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유충을 사육상자(가로 543 × 세로 363 × 높이 188 mm) 안에서 뽕나무 발효톱밥 기반 사료 를 이용하여 집단으로 사육할 때(25°C, 16:8 L:D), 투입될 수 있는 갓 부화한 유충의 밀도를 검토하였다. 100-175마리 투입구는 90일후 생존율 이 80% 이상으로 사육밀도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200마리 밀도에서는 생존율이 약 10% 이상 감소하였다. 100-150마리 밀도에서 유충 평균 무게는 처리 밀도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175마리와 200마리 밀도에서는 100마리 밀도에 비해 유충 무게가 유의하게 낮았다. 사 육밀도가 낮을수록 유충 무게가 더 빨리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100-150마리가 처음 투입밀도로 적절하다고 판단하였다. 두 번째 실험으로, 종령 유충을 저온에 보관하는 조건을 검토하였다. 종령 유충을 4개의 무게 집단(1.8-2.0, 2.0-2.3, 2.3-2.5, 2.5 g 이상)으로 구분하여 4, 8, 10°C에 보관하였을 때, 4°C에서는 70일 보관된 유충들은 무게에 관계없이 모두 사망하였다. 그러나 8°C에서는 70일 보관집단에서 약 80%의 유충이 생존하였다. 보관하는 유충의 무게가 무거울수록 생존율이 높았다. 4°C 보관에서는 무게가 2.3 g 이상인 유충을 50일까지 보관한 후 우화 한 성충들만 적은 수의 산란을 하였다. 8°C와 10°C 처리에서는 유충 무게에 관계 없이 모두 산란을 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무게가 2.3 g 이상 인 흰점박이꽃무지 종령 유충을 8°C에서 30-50일 범위에서 저장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4,000원
        2.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뽕나무, 복분자, 블루베리의 전정 가지 대부분은 버려지고 있다. 따라서, 이들 버려지는 전정 가지를 활용하여 흰점박이꽃무지의 사육 가능 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발육 및 산란 특성을 조사하였다. 베리류 발효톱밥을 먹인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육 기간은 뽕나무 발효톱밥 157.3일, 복 분자 발효톱밥 130.3일, 블루베리 발효톱밥은 140일로 참나무 발효톱밥 169.3일에 비하여 짧아지고, 유충 무게가 증가하였으며, 생존율이 높았 다.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집단 사육시 2.5 g 이상인 유충 비율은 3종류의 발효톱밥 모두 6주에서 8주사이에 60% 이상인 반면 같은 기간에 참나무 발효톱밥은 10% 이내였고, 10주가 지나야 2.5 g 이상인 유충의 비율이 높아졌다. 흰점박이꽃무지의 평균 산란수는 80개 이상으로 평균 산란기 간은 9주정도 소요되었지만, 개체당 편차가 커서 유의차는 없었다. 3종류의 베리류 발효톱밥은 서로 혼합하여 사용해도 참나무 발효톱밥에 비해 유충 발육속도가 빠르고, 산란수는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흰점박이꽃무지를 사육하는데 있어서 베리류 발효톱밥이 참나무 발효톱밥에 비하여 효과적으로 추정된다.
        4,000원
        3.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전북 부안지역에서 채집한 긴날개여치의 발육 및 산란특성을 조사하였다. 긴날개여치(Gampsocleis ussuriensis Adelung)는 저수지 주변 잡초가 우거져 있는 곳에서 주로 발견되었고, 야외에서는 성충이 7월 중순 출현하여 9월 상순까지 나타났다. 알 상태로 겨울을 보내고 이듬해 4월 상순부터 7월 중순까지 약충이 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내에서는 4월 상순 이후 부화한 약충은 5회 탈피를 하고, 성충이 되었다. 긴날개여치 산란기간은 약 58일 정도 소요되었다. 암컷 한 마리당 총평균산란수는 124개였으며, 성충수명은 암컷 95.6일, 수컷 84.8일이었다. 산란매트로는 마사토와 코코피트를 7:3으로 섞은 것이 가장 좋았다. 온도별 발육기간은 24℃에서 64.1일로 가장 길었고, 온도가 높을수록 발육기간이 짧아지고, 생충률은 32℃에서 77.8%로 가장 좋았다. 긴날개여치 약충 사육밀도는 사육밀도가 높을수록 생존율은 떨어지고, 발육속도가 빨라지며, 영기별 탈피속도가 빨라지는 경향이었다.
        4,000원
        4.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뽕나무발효톱밥을 이용한 흰점박이꽃무지의 사육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발육 및 산란 특성을 조사하였다.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발육기간은 25, 28, 30℃에서 각각 164.0일, 73.3일, 64.8일로 온도가 높을수록 짧아졌다. 평균 유충 최고 무게는 25℃에서 2.94 g으로 가장 높았으며 온도가 높아질수록 유충 무게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우화한 암컷 성충의 평균 무게는 25, 28, 30℃에서 각각 0.94 g, 0.51 g, 0.54 g이었 으며 수컷 성충 무게가 암컷보다 무거웠다. 뽕나무톱밥에 밀기울을 10% 또는 30% 첨가하여 발효시킨 것이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육에 양호하 였다. 유충 집단 사육시 2.5 g 이상인 유충의 누적비율이 75% 정도인 사육 후 75일부터 유충 판매가 가능하였다. 흰점박이꽃무지의 평균 산란수 는 83.2개이었으며, 우화 후 3~8주 사이에 전체 산란수의 73%가 산란되었고, 5주째 산란수가 가장 많았다.
        4,000원
        5.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포식성이리응애류는 섭식행동이 왕성한 천적군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수의 종들이 상업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에 우리는 국내 토착 포식성이리응애의 이용도를 탐색하였다. 2012년까지 국내에서 서식이 보고된 포식성이리응애류은 47종을 대상으로 구글 학술검색을 이용하여 논문수를 조사한 결과, 사막이리응애가 3,560개로 가장 많은 수가 검색되었다. 천개 이상의 논문이 검색된 종은 서양이리응애(3,160개), 나팔이리응애(1,590개), 순이리응애(1,510개), 대중이리응애(1,260개), 긴털이리응애(1,190개), 동양이리응애 (1,020개)이었다. 백개 이상의 논문이 검색된 종은 긴꼬리이리응애(314개), 알락이리응애(109개), 엷은줄이리응애(345개), 북방이리응애(143개), 꽃무늬이리응애(200개) 등 5종이었다. 이 중 전세계적으로 상품화가 보고된 종은 사막이리응애, 서양이리응애, 나팔이리응애이다. 국내에 서식이 보고되지 않았으나, 국내외 농업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지중해이리응애는 5,060개가 보고되었다. 긴꼬리이리응애는 국내에서 47종의 식물에서 서식하여 가장 많은 식물 종에서 발견된 포식성이리응애로 농업해충인 점박이응애, 총채벌레류, 가루이류를 포식하며, 농업해충 외에 농작물해충이 아닌 긴털가루응애, 설탕응애, 꽃가루 등의 섭식을 확인하여 앞으로 국내에서 농업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천적으로 활용여부에 대한 적극적인 검토가 요구된다.
        6.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5년부터 2016년까지 전북지역 오디 생산용 뽕나무에서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와 명주달팽이(Acusta despecta Sowerby) 2종을 포함하여 총 33종의 해충이 조사되었다. 그 가운데 뽕나무총채벌레(Pseudodendrothrips mori Niwa)를 포함한 8종이 주요 해충 으로 분류되었다. 수확 전에는 총 25종이 조사되었는데, 그 가운데 뽕나무총채벌레(P. mori), 뽕나무이(Anomoneura mori Schwarz), 뽕나무깍지 벌레(Pseudaulacaspis pentagona Targioni Tozzetti), 뽕나무애바구미(Baris deplanata Roelofs), 뽕나무가지나방(Menophra atrilineata Butler),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 6종이 주요 해충으로 분류되었다. 수확 후에는 총 25종이 조사되었는데, 그 가운데 뽕나무총채벌레(P. mori), 뽕나무깍지벌레(P. pentagona), 뽕나무명나방(Glyphodes pyloalis Walker), 미국흰불나방(Hyphantria cunea Drury), 점박이응애(T. urticae) 5종이 주요 해충으로 분류되었다. 오디용 뽕나무에서 발생하는 해충은 조사지역에 따라 달랐으나, 뽕나무총채벌레 등 주요 해충 8종과 베짱이(Hexcacentrus unicolor Serville), 뽕나무노린재(Malcus Japonicus Ishihara et Hasegawa), 썩덩나무노린재(Halyomorpha halys stal), 오 리나무좀(Xylosandrus germanus Blandford), 나방류 4종(Bombyx mandarina Moore, Euproctis subflava Bremer, Acronicta major Bremer, Agrotis trifurca Butler) 및 명주달팽이(Acusta despecta Sowerby)는 모든 조사지역에서 발생되었다.
        4,000원
        7.
        2001.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ject : This study is designed to evaluate the clinical therapy of acupuncture by the data of DITI(Digital Infrared Thermographic Imaging) and FNT(Facial Nerve stimulation Test) examination and the changes of clinical symptoms after the therapy of acupuncture in the patients with Bell's palsy. Contents : The conservative therapy with acupuncture was performed during 1-8weeks. The acupuncture points of S4, S6, G14, S2, BL2, SI18, TE23, LI4 and S36 were used. In the pre- and post therapy, DITI examinations was performed in patients who had Bell's palsy and were treated by acupuncture, and then tried to correlate the results of clinical symptoms with the difference of thermographic findings. And FNT examinations were performed in the same patients above, and then tried to correlate the results of clinical symptoms with the difference of nerve response findings. Setting : The standard routine thermographic examination with thermography (DITI) and nerve response with FNT(Facial Nerve Stimulation Test) were performed in the 16 patients with Bell's palsy at pre- and post acupuncture. Patients : Thermographic imaging of 16cases was analyzed. They had diagnosed Bell's palsy. They were treated by acupuncture and moxibustion therapy in Wonkwang Oriental Hospital from Jauary, 1999 to February, 2000. Results : 1) The results of treatment showes that 56.25% of patients achieved clinical excellent recovery and 31.25% achieved good recovery. After compairing the DITI results before and after treatment, we found 43.75% of patients achieved excellent recovery and 43.75% achieved good recovery. 2) After compairing the FNT results before and after treatment, we found 25% of patients achieved excellent recovery and 56.25% achieved good recovery. Conclusion : 1) Acupuncture showed good results over 87.5% in clinical evaluation and 87.5% in DITI. Thermographic examination showes terapeutic effect of acupuncture treatment. 2) Acupuncture showed good results over 87.5% in clinical evaluation and 81.25% in FNT. FNT showes nerve response recovery effect of acupuncture treatment.
        5,1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