n = 50) possessed the genes tet(M), tet(L), tet(S) respectively. While 3.2% (n = 6) of the tetracycline- resistant isolates possessed all three genes tet(M) + tet(L) + tet(S), 8.6% (n = 16), 16.0% (n = 30), and 2.7% (n = 5) of them possessed two genes tet(M) + tet(L), tet(M) + tet(S), and tet(L) + tet(S) respectively. The tetracycline resistance pattern investigated in this study was attributable mainly to the presence of tet(M).
        4,000원
        6.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rom April 2008 to January 2009, a total 458 raw milk samples were randomly collected from 15 stock raising farms located in northern area of Kyunggi province and cultured for the presence of Enterococci spp. A total 170 enterococcal isolates were recovered from the raw milk samples. Enterococcus faecalis was predominant species recovered (64.7%), followed by E. faecium (18.8%), E. avium (5.9%), E. gallinarum (5.9%) and E. durans (4.7%). Antimicrobial resistance patterns of 170 Enterococci spp. against ampicillin, erythromycin, tetracyclin, chloramphenicol, vancomycin, ciprofloxacin and streptomycin were tested. According to the result, they showed high level resistance to erythromycin and streptomycin (82,9% and 93,5% respectively), moderately resistance to ampicillin, chloramphenicol and tetracyclin (50%, 45.9% and 32%, respectively) but fortunately, vancomycin and ciprofloxacin are still effective against this species.
        4,000원
        7.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Lightcycler (Roche)를 이용한 Real-Time PCR(LC-PCR)기법을 통하여 원유시료에서 신속, 정확하게 황색포도상구균을 검출하는 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coagulase 전구체를 coding하는 113 bp의 coa 유전자의 증폭, melting curve 분석 및 DNA염기서열을 분석하여 황색포도상구균 특유의 유전자 검출하는 기법을 개발하였다. 또한 분리된 균주중 메치실린에 내성을 나타내는 균주를 검출하고자 penicillin-binding protein, PBP2a (mecA)를 coding 하는 209 bp의 mecA 유전자의 증폭, melting curve 분석 및 DNA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메치실린내성 황색 포도상구균을 real-time PCR 기법으로 검출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본 실험에 따르면 647개의 원유시료중 6개의 시료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되었으며 이중 2개의 시료에서 분리된 황생포도상구균이 메치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DNA 검출한계는 10 fg으로 기존 PCR에 비해 매우 감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3개의 원유시료에서 돼지나 소의 삼출성 피부염의 원인균인 Staphylococcus chromogenes가 분리되었다.
        4,000원
        8.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육성 벼 주요품종 중 오봉벼, 일품벼 및 아랑향찰벼 과피의 단회 경구투여에 의한 독성을 관찰하기 위하여, 동물체중 당 2.5 g, 5.0 g 및 10.0 g의 용량으로 암수 각각 10마리씩 ICR계 마우스에 1회 경구투여한 후 14일간 실험동물의 사망률, 일반증상, 체중변화, 부검소견 및 혈액 생화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1. 모든 시험물질의 최대 투여가능용량인 10.0 g/kg 투여시 암수 모든 동물군의 사망 예는 관찰되지 않았고, 또한 그 이하의 시료 투여군에서도 사망동물은 없었으며, 시험물질 투여 후 나타내는 외관상의 이상증상도 확인되지 않았다. 2. 실험동물의 체중 변화는 암수 모두에서 시일이 경과함에 따라 체중 증가가 일시적으로 억제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시험물질 투여군과 대조군간의 유의성 있는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3. 시료투여 14일 후 치사된 동물의 장기를 관찰한 결과, 암수 모든 실험군의 간장, 신장, 비장, 심장, 폐 및 뇌에서 시험물질 투여에 따른 어떤 육안적 이상 소견도 발견되지 않았다. 4. 혈액생화학적 검사 결과, ALT와 AST 활성도가 모든시료 투여군에서 정상수치를 나타냈으며, 10.0 g/kg 1회 경구 투여한 모든 실험군의 경우에도 정상 수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고품질 우리 쌀인 오봉벼, 일품벼 및 아랑향찰 벼 과피 추출물을 고용량으로 투여 시에도 간 기능에 어떠한 독성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5. 오봉벼, 일품벼 및 아랑향찰벼 과피 추출물에 대한 급성 경구 독성시험에서 상기의 일반상태, 체중변화 및 부검소견 등에 별다른 독성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최대투여 가능용량인 10.0 g/kg에서도 사망 예가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암수 마우스에 대한 경구 LD50치는 최대 투여가능 용량인 10.0 g/kg 이상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본 시험 결과, 오봉벼, 일품벼 및 아랑향찰벼 과피 EtOH 추출물은 투여가능 최대용량에서도 독성이 없는 안전한 식품임을 확인하였고, 건강증진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식품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었으며, 고용량으로도 임상사용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