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자생하고 있는 팥배나무 11개 집단으로부터 잎의 형태적 특성과 변이를 조사하여 조경수로서의 팥배나무 선발 및 육종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잎의 형태적 특성 12개를 조사하고 집단 간 차이를 비교한 결과 11개 특성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다. 특히 잎의 길이와 너비, 엽면적 등 잎 크기와 관련된 인자들은 마니산 집단이 모두 상위그룹에 속하여 비교적 큰 경향을 나타냈으나, 백운산과 두륜산은 하위 그룹으로 분류되어 비교적 작은 경향을 나타냈다. 주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제1 주성분은 29.9%의 설명력이 있으며 엽면적, 잎의 너비, 잎의 길이 순으로 높은 상관을 나타내어 잎의 형태적 차이를 설명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고, 제5 주성분까지 72.9%의 누적 설명력을 나타냈다. 제5 주성분까지의 득점치를 새로운 변량으로 하여 유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Ⅰ그룹인 광교산과 안면도 집단, Ⅱ그룹인 덕유산 등 3집단, Ⅲ그룹인 발왕산 등 3집단, Ⅳ그룹인 가지산과 축령산 집단, Ⅴ그룹인 마니산 집단 등 5개 그룹으로 분류되었고, 지리적으로 인접 집단 간의 구분은 명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마가목屬 4종류의 엽의 형태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엽형과 엽선 및 엽소질과 같은 정성적 형질은 4종류 모두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의 엽형(lanceolate)을 보였으며 엽선은 점첨두(acuminate)로 표면에 털이 없고 밋밋하여 평활(glabrous)한 특성을 보였다. 복엽길이 등 11가지의 정량적 특성 조사 결과는 당마가목 geqq유럽마가목>마가목geqq산마가목 순의 경향으로 종간 유의적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소엽수와 복엽 및 정소엽형지수를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relation of the species of genus Sorbus in Korea based on multivariate analysis for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NA polymorphism. Twenty-eight quantitative characters were assessed and analyzed by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UPGMA cluster analysis. From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28 quantitative characters, three principal components (PC’s) explained the variation of inter-specific relations among the genus Sorbus. The first PC’s explained 58.95% of the variation with the Eigenvalue of 16.5, and the second and third PC’s showed the Eigenvalue of 8.3 and 3.1 and explained 88.74% and 100.0% of the variation, respectively. Especially, the first PC’s was related in order of the fruit width (FW) and length of terminal leaflet (LTL), petal length (PL), width of terminal leaflet (WTL), and diameter of winter bud (DWB). The second and third PC’s were involved in order of the No. of leaflet (NL), No. of fruit per fruiting lateral (NFL), length of upper rachis (LUR), and diameter of rachis (DR), No. of pistil (NP), respectively. Cluster analysis using them UPGMA method based on the principal components of four species of the genus Sorbus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Ⅰ comprises Sorbus commixta and S. sambucifolia var. pseudogracilis, and Group Ⅱ consists of S. amurensis and S. aucuparia. The pattern of DNA polymorphism of the 56 inter-simple sequence repeat (ISSR) markers revealed that different taxa shared different sets of bands, and DNA analysis is useful for taxonomic study on the genus Sorb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