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3

        85.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주머니나방과(Psychidae)는 곡식좀나방상과 (Tineoidea)에 속하며 전 세계적으로 241속 1,350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들은 유충시기에 주머니를 만들고 그 속에서 사는 독특한 생활방식과 단순한 암컷의 외부형태 특징 등으로 인해 생태 및 계통학적 연구가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수행된 한국산 주머니나방 과의 분류학적 연구결과를 소개하고 근연분류군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86.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나비목은 나비류와 나방류 합친 분류군으로 전 세계적으로 20만여종이 알려져 있는 거대 동물군 중 하나이다. 이들은 다양한 생태적 특성과 행동양식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오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00년대 초반부터 서양인에 의해 분포연구가 시작된 이래 현재까지 3,867종이 기록되어 있으며 이는 우리나라 전체 곤충 종의 22%정도에 해당된다. 그러나 종합적인 계통학적 연구나 응용분야에 활용을 위해서는 아직까지 연구가 미진한 분류군도 있어 이들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의 나비목 분류연구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연구가 필요한 분류군과 연구분야를 제시하고자 한다.
        87.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가는나방과(Family Gracillariidae)는 나비목 가는나방상과(Superfamily Gracillarioidea)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날개 편 길이가 평균 4-16mm의 작은 나방류이다. 이들은 전 세계적으로 106속 2,000여종이 극지방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미소나방류 중에서도 종 다양성이 높은 그룹 중 하나이다. 특히 가는나방과는 유충 시기에 잎에 굴을 파고 들어가 그 속에서 생활을 하는 독특한 생태 특성을 가지고 있어 방제가 어렵고, 향후 기후 및 환경변화로 인해 해충으로 대발생의 가능성이 높은 분류군이다. 현재까지 가는나방과의 많은 종들이 과수 및 농업해충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생태학 및 해충학적 측면과 더불어 계통분류학적 연구가 필요한 분류군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가는나방과의 분류학적 연구를 통해 이들의 국내분포를 밝히고, 연구현황 및 향후 연구계획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88.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호박꽃과실파리(Bactrocera scutellata)는 박과 식물의 해충으로 기주식물을 찾아가는데 냄새 감각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들의 기주 식물인 단호박, 애호박, 노란호박 및 하늘타리의 냄새물질을 포집하여 이들 추출물에 대한 호박꽃과 실파리의 촉각과 작은턱수염의 냄새반응을 GC-EAD(Gas chromatography-electroantennographic detection) 및 GC-EPD (Gas chromatography-electropalpographic detection)를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촉각과 작은턱수염에 존재하는 냄새감각세 포들에 강한 냄새활성을 나타내는 여러 물질들이 탐지되어, 촉각과 작은턱수염 모두 기주식물의 감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촉각과 작은턱수염에 냄새활성을 나타내는 물질들의 종류는 서로 확연한 차이를 보여서 촉각과 작은턱수염이 기주식물의 냄새물질 탐지에 서로 다른 역할을 할 것이라는 사실을 나타내었다. 우리는 이들 냄새활성물질의 화학구조 동정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들의 구조가 밝혀지면 이들 물질의 호박꽃과실파리 에 대한 행동활성을 조사할 예정이다.
        89.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otesia Cameron is a cosmopolitan genus of the subfamily Microgastrinae. This genus comprises more than hundreds of species (Whitfield et al., 2009). The members of the genus Cotesia parasites on larvae of Macrolepidoptera: Noctuidae, Geometridae and Saturniidae (Achterberg & Polaszek, 1996; Whitfield et al., 2009). Previously, 33 Korean species of the genus have been investigated by several researchers (Kim, 1963; 1970; Ku et al., 2001; Papp, 1974; 1990; 2003). In this study, Cotesia urabae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Diagnosis, distribution, and host information are provided.
        90.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내 과학관 수는 지난 10여년 동안 양적으로는 팽창하고 있으나, 대부분이 중소규모의 과학관으로 인력부족 및 과학전시 컨텐츠 부족에 따라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과학관이 보유하고 있는 전시 컨텐츠의 DB구축 및 정보 공유를 통해 과학관간 상호 교환 및 교류를 촉진할 수 있는 과학관 전시 플랫폼 구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외 선진 과학관의 경우 자연사 컨텐츠의 전산화 및 DB 구축을 통해 대국민 검색서비스를 제공하여 전시품 등을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학관에서 활용가능한 자연사 컨텐츠 중, 곤충을 중심으로 이들의 전시 컨텐츠 발굴 및 DB확보 현황과 향후 플랫폼 구축 계획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91.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Etainia Beirne is one of the small group in the family Nepticulidae (Lepidoptera: Nepticuloidea) and is comprising 16 described species in the world. Among them, just four species have been known from the East Palearctic region. As results of taxonomic studies on Korean nepticulids, two species of Etania, E. peterseni Puplesis and E. trifasciata (Matsumura), are newly recognized from Korea. Description and illustrations of diagnostic characteristics including male genitalia for each species are provided with information of host plants.
        92.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자연생태계 내에서 곤충은 식물과 다양한 관계를 맺고 살아가고 있는 중요한 분류군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대부분의 곤충은 식물을 먹이로 하는데 잎, 줄기 및 뿌리 등 먹이선호도에 따라 가해부위가 다르며, 가해특성에 따라 흡즙성, 저작성, 종자가해성, 혹형성 및 잠엽성과 같은 다양한 기능군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최근에는 곤충에 의한 화분매개의 중요성이 재조명됨에 따라 이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외에도 중요 식물종의 보존과 곤충의 연관성에 초점을 두고 보전의 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방안도 시도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의 곤충과 식물과의 상호관계에 대해 폭넓게 살펴보고 향후 연구가 필요한 분야를 제시하고자 한다.
        93.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최근 산업곤충으로 주목받고 있는 쌍별귀뚜라미의 생산 효율 증대를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온도, 습도에 따른 부화율 및 부화 기간을 비롯하여 사육 밀도에 따른 생존율 및 산란 온도에 따른 산란수를 조사하였다. 적정 부화 상대습도는 90% 조건에서 부화율 90%를 보여 가장 높았다. 온도별 부화율 조사결과 20℃에서 98.3%로 가장 높았다. 또한, 온도별 부화 35℃조건에서 7.1일로 가장 짧게 나타났다. 또한 사육 용기에 3,000~20,000개체를 투입하여 35일간 조사한 밀도별 생존율은 34~18%였다. 쌍별귀뚜라미의 먹이에 채소 급여가 성장에 미치는 특성을 조사한 결과 생존율은 1.8배, 생체중량은 2.5배 높게 나타났다. 온도별 산란수 조사결과 25℃ 조건에서 30일 후 1,710개로 가장 높았다.
        4,000원
        94.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를 통해 잔디주머니나방속이 국내에서 처음 발견되어 보고한다. 잔디주머니나방속내 잔디주머니나방에 대한 성충, 유충, 번데기 등 형태학적 특징을 재기재하였다. 또한 신속한 종 동정을 위한 DNA바코드 정보를 제공하였다.
        4,000원
        95.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최근 유용곤충으로 주목받고 있는 쌍별귀뚜라미의 생산 효율 증대를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부화율, 사육밀도에 따른 생존율, 산란온도에 따른 산란수을 조사하였다. 부화율은 상태습도 30%, 50%, 70% 및 90% 처리구에서 각각 42%, 66%, 82% 및 90%로 나타났다. 사육밀도는 150cm X 60cm X 50cm 용기에 3,000마리, 5,000마리, 10,000마리, 15,000마리, 20,000마리 처리구로 구분하여 수행하였으며, 30℃ 조건에서 부화한 유충이 성충까지 소요된 기간은 약 35일이었다. 생존율은 각각 34%, 31%, 28, 21% 및 18% 이었으며, 성충이 된 후 처리구별 생체 총 중량은 각각 858g, 1,257g, 2.778g, 3,091g 및 3,670g 으로 조사되었다. 산란수 조사는 20℃, 25℃ 및 30℃에서 30일간 조사하였으며, 평균 산란수는 각각 267개, 1,710개 및 1,042개이었다. 산란수 조사 30일 기간 중 10일간 평균 산란수는 각각 220개, 984개 및 647개로 82%, 57% 및 62%로 나타났다.
        96.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변화하는 기후로 인해 외래해충의 유입이 증가하였으며 발달된 교통수단 등으로 인해 새로운 지역으로 확산이 가속화되는 추세(Bale, 2002)이므로 그 중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최근에 침입한 대표적인 흡즙성 해충인 미국선녀벌레를 대상으로 충청지역의 발생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8년 5월부터 8월까지 충남북 관내 주요 행정구역을 대상으로 미국선녀벌레 발생여부와 피해정도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97.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호박꽃과실파리, Bactrocera scutellata (Hendel) (Diptera: Tephritidae),는 호박 등 박과식물의 해충으로 야외 트랩실험을 통해 호박꽃과실파리 수컷이 cue lure와 raspberry ketone에 유인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전자현미경 관찰을 통해 호박꽃과실파리의 촉각(antennae)과 작은턱수염(maxillary palps)에 각각 다른 형태의 냄새감각기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Bactrocera 속 과실파리들의 parapheromone 성분들인 cue lure, raspberry ketone, methyl eugenol, 및 zingerone 등의 물질들이 촉각과 작은턱수염 중 어떤 감각기관에 의해 감지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이 물질들과 식물 냄새성분인 3-octanone에 대한 호박꽃과실파리의 eleltroantennogram (EAG) 및 electropalpogram (EPG) 반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cue lure 및 raspberry ketone은 작은턱수염에서 큰 EPG 반응을 보였으나 촉각에서는 EAG 반응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호박꽃과실파리의 기주식물인 호박에서 방출되는 냄새 성분 중 하나인 3-octanone은 촉각에서 큰 EAG 반응을 나타내었으나 작은턱수염에서는 아주 작은 EPG 반응만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호박꽃과 실파리 수컷에 강한 유인력을 나타내는 cue lure와 raspberry ketone이 촉각이 아니라 작은턱수염에 존재하는 냄새감각세포들에 의해 감지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호박과실파리 등 아직 강력한 유인제가 알려져 있지 않은 다른 과실파리류의 유인제 개발에 유용한 정보가 될 것이다.
        98.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Nipponopsyche Yazaki is reported from Korea with an unrecorded species, N. fuscescens Yazaki for the first time. Adult, larva, pupa and genitalia of the species are redescribed with SEM illustrations, and DNA barcode for precise identification of the species is also provided.
        99.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family Gracillariidae is known as leafminers because of a characters of mining into leaves in their larval stages. This group generally distributed in all the world except Antarctica, comprising 1,966 described species of 106 genera. In Korea, the family Gracillariidae is known as 3 subfamily, 14 genera of 59 descried speci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port four newly recorded species as follow: Liocrobyla desmodiella Kuroko, Parornix loganella (Stainton), Psydrocercops wisteriae (Kuroko) and Spulerina corticola Kumata. All the available information including their host plants, images for adult and genitalia, patterns of mining and distributional range is provided.
        100.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family Opostegidae (Lepidoptera: Nepticuloidea) is a small group that is comprising 192 described species with eight genera in the world. In Korea, only one species, Opostegoides minodensis (Kuroko), has been recorded since Park made a report on the distribution of the species in 1983. As results of taxonomic studies on the family, we discovered a newly recorded species, O. omelkoi Kozlov,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All the available information including distributional ranges and host plants is provided with images of diagnostic characteristics of adult and male genitalia.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