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풍취의 생육환경조사는 남덕유산(거창), 지리산(중산리, 치밭목, 만복대), 망산(통영), 망운산(남해), 삼신봉(하동) 등 7지역을 대상으로 2023년 4월부터 2023년 10월까지 실시하였다. 단풍취의 높이는 211.76~371.00㎜이고, 평균 298.26㎜이며, 잎의 수는 2.46~4.08개이고 평균 3.43개이다. 엽신의 길이는 63.17~98.10㎜이고, 평균 77.66㎜이며, 엽신의 너비는 85.86~113.70㎜이고, 평균 99.52㎜이며, 엽병의 길이는 53.80~109.40㎜이고 평균 71.34㎜이다. 뿌리의 길이는 172.75~249.55㎜이고, 평균 214.21㎜이며, 뿌리의 수는 13.38~35.85개이고 평균 25.08개이다. 화서의 길이는 107.28~215.88㎜이고, 평균 181.99㎜이며, 화서의 직경은 0.36~1.02㎜이고 평균 0.66㎜이다. 종다양도는 1.1278~1.6393으로 나타났다. 조사지의 토양 pH는 3.9~5.1이고 유기물 함량은 23~92g/kg이며 유효인산은 7~54mg/kg이고 EC는 0.1~1.5Sm-1으로 나타났다.
Ainsliaea acerifolia leaves are registered with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s edible herbal materials in Korea, and research is underway to explore their potential in developing functional foods, cosmetics, and pharmaceutical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 analytical method using HPLC-DAD to quantify three key compounds—chlorogenic acid, isochlorogenic acid A, and 1,5-dicaffeoylquinic acid—in A. acerifolia leaves extract. This method has been optimized and validated for specificity, accuracy, precision, limit of quantification (LOQ), and linearity.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r²) for the calibration curves exceeded 0.9962. The limits of detection (LOD) and quantification (LOQ) were 0.3012 and 0.9128 μg/mL for chlorogenic acid, 0.1182 and 0.3582 μg/mL for isochlorogenic acid A, and 0.2342 and 0.7098 μg/mL for 1,5-dicaffeoylquinic acid, respectively. The net recovery rates for accuracy testing were 105.13% for chlorogenic acid, 105.37% for isochlorogenic acid A, and 100.37% for 1,5-dicaffeoylquinic acid. All parameters assessed with this newly developed method fell within the acceptable ranges specified by ICH guidelines.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method is robust and reliable for accurately identifying and quantifying chlorogenic acid, isochlorogenic acid A, and 1,5-dicaffeoylquinic acid in both routine analysis and large-scale extraction process of A. acerifolia leaves.
본 연구는 차나무식재지 토양에서 LB-CMC 한천배지를 이용하여 목질계 바이오매스 분해능이 우수한 미생물을 분리하고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목질계 바이오매스분해에 우수한 활성을 보이는 3종의 박테리아를 분리하였다. 16S rRNA 유전자를 이용하여 3종의 박테리아를 동정한 결과 모두 Bacillus속에 속하였다. CMC zymogram 분석결과 Bacullus 3종 모두 약 44kDa의 셀룰레이즈가 존재하였다. Bacillus sp. CS1의 최적생장 온도는 37℃였으며, CMCase의 최대활성은 배양 36시간 후였고, xylanase는 배양 후 12시간에 최대활성을 보였다. CMCase와 xylanase의 최적 pH는 각각 5.0이었다. CMCase의 열안정성은 높았지만, xylanse는 열에 불안정한 것을 보였다. Bacillus sp. CS2의 최적 생장온도는 37℃였으 며, CMCase와 xylanaase의 활성은 배양 후 36시간이 가장 높았다. CMCase의 최적 온도와 pH는 각각 37℃와 pH 4.0이었지만, xylanaase의 최적 온도와 pH는 50℃와 pH 5.0이었다. CMCase와 xylanase는 비교적 열에 안정적이었다. Bacillus sp. CS3 최적 생장 온도는 37℃였으며, CMCase와 xylanase의 활성은 배양 후 36시간이 가장 높았다. CMCase 및 xylanase에 대한 최적의 온도와 pH는 37℃와 4.0이었다. CMCase의 열안정성을 보였지만, xylanase는 열에 불안정한 것을 보였다.
We carry out 100-GHz band test observations with the newly-constructed KVN 21-m radio telescopes in order to evaluate their performance. The three telescopes have similar performance parameters. The pointing accuracies are about 4" rms for the entire sky. The main beam sizes are about 30" (FWHMs), which is nearly the diffraction limit of the telescopes at the observing frequency (97 GHz). The measured aperture and main-beam efficiencies are about 52% and 46%, respectively, for all three telescopes. The estimated moon efficiency is ~84% for the KVN Tamna telescope. The first sidelobes appear 50" (~1.6 xFWHM) from the main beam centers and the levels are on average -14 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