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

        8.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다양한 유기재배 작물의 뿌리를 가해하는 굼벵이류의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나, 굼벵이류는 토양 내 발생하는 특징으로 인해 발생시기 및 그 종류에 대한 확인이 어려운 해충이다. 피해를 끼치는 굼벵이의 발생을 파악하기 위해 고구마 유기재배지에 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굼벵이의 성충의 종류 및 발생 동향을 조사하였다. 조사지는 무안 유기재배농가와 국립농업과학원 완주군 포장에서 이루어졌다. 3종의 풍뎅이 페로몬 루어를 유인제로 사용하였으 며 6월 초부터 8월 말까지 조사지에 트랩을 설치하여 포획된 풍뎅이를 수집하여 동정을 하였다. 유기재배포장에서 포획된 종은 큰검정풍뎅이, 콩풍뎅이, 청동풍뎅이, 녹색콩풍뎅이, 별줄풍뎅이 등의 풍뎅이와 흰점박이꽃무지 등이 주로 채집되었다. 유기재배 고구마포장에서 풍뎅이 발생소장을 조사한 결과 최대로 발생한 시기는 7월초였다.
        9.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거미는 산림 및 농작물 해충의 천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겨울철 벼 재배지에서 볏짚이나 논둑 등에 월동한다. 이 연구는 월동시기부터 모내기 전까지 유기 벼 재배지에 서식하는 거미상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거미의 발생을 조사하기 위해 함정트랩을 이용하였고, 농업과학원 유기재배포장에서 2018년 1월 중순부터 5월 중순까지 2주 간격으로 총 8회에 걸쳐 거미를 채집하였다. 조사가 이루어진 논은 거미가 월동 서식처로 이용할 수 있도록 볏짚을 걷어내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였다. 조사 결과 6과 15종 359개체의 거미가 채집되었다. 그 중에서 애접시거미가 119개체(33%)로 가장 많았고, 들늑대거미(23%), 턱거미(17%), 각시긴손접시거미(8%)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4월 중순(7회)에 가장 많은 개체가 채집되었고, 채집이 이루어질수록 거미의 개체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10.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는 육상 및 해양 생태계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농업생태계 역시 이들 생태계에 의존하고 있는 생물 및 인간에게 생물학적, 경제학적, 사회학적으로 다양한 영향을 주고 있다. 기후변화를 쉽게 감지할 수 있는 지표종은 기후변화에 비교적 민감하게 반응을 나타내기 때문에 농업생태계와 같은 경제 사회적 영향을 많이 받는 곳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2017년 농업과학원에서는 농업생태계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을 잘 나타낼 수 있는 식물과 무척처동물 30종을 지표종으로 선정하였다. 30종 중 나비목에 속하는 종으로는 배추흰나비(Pieris rapae), 남방노랑나비(Eurema mandarina), 노랑나비(Colias erate), 호랑나비(Papilio xuthus) 4종이다. 이 연구는 나비 지표종 중 농업생태계에서 가장 풍부하고 확인이 쉬운 배추흰나비를 대상으로 전남, 충북, 경기, 강원지역에서 4월부터 월 1-2회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생물계절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조사는 각 지역에서 논과 밭, 산림 등을 포함하는 경로를 선정하여 30분간 이동하면서 좌우 5m내외 출현하는 나비를 조사하는 선 조사법을 실시하였다. 4월 이후부터 조사한 결과 전남에서는 4월초인 14째 주에 이미 많은 수가 관찰된 반면 충북, 경기 등지에선 15째 주 이후 관찰되기 시작하였다. 강원도에서는 6월 중순인 24째부터 관찰되어 위도별 출현 양상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9월말까지 관찰된 생활사 수는 전남에서는 5회, 경기도에서는 4-5회, 충북에서는 4회, 강원에서는 2회로 지역별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농업생태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배추흰나비가 위도별로 출현시기와 출현횟수를 달리하면서 나타나는 것을 통해 기후변화를 나타낼 수 있는 지표종으로 적절하다고 여겨지며 앞으로도 전국적으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정밀한 출현양상과 미래 분포 변화 모델링 작업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11.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섬은 비록 물에 둘러싸여 고립되어 있지만 서식지 유형이 바닷가부터 산림까지 다양하고 각 서식지마다 다양한 동ㆍ식물이 분포한다. 섬 생물지리학에서 동적평형설(dynamic equilibrium theory)은 섬에 서식하는 생물 종 수가 섬 면적과 육지와의 거리에 따라 결정된다는 이론이다. 대한민국은 3,358개의 섬을 가지고 있는데 이 수는 세계에서 4번째로 많다. 초식성 곤충은 전체 생물종의 1/4을 이루며, 식물을 먹이원으로 하기 때문에 식물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다양한 초식성 곤충의 활동을 알 수 있는 잎의 식흔을 이용하여 섬 생물지리학 이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2017년 6월, 2018년 6~7월에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속해 있는 15개 섬에서 식흔을 알아보았으며 대상 식물은 4개 과(대극과, 자작나무과, 장미과, 참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수이었다. 조사결과 Chewer와 Miner에 의한 식흔은 섬 면적이 클수록 Chewer에 의한 식흔량의 평균값과 Miner에 의한 mine의 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육지와의 거리가 멀수록 Chewer에 의한 식흔량의 평균값과 mine의 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Galler에 의한 식흔은 섬 면적이 클수록 gall의 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육지와의 거리가 멀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결과를 통해, Chewer와 Miner에 의한 식흔은 섬 생물지리학 이론에 일치하는 양상을 보였지만, galler에 의한 초식활동은 이론에서 예측한 결과와는 맞지 않았다. 이 연구를 통하여 일부 초식곤충의 활동이 섬 면적이나 육지와의 거리에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galler와 같은 초식곤충은 일반적인 경향을 따르지 않았으며 이러한 원인에 대한 정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12.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참나무와 서어나무는 온대지역에 걸쳐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다양한 초식곤충의 먹이원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지리산국립공원 온대림에서 참나무림(반선)과 서어나무림(상선암)에서 초식곤충 활동량을 알고자 하였다. 각 조사지역에 0.1ha의 방형구를 설치하여 참나무와 서어나무의 분포를 확인 한 뒤 개체별로 초식곤충의 활동량인 잎 손상 지수를 측정하였다. 잎 손상 지수는 손상 퍼센트로 환산하여 분석하였다. 측정결과 전체 4,413장의 잎을 관찰하였으며, 참나무림에서는 2,683장, 서어나무림에서는 1,730장의 잎이 조사되었다. 초식곤충의 활동량은 참나무림과 서어나무림에서 각각 차이를 보였으며 서어나무림인 상선암에서 참나무의 식흔량과 서어나무의 식흔량 이 참나무림인 반선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온대림 우점 수종인 참나무와 서어나무에서 초식곤충의 활동량을 정량적으로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13.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는 약 4,000여개의 크고 작은 섬들로 이루어져 있고, 그 속에는 다양한 생물종들이 주변 환경과 상호작용하 며 서식하고 있다. 그 중 초식성 곤충은 생물 구성의 1/4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며, 생산자인 식물을 먹고 2차 소비자의 먹이원이 됨으로써 생태계의 중간 고리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속해 있는 크기가 다른 6개의 섬에서 초식성 곤충의 영향을 알 수 있는 식흔과 여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환경요인(섬 면적, 육지와의 거리, 해안선 길이, 최고고도)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식흔을 알아보기 위해 낙엽활엽수인 4개의 수종(참나무속, 벚나무속, 예덕나무속, 오리나무속)을 선정하여 2017년 6월과 9월에 관찰하였다. 이와 함께 초식성 곤충 중 종 다양성이 풍부한 나방을 채집하여 식흔자료와 비교하였다. 조사결과 섬 면적이 커질수록, 해안선의 길이가 길수록, 최고고도가 높을수록 식흔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나방의 종수도 증가하였다. 반면 육지와의 거리가 멀수록 식흔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나방 종수도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초식성 곤충의 다양성과 환경요인이 관련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4.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SFTS) is an emerging tick-borne zoonosis and SFTS virus is transmitted to humans by tick bit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monitor tick population and its SFTS virus infection. During March 2014 to October 2015, ticks were monthly sampled using dry-ice bait trap and flag method from 4 collecting points in Boeun-gun. A total of 16,500 ticks, including 14,646 Haemaphysalis longicornis (88.7%), 1,825 H. flava (11.1%), and 29 Ixodes nipponensis (0.2%), were collected. Ticks were pooled (5,156 ticks in 456 pools) and tested by RT-PCR and nested PCR and the minimum infection rate of ticks was 0.27% (14 pools) consisting of 0.13% H. longicornis (6 pools), 1.19% H. flava (8 pools). This annual surveillance study will be needed for long-term monitoring of ixodid ticks in Korea.
        15.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surveillance of chigger mites was performed to monitor the incidence of scrub typhus vectors at 5 environmental collection points of 3 locations (Muju, Namwon and Gimge) from April 2016 in Jeollabuk-Do, Korea. During the surveillance period, 3,292 chigger mites were collected and the predominant species were Leptotrombidium pallidum (42.9%). The high environmental collecting rates were recorded at reservoir bank (31.6%) and grassfield (29.7%). We detected Orientia tsutsugamushi from the samples collected in Jeollabuk-Do using nested polymerase chain reaction. The specific DNA of O. tsutsugamushi were detected in 11 pools among total 119 pools and its minimum positive rate was 0.35%. In order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higger mites and scrub typhus cases, further survey will be needed.
        16.
        2016.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odamaea ohmeri, previously known as Pichia ohmeri or Yamadazyma ohmeri, is an ascosporogenous yeast that belong to the Saccharomycetaceae family, and it is a rare yeast-form fungus recently identified as an etiological agent of fungemia, endocarditis, urinary tract infection and peritonitis in immunocompromised patients. This paper presents a case of K. ohmeri fungemia in a 70-year-old man with carcinoma of the ampulla of Vater. After receiving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for releasing obstruction of ampulla of Vater by insertion of the biliary stent, he was pyrexial with a temperature of 38.5°C. Two set of blood samples were obtained from a peripheral vein for culture. The pathogen was identified as K. ohmeri using the Vitek YST card (bioMérieux, France) and was confirmed by the sequencing of the D1/D2 domains of the 26S rRNA gene and the internally transcribed spacer region. The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s of the antifungal agents were as follows: amphotericin B 0.5 μg/mL; fluconazole 2 μg/mL; voriconazole ≤ 0.12 μg/mL; fluocytosine ≤ 1 μg/mL. According to the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 Institute recommended breakpoint for Candida spp, the isolate was susceptible to fluconazole, amphotericin B, voriconazole, and flucytosin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the isolation of K. ohmeri in the patient with a gastrointestinal neoplasm following ERCP.
        3,000원
        17.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of ixodid ticks in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SFTS) case reported areas using flagging method from May to November 2014 in Korea. We collected 13,471 ixodid ticks with 2 genera and 3 species. Among them, Genus Haemaphysalis and Ixodes accounted for 99.9% (13,455) and 0.1% (16), respectively. Genus Haemaphysalis consisted of 2 species, H. longicornis (96.2%) and H. flava (3.7%). I. nipponensis was only collected in Genus Ixodes. H. longicornis was the dominant species (over 90%) in most study areas. Ixodid ticks were evenly distributed at various environmental sites, such as residences, hills, grassfields, fields, graves, copses, other sites. The further study on SFTSV infection in ixodid ticks will be needed.
        18.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surveillance of chigger mites was performed to monitor the incidence of scrub typhus vectors at 4 environmental collection points of 6 locations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14 in Korea. During the survey period, 420 chigger mites were collected and the dominant species was Leptotrombidium scutellare (42.6%). The first appearance of chigger mite was at 37th week (9.3.-9.10.) and the collected numbers of chigger mites was the highest at 43rd week (10.17.-10.23.). In Goryeong-gun, 299 chigger mites were collected, whereas 5 chigger mites were collected In Yesan-gun. The high environmental collecting rates were recorded at rice field (56%) and waterway (20%). The annually collected numbers (2012-2014) of chigger mites were compared with the average temperatures in August.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average temperature in August might be related with the annual incidence of scrub typhus vectors in Korea.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te factors and the density of chigger mites needs to be studied by long-term periodical surveillance.
        19.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developed the smart mosquito counter device (height 1080 mm x width 560 mm x diameter 320 mm, 220V 60Hz 30 W), which can attract the blood sucking female mosquitoes by emitting CO2 gas (300ml/min), can count the number of the captured mosquitoes by an infra-red beam area sensor, can identify the some mosquito species by analyzing mosquito image patterns using RGB (Red, Green, and Blue), and can send the captured mosquitoes’ number and pictures through the CDMA module at the real time. We operated the smart mosquito device and we could know when any mosquito peak time was in a day as well as what the mosquito species are and the captured mosquito numbers are. We found that the accuracy of the smart device was about over 95% compared the real mosquito data including numbers and images and transmitted data by CDMA. Because we can know the mosquito occurrence peak times, locations, and mosquito species by this device, we can efficiently control mosquitoes at the right time, and we can alert the public for any mosquito-born diseases based on the mosquito occurrence data. We can improve the quality of mosquito vector control with the functions of this device and we will develop the smart device to identify more mosquito spe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