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ground: The progressive digitalization of contemporary life, coupled with prolonged sedentary behavior, has contributed to the widespread occurrence of forward head posture (FHP) in the general population. Among the various exercise interventions aimed at correcting FHP, stretching exercises and proprioceptive training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retching exercises and proprioceptive training on craniovertebral angle (CVA), an indicator of forward head posture (FHP), and on the muscle tone of the suboccipital muscles. Desig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Thirty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stretching exercise group (n=15) or the proprioceptive training group (n=15), and each group underwent intervention three times per week for six weeks. CVA and muscle tone of the suboccipital muscle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six-week intervention, and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for comparison. Results: Both group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CVA after the intervention (P<.05),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The muscle tone of the suboccipital muscles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either within or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 Six weeks of stretching exercise and proprioceptive training both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CVA, demonstrating that both interventions are effective in improving FHP. However, neither intervention produced significant changes in the muscle tone of the suboccipital muscles.
곤충호텔은 곤충이 서식할 수 있도록 인위적으로 만든 구조 물로서 정원이나 텃밭 등 다양한 곳에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식생유형, 재료, 설치 방식 등에 따른 곤충 유입 효과에 대한 검증은 부족하며, 국가 또는 지역에 따른 곤충의 종류와 생육환 경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곤충호텔에 대한 국내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립수목원을 대상으로 구체적 인 식생유형 및 재료에 따른 유입 곤충 특성을 확인하고, 국내 실정에 맞는 효과적인 곤충호텔 설치 및 관리방안에 대한 기준 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구는 세 가지 식생유형(초지, 침엽수 림, 활엽수림)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식생의 조사구에 두 가지 재료(참나무, 잣나무)를 활용한 곤충호텔을 설치하였다. 조사는 2년동안(2022~2023) 진행되었으며, 매년 4~9월까지 주 1회 씩(총 48회) 곤충호텔의 유입 곤충을 직접 채집하였다. 곤충호 텔에서 채집된 곤충은 총 9목 46과 129종 3,057개체로, 2022 년에는 7목 34과 85종 1,750개체, 2023년에는 8목 35과 77종 1,307개체가 출현하였다. 연도별로 비교하면 1차년도에 유입 된 곤충의 개체수가 2차년도 보다 약 1.3배 많았고, 재료의 부식 에 따른 곤충의 구성도 달라졌다. 식생유형에 따라 구분하면 기간에 상관없이 활엽수림에서 유입 곤충이 가장 많았고, 침엽 수림에서 가장 적었다. 또한 재료에 따른 구분에서는 참나무가 잣나무보다 유입 곤충이 많았다. 참나무의 경우 유입 곤충의 연도별 차이가 적은 반면, 잣나무는 1년차에 비해 2년차에 약 2.3배 줄었다. 상관분석과 계층적 군집분석을 통한 곤충의 유입 특성은 식생유형보다는 재료의 영향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고, 식생유형만 비교했을 경우 초지에 비해 활엽수림과 침엽수림의 유사성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생물 다양성 증진을 목적으로 곤 충호텔을 설치하고자 한다면 초지나 활엽수림에 참나무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며, 잣나무 재료를 이용한다면 1년 주기로 재료 교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특정 재료를 선호 하는 곤충의 기주특이성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재료를 같이 사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향후 이를 기반으로 전시원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곤충호텔 모델 개발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국립수목원 전시원의 지속가능하고 친환경적인 관리를 위하 여 유기물 멀칭재 처리에 대한 잡초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대표적 잡초인 쑥군락과 바랭이군락을 대상으로 고정방형구 (1×1㎡)를 3반복 설치하였다. 처리구의 유기물 멀칭재는 5가지 재료로 활엽수 우드칩, 침엽수 바크, 갈참나무 낙엽, 메타세쿼이 아 낙엽, 칠엽수 과피를 사용하였다. 멀칭재 중에서 갈참나무 낙엽, 활엽수 우드칩, 칠엽수 과피가 비교적 잡초 억제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갈참나무 낙엽은 지중 온도를 낮게 유지 하는 효과가 상대적으로 좋았기 때문에 토양의 보습 효과가 뛰 어날 것으로 판단된다. 유기물 멀칭재 처리는 일년생식물의 발 생은 억제하고, 지중식물 및 반지중식물의 생육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었다. 멀칭재의 무게보다 재료에 의한 빛 차단 면적이 잡초를 억제하는 주된 요인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국립수목원 전시원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활용한 친환경적 관리 방안 수립 에 활용될 것이며, 향후 잡초의 발생 시기에 따른 멀칭 시기 및 유기물 멀칭재의 유지 관리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In this study, simulate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and Raman spectroscopy were utilized to differentiate the carbon nanoribbons (CNRs) and carbon nanobelts (CNBs) with different edges. CNRs, characterized by linear, extended π-conjugated systems, and CNBs, featuring closed-loop, cyclic structures, exhibit distinct bandgaps influenced by edge configuration and molecular structure. CNBs generally possess smaller bandgaps than GNRs due to enhanced π-conjugation and electron delocalization in their curved structures. Specifically, the bandgaps of zigzag-edged GNRs and CNBs are smaller than those of their armchair-edged counterparts. These differences in electronic states cause shifts in the position of the C1s XPS peaks. ANR and ANB exhibit lower binding energies (BEs) compared to ZNR and ZNB. The peak position differences, which are 1.3 eV between ZNR and ANR and 0.5 eV between ZNB and ANB, highlight how edge configuration can differentiate structures within the same ribbon or belt type. While ZNR and ZNB have nearly identical peak positions, rendering them hard to distinguish, the 0.9 eV difference between ANR and ANB allows for clear differentiation. In ZNR and ZNB, strong bands from C–H bending and C–C stretching were observed, with slight differences in band positions allowing for structural differentiation. In ANR and ANB, the Kekulé vibration band was most intense, appearing at lower wavenumbers in ANB. Additionally, ANB showed unique C–C stretching bands at 1483 and 1581 cm− 1, which were barely observed in ANR. This study lays the groundwork for future spectroscopic analysis of GNRs and CNBs.