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2.
        2014.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가면역성 췌장염이나 IgG4 연관 경화성 담관염은 간을 침범할 수 있으며 종괴의 형태를 보일 수 있는데 이런 경우 악성 병변과의 감별 진단이 매우 중요하다. 저자들은 영상 진단 검사에서 췌장염의 소견 없이 간 문맥 혈전증과 문맥 주변으로 침윤하는 소견을 보이는 종괴에서 생검을 통한 조직 검사를 통해 IgG4 연관 경화성 담관염과 연관된 염증성 병변으로 확진할 수 있었던 증례를 경험하여 문헌고찰과 함 께 보고한다.
        4,000원
        3.
        200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산후조리용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기능성 식품을 섭취하지 않은 정상 임산부 54명 (대조군)과 섭취한 임산부 51명(실험군)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 평균연령은 대조군이 29.3세, 실험군이 29.1세였고, 임신전 체질량지수는 대조군이 22.8, 실험군이 22.3으로 대조군이 약간 높았으나, 모두 정상범위였다. 대조군과 실험군의 임신중 총 체중증가는 대조군이 19.1kg, 실험군이 17.8kg이었다. 만삭시 체중 및 출산 직후 체중은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출산 1개월 후 체중변화는 대조군이 0.4kg 감소되었고, 실험군이 0.7kg 감소되어 두 군간의 유의한 체중변화는 관찰할 수 없었다 출산 2개월 후 체중변화는 대조군이 2.3kg 감소되었고, 실험군은 6.5kg 감소되어 실험군에서 유의한 체중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다 (p<0.01). 출산 3개월 후 체중 변화는 대조군이 3.7kg 감소되었고, 실험군은 9.8kg 감소되어 실험군에서 유의한 체중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다 (p<0.01). 출산 1년 후 체중감소는 대조군은 5.0kg, 실험군은 10.4kg으로 유의한 감소가 있었으며 (p<0.01), 출산 1년 후 체질량 지수도 대조군 25.7, 실험군 21.6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4,000원
        4.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hlorella which effected the change of Pb contents, enzyme activity and lipid compounds on the rats fed the beverage involved Pb and the different contented Chlorella added-diets for 18weeks. The rat`s weight of 200ppm Pb group was decreased 6.04% and the cause of that was Pb intake. But the rat`s weight of Chlorella added-diets+200ppm Pb group was increased 4.02%(p<0.01). When feeding the different(0%, 2%, 5%, 10%) Chlorella added-diets with the Pb contented beverage to the rats, we could know that the Pb contents accumulated on tissue were decreased to 20.70(0%), 12.88(2%), 14.83 (5%) and 19.56(10%), compared with the quantity of Pb taken in. Total-cholesterol, triglyceride, glucose content and AST, ALT, ALP, LDH enzyme activity in serum were the highest on 200ppm Pb group and those were decreased by the order of different (2%∼5%>10%) Chlorella contents +200ppmPb group. A significance was recognized on the level of 1%. Therefore, when rats were exposed to Pb, it was thought that the amount of Chlorella intake was adequate on content 2∼5% for reducing the lead toxicity.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