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구소련 지역 출신 귀환 고려인의 사회자본 형성과 타자화 경 험을 질적으로 탐색하였다. 고려인은 ‘한민족’이라는 상징적 동일성을 지 녔지만 제도적으로는 ‘외국인’으로 분류되어 복지, 교육, 행정 등 공공영역 에서 반복적인 경계화와 배제를 경험하고 있다. 본 연구는 귀환 고려인이 수행하는 정체성과 사회통합의 조건을 해석적 현상학적 접근(IPA)을 적용 하여 심층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고려인 공동체의 대표 활동가 4인을 대상 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는 사회자본 이론(Bourdieu, Coleman, Putnam)과 탈식민주의 이론(Said, Bhabha)을 통합적으로 활 용하여 분석틀로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제도적 타자화, 구조 자본의 결 핍, 관계 자본의 양가성, 인지 자본의 불균형, 혼종적 문화 수행성, 경계적 정체성 수행 등 여섯 가지 핵심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귀환 고려인은 이러 한 복합적인 사회적 배제와 정체성의 경계성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들은 제도적으로 배제되었지만, 문화적 혼종성과 수행적 정체성을 통해 민족국 가 중심의 시민권 담론 경계를 교란하였다. 본 연구는 고려인을 단순 귀환 이주자가 아닌, 탈 식민주의적 관점에서 ‘경계적 시민권자’로 개념화하여 이들의 삶과 정체성을 구조적·문화적으로 해석하고 한국 사회의 포용적 시 민권 재구성을 위한 이론적·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radioactive waste generated within radiation-controlled areas is classified and processed according to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based on contamination levels. In cases where such radioactive waste complies with the legally defined clearance concentration or dose criteria, it is disposed of as non-radioactive waste by means of incineration, reclamation, recycling, etc. Within radiation controlled areas, various consumables are periodically replaced to ensure the proper operation of the area. It is necessary to have appropriate disposal methods for these consumables. In particular, waste items such as fire extinguishers, fluorescent lamps, batteries, and pressure vessels (hereinafter referred to as “Special Waste Type”), which may contain hazardous substances within their internal components and contents, should be considered for appropriate disposal methods that comply with nuclear safety and environmental laws. In the present case, the specified special waste type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 radiation sources, and they have impermeable surfaces, which significantly reduces the risk of external contamination infiltrating the interior. However, the current method of clearance is not suitable for these items (Typically, nuclear energy-related business operators are required to classify clearance target waste based on internal and external components and demonstrate compliance with the criteria. Nevertheless, for special waste type, it is difficult to separate and measure internal and external components within the radiation-controlled area). In this case, the Clearance Procedure for special waste type applied to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was introduced. Additionally, we have extracted considerations for future domestic clearance of the ty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