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is study, we report the first occurrence of the filamentous green macroalga Basicladia okamurae (Cladophorales, Chlorophyta) from Korea. This species was originally described as Chaetomorpha okamurae by Ueda in 1932 in Japan and was later transferred to the genus Basicladia. Basicladia okamurae (Ueda) Garbary 2010 has also been found in China and the Netherlands, supported by morphological and molecular evidence. We collected several filamentous green algal individuals from the freshwater stream Sanhocheon (Changwon-si, Republic of Korea) and identified the species as B. okamurae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nuclear ribosomal large subunit (LSU) rDNA sequence analysis. The LSU rDNA sequences of the Korean B. okamurae exhibited 99.8-100% similarity with those of B. okamurae deposited in GenBank (NCBI) and could be distinguished from other species in the order Cladophorales, which showed less than 91.2% similarity. Based on this morphological and molecular evidence, we confirm the species identification as an unrecorded B. okamurae (Ueda) Garbary.
기후변화로 인해 국내에서의 기온, 강수량, 호우일수가 증가 할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토양 답압과 높은 불투수면적 비율이 나타나는 도심지를 중심으로 정원과 공공녹지에 활용되는 식물 소재에 있어 내침수성이 중요한 특성으로 부각될 가능성이 높 다. 그러나 내침수성 식물소재에 대한 대다수의 문헌은 재배경 험이나 각 종의 서식지 환경에 기반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실험 적 검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토양수분함량이 높은 서식지에서 기원한 골등골나물(Eupatorium lindleyanum DC.), 새등골나물(E. fortunei Turcz.), 좀개미취(Aster maackii Regel) 3개 종과 중간인 서식지에서 기원한 까실쑥부쟁이 (A. ageratoides Turcz.) 1개 종의 침수조건에 대한 생육반응 비교로 서식지 환경이 내침수성 평가의 유효한 지표인지 알아보 고자 하였다. 실험대상 종을 6주간 무처리(대조구), 5일 침수처리, 7일 침수처리한 결과, 골등골나물과 새등골나물은 대조구와 처리구간 생육반응에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아 높은 수준 의 내침수성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좀개미취는 생장반응이 처리구에서 대조구 대비 유의하게 감소하여 내침수성은 제한적 인 것으로 보였으나, 5일 침수처리구에서 광계 II의 최대양자효 율(Fv/Fm)이, 두 처리구 모두에서 지상부 대비 지하부의 비율 (R/S율)이 대조구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침수조건의 해 소 후 회복 가능성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까실쑥부쟁이는 처리 4 주차에 모든 처리구에서 100%의 고사율을 보여 내침수 성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결론적으로, 서식지 환경 은 내침수성과 관련이 있다 할 수 있었으나, 내침수성의 정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토양수분함량 외 다양한 환경요소들을 함께 고려해야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실내 관상용으로 많이 활용되는 스킨답 서스의 실내재배 시 적정 인공광원, 수경재배 전기전도도 농 도 및 용토를 선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실내재배 시 인공 광원은 형광등, 적청 LED, 백색 LED로 처리하였다. 수경재배 시 양액 농도는 EC 1.2, 1.6, 2.0ds·m-1 수준으로 하였고, 재 배용토는 제올라이트, 코코피트, 펄라이트, 황토볼 4가지로 달리하였다. 스킨답서스의 실내 재배 시 줄기 길이는 형광등 과 적청 LED 처리보다 백색 LED 처리에서 길어졌다. 잎의 크기는 적청 LED 처리에서 형광등과 백색 LED 처리보다 커 지는 경향이었다. 엽록소 지수값은 백색 LED>적청 LED>형광 등 순으로 높았다. 수경재배 시 스킨답서스의 줄기길이는 EC 농도가 높아질수록 길어지는 경향이었고, 용토별로 비교하면 제올라이트와 코코피트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엽록소 지수값 도 EC 농도와 비례하여 높아졌고, 용토별로는 제올라이트와 코코피트에서 높았다. 스킨답서스의 생체중도 EC 농도가 높 을수록 높았고, 제올라이트와 코코피트에 높은 경향이었다. 상기 결과들을 종합할 때, 스킨답서스의 NFT를 이용한 실내 재배 시 적정 인공광원으로는 백색 LED를, 수경재배 양액의 농도는 EC 1.6∼2.0ds·m-1를, 그리고 NFT 용토는 제올라이 트나 코코피트가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main goal of the Korean VLBI Network Calibrator Survey (KVNCS) is to expand the VLBI calibrators catalog for KVN, KaVA(KVN and VERA Array), EAVN(East-Asian VLBINetwork), and other extended regions. The secondKVNCS (KVNCS2) aimed to detect VLBI fringes of new candidates for calibrators in the K band. Out of the 1533 sources whose single-dish flux density in the K band was measured with KVN telescopes (Lee et al. 2017), 556 sources were observed with KVN in the K band. KVNCS2 confirmed the detection of VLBI fringes of 424 calibrator candidates over a single baseline. All detected sources had a high Signal-to-Noise Ratio (SNR) of >25. Finally, KVNCS2 confirmed 347 new candidates as VLBI calibrators in the K band, resulting in a 5% increase in the sky coverage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The spatial distribution was quasi-uniform across the observable region (Dec. > −32.5◦). In addition, the possibility as calibrator candidates for the detected sources was checked, using an analysis of the flux-flux relationship. Ultimately, the KVNCS catalog will not only become the VLBI calibrator list but is also useful as a database of compact radio sources for astronomical studies.
Intermuscular fat is essential for enhancing the flavor and texture of cultured meat. Mesenchymal stem cells derived from intermuscular adipose tissues are a source of intermuscular fat. Therefore, as a step towards developing a platform to derive intermuscular fat from mesenchymal stem cells (MSCs) for insertion between myofibrils in cultured beef, an advanced protocol of intermuscular adipose tissue dissociation effective to the isolation of MSCs from intermuscular adipose tissues was developed in cattle. To accomplish this, physical steps were added to the enzymatic dissociation of intermuscular adipose tissues, and the MSCs were established from primary cells dissociated with physical step-free and step-added enzymatic dissociation protocols. The application of a physical step (intensive shaking up) at 5 minutes intervals during enzymatic dissociation resulted in the greatest number of primary cells derived from intermuscular adipose tissues, showed effective formation of colony forming units-fibroblasts (CFU-Fs) from the retrieved primary cells, and generated MSCs with no increase in doubling time. Thus, this protocol will contribute to the stable supply of good quality adipos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ADMSCs) as a fat source for the production of marbled cultured be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