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presents a new feature representation method, named two- dimensional orthogonalized Fisher discriminant analysis(2D-OFD). The method adopts the 2D-LDA and orthogonalization of Fisher vector. It produces the small size scatter matrix than 1D method. Therefore it can evaluate the scatter matrix accurately. In addition, it is not suffered from small sample size problem. The orthogonalization eliminates the linear dependences among Fisher's discriminant vectors. As a result, it promotes the discriminant capability of the 2D-LDA. The proposed method is tested on the ORL face image database. We test our method 10 times. For each experiment, five training images are randomly chosen each person and the other five images are used for testing. The test show that the average recognition rate is 96.2%. When the image is downsampled to 28x23 matrix to reduce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the average recognition rate is 95.9%.
        3,000원
        2.
        2017.11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홍국쌀에서 분리한 M. purpureus KCCM 60570을 찐 쌀에 1.0% (w/w) 접종 후 25℃에서 배양하면서 홍국쌀 제조 조건 확립 및 품질 특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존의 두부 셰이크에 홍국쌀을 첨가한 두부 셰이크의 기호도 조사를 통해 적정한 혼합비율을 결정하고, 품질 특성을 확인하였다. M. purpureus KCCM 60570으로 제조한 홍국 쌀의 monacolin K와 곰팡이수를 확인한 결과 배양 8일차까지 급격히 증가하다가 이후 완만히 증가하여 홍국쌀의 적정 제조온도 및 시간은 25℃에서 8일로 나타났다. 기존의 두부 셰이크에 M. purpureus KCCM 6057으로 25℃에서 8일간 제조한 홍국쌀을 서로 다른 농도로 첨가한 두부 셰이크의 관능검사 결과 맛, 향, 조직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0.5% (w/w) 홍국쌀을 첨가한 두부 셰이크의 기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두부 셰이크의 적정 홍국쌀 혼합 비율은 0.5% (w/w)인 것으로 나타났다. 홍국쌀을 0.5% (w/w) 첨가 한 두부 셰이크와 기존 시판 두부 셰이크의 품질 특성을 비교한 결과 홍국쌀 첨가 두부 셰이크의 환원당과 총당 함량, 붉은 색소인 monacolin K와 색도 a 값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존 두부 셰이크와 0.5% (w/w) 홍국쌀을 첨가한 두부 셰이크와의 관능검사를 비교한 결과 색과 조직감이 좋은 것으로 나타나 두부 셰이크 제조에 홍국쌀을 첨가할 경우 두부 셰이크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2015.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항암 등의 기능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 진 개똥쑥 추출물을 첨가하여 김치를 제조하여 김치 품질 특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개똥쑥의 물 또는 70% 에탄올로 추출물 1 또는 2% 첨가하여 김치를 제조하고 10, 15℃에서 20일간 숙성하면서 pH, 산도, 환원당, 생균수 및 젖산균수 의 변화 및 관능조사를 하였다. 개똥쑥의 첨가여부와는 관 계없이 pH, 산도 환원당, 생균수 및 젖산균수는 저장 4∼6일 까지 증가하고 이후 완만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개똥쑥 추출물이 김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똥쑥 추출물 첨가 김치의 적정 숙성온도 및 기간은 10℃에서 10일간이었다. 관능검사의 경우 맛, 향 등의 기호도에서 전반적으로 개똥쑥 물 또는 에탄올 추출물 1%를 첨가하여 제조하는 것이 좋았으나 개똥쑥 물 또는 에탄올 추출물 2%를 첨가한 김치는 쓴 맛과 검은 색 등으로 인해 기호도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개똥쑥 물 또는 에탄올 추출물은 김치 제조에 1%를 김치 제조에 첨가 하는 것이 적당한 것으로 사료된다.
        4.
        2013.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establish the optimal manufacturing conditions of soybean koji, soybean Koji prepared with Aspergillus oryzae 6-M-1 and Bacillus subtilis 3-B-1 isolated from traditional Korean meju. During 7 days of making Koji, the amount of amino-type nitrogen was getting more increase. The amount of amino-type nitrogen of Koji prepared with A. oryzae 6-M-1 was 686.16 mg% (w/w), that of Koji with B. subtilis 3-B-1 was 643.46 mg% (w/w) at seventh day of making Koji. The α-amylase activity of Koji prepared with A. oryzae 6-M-1 was 1472.54 unit/g, that of Koji with B. subtilis 3-B-1 was 791.00 units/g on the seventh day of the making. The acidic protease activity of Koji prepared with A. oryzae 6-M-1 was 309.00 unit/g, that of Koji with B. subtilis 3-B-1 was 135.88 unit/g at 7th day of making. The amount of amino-type nitrogen and enzyme activities of soybean Koji prepared with A. oryzae 6-M-1 and B. subtilis 3-B-1 were produced more than those of wheat flour Koji made in factory. Sensory evaluation on a commercial doenjang and doenjangs prepared with A. oryzae 6-M-1 and B. subtilis 3-B-1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