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

        1.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개인-직무 적합성을 수요-능력 적합성과 욕구-공급 적합성이라는 2개의 하위차원으로 구분 하고, 각각의 하위차원이 과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수요-능력 적합성과 욕구-공급 적합성이 과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LMX의 조절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가설검증을 위해 우리나라 기업의 사무 관리직 종사자 19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모든 가설을 지지하였다. 첫째, 수요-능력 적합성은 과업성과에 정(+)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욕구-공급 적합성은 과업성과에 정(+)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LMX는 수요-능력 적합성과 과업성과의 관계를 부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수요-능력 적합성 이 과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는 LMX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데, 높은 LMX를 가진 내집단 구성원에 비해 낮은 LMX를 가진 외집단 구성원 경우 수요-능력 적합성이 과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더 크다는 것이다. 넷째, 욕구-공급 적합성과 과업성과의 관계에서도 LMX는 부적(-)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 역시 내집단 구성원보다 외집단 구성원에게 욕구-공급 적합성이 과업성과 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개인-직무 적합성과 과업성과의 관계에 대해 LMX의 조절 효과를 확인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다양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5,4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