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의 과학 정체성에 비추어 과학교사의 과학 정체성, 즉 교사의 과학 정체성을 규명하고, 학생의 과학 정체성을 길러주기 위한 교사 과학 정체성을 신장하는 방안을 탐색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력 10년 이상의 중·고등학교 현직 과학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 심층 면담을 실시하고, 이를 질적 텍스트 분석 및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다차원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는 교사들은 교사 과학 정체성이 학생의 과학 정체성 형성에 있어서 ‘관심’ 차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과학교사의 과학 정체성은 ‘자기이해를 통한 과학 정체성 인식’, ’교사로서 정체성 일반’, ‘과학교사 교수역량’, ‘과학교사의 역할과 신념’, ‘과학교사의 과학적 탐구 능력’ 등의 다섯 가지 요인으로 구성됨을 확인하였다. 교사 정체성은 고정된 실체가 아니라 교직 경력 전반에 걸쳐 끊 임없이 변화하고 구성되는 역동적인 것으로, 전문성 개발을 위한 연수, 동료 교사와의 협력 및 소통, 수업 컨설팅과 자 기성찰을 통해 신장될 수 있다고 교사들은 제안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생 과학 정체성과는 달리 교육적 역량을 포함하는 복합적인 개념으로서 교사 과학 정체성의 의의, 학생 과학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교사 과학 정체성과 그 신장 방안, 교사경력 전반에 걸친 ‘되기(Becoming)’의 과정으로서 교사 과학 정체성 형성 등과 같은 결론과 후속 연구를 제시하였다.
We carry out the study of 850 μm sources in a part of the XMM-LSS field. The 850 μm imaging data were obtained by the SCUBA-2 on the James Clerk Maxwell Telescope (JCMT) for three days in July 2015 with an integration time of 6.1 hours, covering a circular area with a radius of 15′. We choose the central area up to a radius of 9.′15 for the study, where the noise distribution is relatively uniform. The root mean square (rms) noise at the center is 2.7 mJy. We identify 17 sources with S/N > 3.5. Differential number count is estimated in flux range between 3.5 and 9.0 mJy after applying various corrections derived by imaging simulations, which is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For detailed study on the individual sources, we select three sources with more reliable measurements (S/N > 4.5), and construct their spectral energy distributions (SEDs) from optical to far-infrared band. Redshift distribution of the sources ranges from 0.36 to 3.28, and their physical parameters are extracted using MAGPHYS model, which yield infrared luminosity LIR = 1011.3−1013.4 L⊙, star formation rate SFR = 101.3−103.2 M⊙yr−1 and dust temperature TD = 30−53 K. We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LIR and TD, which appears to be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