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8

        41.
        197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육종의 대상이 될수있는 형질의 명목으로 수도의 안전다수성이라는 품종의 특성을 파악하여 신품종육성의 지표를 얻기 위하여 수원에서 육묘한 수원8002와 농광을 해남(N34˚ 30'). 이리(N35˚ 50') 및 수원(N37˚ 20')에서 조기 보통기에 1배비, 1.5배비 2배비로 재배하고 수원과 춘천에서 10년이상 채종재배한 Fuzisaka#5와 Rikuu #137을 수원(고도39m)과 춘천(고도 90m)에서 보통재배하여 출수일수 간장 정조수량 및 수량구성 형질들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수일수가 위도에 따라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는 중만생중이 지역변이가 작고 일정한 경향이 보이지 않는 조생종보다 수량의 변이도 크고 수량성도 높았다. 그러나 수량의 변이는 생육일수의 변이와 관계없었다. 2. 일반적으로는 수량구성형질중 주당입수가 지배적으로 수량에 영향하여 다음 임실율 입중의 순이지만 (표3) 지역적으로는 비옥도와 재배법에 따라 품종의 수량형질표현이 상이하여 위도나 고도에 따른 일정한 경향을 볼수없었다. 3. 출수일수와 간장의 위도에 따른 지역적인 repeatability는 매우 낮으며 수량의 repeatability는 상당히 높은것도 있다. 4. 고도에 따른 지역적인 repeatability는 간장과 출수일수에서는 비교적 높은편이었으나 수량에서는 비교적 낮은편이며 수량성이 동등한 품종간에서도 그차는 분명하였다. 5. 안전다수성품종이란 수량구성형질로 보아 각형질의 환경변이가 비교적 작으면서 수량에 대한 직접영향이 크고 형질상호간의 상관이 낮은 것 이라고 파악 되었다. 6. 안전 다수성품종이란 수량의 repeatability로 보아 위도와 고도에 따른 지역적인 repeatability(rl)가 크고 지력이나 시비량에 따른 repeatability(rn)가 작은것이라고 파악되었다. 비해 소수의 것만이 1계급에서 2계급으로 하락하였을 뿐 출현도에 별차가 없었다. (Table 6 참조) (5) 재정격부법중 재조의 계급구분을 1계급의 것을 6회에서 4회로 특히 강화 하였는데 이것은 오직 일본 생사의 평균제조 절단수 만을 (4회 ;1969) 참작한 일본생사 위주로 작성된 것이라 생각한다. 그것은 생사생산국간의 재조검사 성적을 보아도 한국은 일본의 다음이며 그외 품질의 우수함도 널리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6) 이상의 여러가지를 비교 검토할 때 현행법에서 평균절단수 5회 정도인 우리나라 생사는 재정법을 적용하는 경우 8∼9회를 쉽게 예상할 수 있는 것이며 생사수요자들이 중요시하는 재조성적으로 인한 격 하락의 수가 증가하리라 생각한다.가장 W.R 효과가 좋았다. 그러나 NaHCO3 를 더 이상 첨가하는데 따라 W.R 효과는 견.면포 모두 저하하였다. (10) 중화제로서 NaOH와 NH4 OH를 첨가하는 경과 첨가량이 증가하는데 따라 W.R 효과도 저하하나 첨가량이 어느 한계점(견 3.3ml, 면 3.3~6ml)을 지나 더욱 증가하면 W.R 효과도 다시 양호하여지는 현상을 볼 수 있었다. 이와같은 경향은 특히 견과 면포에서 현저하였으며, 이 결과로 보아 견과 면포는 반응액의 (H+)을 전부 중화시키고 남은 NaOH와 NH4 OH의 잔여(H)에서도 Formaldehyde와 작용할 수 있지 않는가 추측된다. (11) 견포는 Curing온도가 비교적 낮을 때 W.R 효과가 좋았고 면포는 높을 때 좋았다. (12) 이 실험의 결과 견포의 W.R를 94%RK지 (처리전보다 22% 증가)향상시킬 수 있었다는 점으로 보아 앞으로 견포의 W&W 성을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을 충분히 보여주고 있다.hen evaluated by the medical regulations of the G
        42.
        196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에 재배되어 온 동아면의 종을 밝히고져 한국 및 중국 제주 일본등지에서 귀집 보존되어 오는 21개 품종을 검정종과 교배하여 그 F1 의 화분모세포를 세포학적으로 검토하였는데 그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귀집종과 G. herbaceum 검정종과의 F1 에서는 항상 1개의 4련염색체가 나타났다. 2. 추가된 귀집종과 G. arboreum 검정종과의 F1 에서는 전보에서와 같이 4련염색체가 나타난 조합이 없었다. 3. G. herbaceum의 검정종간에서나 G. arboreum검정종간에서는 4련염색체가 나타나지 않았고 G. herbaceum 검정종과 G. arboreum 검정종간에서는 항상 1개의 4련염색체가 관찰되었다. 4. 귀집종간의 F1 에서도 4련염색체를 볼수 없었다. 5. 이상의 결과를 Gerstel의 세포학적 근거에 비쳐 공시된 귀집종들은 G. arboreum에 속하는 것이라고 추정하고 race에 관해서는 Hutchinson의 지리적 분포론에 따라 race sinense라고 함이좋을 것이라고 고찰하였다.
        43.
        1969.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RRI 육종포장에 육성된 단간성 Indica품종에 T(N)1, CP231 231SLO17, 및 B569A12와 기타 몇가지 Indica품종이 교배된 F2 집단의 초장을 측정하여 F2 잡종들의 초장에 관한 분리를 조사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동남아의 장간 Indica품종들은 대만품종 T(N)1에 교배되어 3:1로 분리하는 것과 3:1로 분리되지 않는 것으로 구분된다. 2. U.S.A. 품종들은 특히 단간자료로 쓰이는 CP231-SO17과 B569A12는 T(N)1과의 조합에서 3:1로 분리하지 않는다. 3. T(N)1의 단간성 대응유전자를 가진 품종일지라도 조합 상대품종에 따라 우성 정도, 초월분리 정도가 다르다. 4. 간장에 관하여 보족적인 현상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즉 단간×단간에서 장간 분리개체가 많이 나왔다. B569A12×T(N)1은 그 예이다. 5. 복잡한 유전구성품종을 단순한 유전구성품종에 Backcross하여 단순한 유전분리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Peta/2×B569A12는 그 예이다.
        44.
        1968.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혼식의 효과와 그 원인을 검토하기 위하여 재식밀도, 시비량 및 혼식조합을 달리하여 실험을 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혼식구의 수량은 재식밀도, 시비량 및 혼식조합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었으나 현저하지 못하였다. 2. 재식밀도, 시비량에 관계없이 수원 8002가 신002보다 경합능력이 높았다. 3. 혼식의 효과는 경합으로 인한 수량구성요소들간의 증감의 차와 경합능력의 차로 인한 혼식된 품종의 증가량과 감소량의 차로 표현되었다. 4. 혼식을 논의할 때 검토되어야 할 몇가지 점을 지적하였다.
        45.
        1968.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도원연품종간 교배육종에 있어서 지리적 생태품종 간의 잡종 초기 세대의 생육일수와 불임성의 변이에 관한 지견을 얻고자 대표적인 Indica와 Japonica 그리고 그중간형인 Beaumont 품종과 Ponlai등 7개 품종을 상호 교배하여 IRRI(북위 14˚ 17')에서 F1 을 10시간 및 14시간 조명하에서 F2 를 단일건계의 자연일장하에서 재배하고 수원(북위 37˚ 16')에서도 F1 을 10시간 및 자연일장하에, F2 및 F3 을 자연일장하에 각각 재배하고 출수일수 및 불임율을 조사 연구하였다. 1. 출수일수 : 1) F1 들은 10시간 단일하에서는 조생이 만생에 대해 우성 내지 초월성으로 나타났고 14시간 장일하에서는 우성 내지 불완전 우성으로 나타났는데 IRRI와 수원에서 모두 같았다. 2) IRRI에서 단일시기에 재배된 F2 는 조생이 만생에 대해 불완전우성이며 분리는 연속적이었다. 수원에서 조기재배된 F2 는 대부분의 조합에서 조생이 불완전우성이거나 중간성으로 적기 재배된 F2 는 대부분의 조합에서 만생이 불완전 우성이거나 중간성으로 나타났다. 3) 극단의 만생간의 조합에 있어서도 유효 출수 가능한 초월분리 개체가 있었다. 4) 기본영양생장성이 긴 품종들의 조합에서는 변이의 폭이 넓었고 신품종의 평균과 친계열평균 변이계수와에는 높은 상관이 있었다. 5) F1 이나 중간친으로 F2 집단의 평균 출수일수를 예측할수 있으며 F2 평균과 F3 계통 평균과에도 높은 상관이 있었으나 IRRI에서 재배된 F2 개체와 수원에서 재배된 F3 계통간의 상관은 없었다. 6) IRRI에서 재배된 F2 와 수원에서 재배된 F3 계통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조정된 heritability가 매우 낮아서 출수일수에 관한 선발의 효과는 단일감응성 품종에 대해서는 기대하기 어렵다. 7) F1 및 F2 의 평균 출수일수는 정역교배간에 차가 없거나 극소하였다. 8) 잡종의 단일감응성 측정치를 친계열별 평균과 이 평균으로 부터의 편차로 구분 계산하여 단일감응성에 기여하는 양친들의 효과에 따라 친품종을 감응성품종과 비감응성 품종을 구분 할 수 있었다. 9) 단일감응성은 F1 이 양친보다 높으며 F2 , F3 으로 세대가 진전함에 따라 낮아진다. 10) 온도차에 따른 F1 의 출수일수 반응은 양친품종보다 작으며 장일과 단일하에서의 온도반응의 차이는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2. 불임율 : 1) IRRI에서도 수원에서도 다같이 F1 의 불임은 조합에 따라 차가 크며 친품종의 불임율과 상관이 없었다. 또 10시간 단일하에서는 14시간 장일하에서 보다 불임율이 높았다. 2) F1 에서 불임이 높았던 조합이 F2 에서도 높았으며 단일감응성이 높은 품종과 고온감응성이 높은 품종간의 조합에서 불임이 높았고 그 분산의 폭도 넓었다. 3) F2 평균은 F1 보다 낮으며 F3 계통들의 평균은 F2 평균보다 낮아 세대가 진전됨에 따라 불임율이 낮아지며 F3 에서는 조합간의 차가 현저하지 못하게 되었다. 4) F2 에 있어서는 화분불임과 종실불임간에 상관이 미약하였다. 5) F1 과 F2 평균의 불임율에는 정역교배간에 차가 없었다. 6) 잡종 불임을 잡종강세에서와 같이 Griffing의 방법에 따라 조합 능력 검정을 한 결과 SCA 효과는 GCA효과보다 컸는데 SCA효과가 특히 큰 것은 감광성이 높은 품종과 감온성이 높은 품종간의 조합들이였다. 7) IRRI에서 재배된 F2 와 수원에서 재배된 F3 과에는 불임에 관해 상관이 낮으며 F3 에서는 F2 에서보다 불임율이 낮아졌다. 8) F2 에 있어서 출수일수와 불임율과에는 상관이 거의 없었다.
        46.
        196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0개 장려품종(재래종)과 10개 도입종(임의선택)을 4월 15일부터 15일 격으로 파종하여 7개파종기에 대해서 조사된 10개 형질상호간의 표현형상관, 유전상관 및 유전력을 계산하고 유전상관을 다시 그들에 작용한 직접적 및 간접적인 영향으로 분석하여 재래종들의 특징을 도입종들과 대조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전상관이 표현형상관보다 높았으며 전반적으로 높은 상관을 보였는데 이것은 고정된 품종으로서 실험했으며 적절한 환경분산이 제거되지 못한 때문이며 그러나 형질상호간의 관련정도를 상대적으로 추정할 수는 있었다. 2. 파종시기에 따라서 형질간의 관련정도가 다르며 따라서 특정재배시기에 대해서는 그에 따르는 특성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 되었다. 3. 도입종은 재래종과 많은 점에서 차이가 있었는데 그 중에서도 간장, 경태 100입중에서는 타형질과 관련하는 방향 및 정도가 서로 크게 달랐다. 4. 재래종들의 도전력은 결실일수와 100입종을 제하고는 일반적으로 도입종에 비하여 떨어졌다. 이것은 재래종들은 품종간에 특성의 차가 적은 때문이라고 해석되었다. 5. 조사된 형질들과 수량과의 관련은 경로계수를 통해서 직접적인 간접적 영향으로 분해하고 수량에 대해서 각 기 경로계수가 차지하는 비중을 결정지수로서 표시하여 보았다. 6. 도입종의 특성들을 재래종에 결합시키는데 있어 여기 분석한 결과의 응용성에 대해 간단히 논의되었다.
        47.
        196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소맥, 대두, 면화 및 대맥의 근단에 대하여 저온(0℃ ~2℃ 에 24 또는 12시간) 8-Hydroxyquinolin (0.03과 0.1%에서 2시간 또는 10시간) 및 Colchicine(0.2%와 1.0%에서 2 또는 10시간) 처리를 하고 mitotic cell의 수와 이에 대한 meitaphase의 출현빈도를 검토하였다. 1 저온처리는 모든 작물에 대하여 mitotic cell의 수와 metaphase의 출현빈도를 현저히 증가시켰다. 저온의 정도와 처리시간은 작위에 따라 달라 본시험에서는 소맥을 제외한 타작물에서는 최적온도와 시간은 시험된 시간보다도 짧은 범위 이내에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2. 8-Hydroxyquinolin의 효과도 작물에 따라 다르나 0.03% 2시간 정도의 처리에서는 대체로 metaphase의 빈도를 증가시키나 mitotic cell의 수를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3. Colchicine은 mitotic cell의 증가 및 metaphase 빈도 증가에 항상 유효하였으며 이용에 있어서는 타처리에 비하여 같거나 우수하였다. 4. 본 시험에서의 각종 처리는 염색체를 수축시켰는데 그 정도가 가장 심한 것은 Colchicine이었고 그 다음이 8-Hydroxyquinolin 및 저온처리의 순이었다. 5. 재료에 따라 적당한 온도와 처리시간이 검토된다면 저온처리가 유효하게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논의되었다.
        48.
        196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두 한국장려품종 10 개품종과 도입된 무한신육성 10개품종을 4월 15일부터 7월 29일까지 15일간격으로 파종하고 개화일수 및 결실일수를 조사하여 품종별, 파종기별로 이 2가지 특성의 변이들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른 장려품종의 개화일수단축율은 도입종보다 현저하게 컸다. 2. 4월말에서 6월말까지에는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개화일수는 직선적으로 단축되었는데 장려품종간의 차는 비교적 적었고 도입종과의 차는 컸다. 3. 개화일수의 년간변이는 장려품종들은 극히 적고 도입종들은 매우 컸다. 4. 결실일수도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단축되는데 단축율은 도입종에 비하여 장려품종이 현저하게 적으며 최단결실일수는 도입종이 짧았다. 5. 장려품종과 도입품종이모두 8월상순~9월중순(일장 12.5~13.5시간, 온도 22~)에 생장된 것이 개화일수가 가장 짧았고 이 기간에 결실된 것이 결실일수도 가장 짧았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